기사 메일전송
당신을 스토킹 한 범죄자의유형은 어디에 해당하나요? - 스토킹 범죄자 유형
  • 기사등록 2023-06-08 22:46:50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성지은 ]


 

빠른 인터넷의 발전과 SNS의 확산으로 타인의 일상 및 생활 패턴을 쉽게 엿볼 수 있게 되었고, 20204515건이던 스토킹 관련 112 신고 건수는 202114509건으로 약 3.2배 증가하게 되었다.

 

스토킹은 상대방 의사와 상관없이 의도적으로 계속 따라다니면서 정신적·신체적 피해를 주는 행동을 말한다미행전화감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범행하며대다수의 피해자는 여성으로 밝혀졌다.

 

또 스토킹 범죄는 강도, 데이트 폭력, 성폭행 등 수많은 강력 범죄의 밑바탕이 되어 실행된다. 예시로 홈즈의 연쇄살인 단계론에 따르면 연쇄살인범의 두 번째 단계는 스토킹으로 피해자 탐색납치 장소범행 장소 등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사람들이 스토킹 범죄를 저지르는 것일까대표적인 스토킹 가해자 유형으로 Paul Mullen 박사와 동료들이 개발한 5가지를 소개하겠다.




당신을 스토킹한 스토커의 유형은 무엇인가요?


1)거부당한 스토커

가장 흔하고 위험한 유형이며친밀한 관계였던 피해자와 이별 후 스토킹을 시작한다이들은 화해와 복수에 대한 욕구가 복잡하고 변동적인 혼합을 보인다


그래서 쫓아다니기반복적으로 접근하기전화 걸기 등 가장 광범위한 행동을 한다. 이는 과거 관계를 대체하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행동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2)복수형 스토커

스토커는 피해자를 괴롭히면서 두려움을 주려고 하며스토킹은 피해자에게 공포를 유발함으로써 파생되는 힘과 통제력 회복을 위해 유지된다


이러한 유형 스토커의 대부분이 편집증적 성격이나 망상장애를 가지고 있고, 그들은 특정 피해자에 대한 복수를 추구하거나 일반적으로 세상 및 타인 등 다양한 범위에서 불만을 느끼고 무작위로 피해자를 선택한다.


이들은 피해자에게 종종 위협을 가하지만명백한 폭력에 의지할 가능성이 가장 낮았다종종 복수형 스토커는 억압하는 사람이나 조직에 맞서 싸우기 위해 스토킹 했다고 자신을 피해자로 표현한다.

 

3)친밀감 추구형 스토커

친밀감을 추구하는 스토커는 피해자를 보면서 "저 사람과 나는 진정한 사랑을 하고 있어"라고 믿으며, 친밀한 관계를 원한다. 또한, 낭만적인 사랑의 믿음과 일치하는 특별한 욕망탁월함과 기타 특성을 피해자에게 주입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의 대부분은 성욕증 망상을 가지고 있으며나머지는 피해자에게 병적으로 열광한다이는 외로움과 친밀한 동료의 부족에서 발생하고 스토킹은 다른 사람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믿음에서 오는 만족감에 의해 유지된다.

 

4)무능형 스토커

무능한 유형의 스토커는 피해자가 자신에게 무관심하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그들의 행동이 관계로 이어질 것이라고 희망한다


이러한 유형의 스토커는 종종 지적 수준이 낮으며발달장애와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무능력한 스토커는 외로움이나 정욕의 맥락에서 스토킹하고 낯선 사람이나 지인을 타깃으로 삼는다


초기 범행 동기는 사랑의 관계를 맺는 것이 아니라 데이트나 단기적인 성관계를 맺는 것을 목표로 한다보통 짧은 기간 동안 스토킹하지만피해자에서 피해자로 갈아타는 경향이 있다

 

5)약탈형 스토커

약탈적인 유형의 스토커는 구체적으로 성범죄자이며성폭행 준비를 위해 스토킹을 한다그들은 피해자의 취약성을 발견하기 위해 스토킹을 하므로 대부분의 피해자는 경고와 위험을 인식하지 못한다


이들은 성범죄 전과가 있으며 유죄 판결받았거나 성도착증을 앓고 있기도 하다타 유형에 비해 스토킹 기간이 짧으며거의 전적으로 은밀히 감시를 유지하는 데 집중한다


타 유형에 비해서 매우 드문 편이지만 위험하다약탈적 스토커는 오직 스토킹을 사용하여 지배력을 충족시킬 가능성이 높다정신병적 장애가 거의 없지만성격 장애가 있다.




스토킹 범죄 대처 방법


 피해자의 정신을 갉아먹는 스토킹 범죄는 2021324'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정안(스토킹 처벌법)'이 발의 22년 만에 국회를 통과하면서 최대 5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법률이 제정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범죄를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정신과 의사는 스토킹 대처 방법에 대해 "자신이 스토킹 당하고 있는 것 같다면, 피해 사실을 주변에 알리고 최대한 몸을 사리는 것이 도움된다. 그리고 가해자의 심리를 유추하지 말아야 한다. 선량한 사람의 입장에서 심리를 유추하게 된다면 가해자의 위험한 행동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선량한 피해자들은 가해자의 심리를 굳이 이해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스토킹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범죄이며범죄가 성립된 상황에서 스토킹 범죄 피해자는 아무런 잘못이 없다는 심심한 위로를 전하고 싶다






지난기사

행복한 다문화 가족을 만드는 "부모 교육"의 비밀 3가지

‘짜증 나서 했어요.’ 청소년이 악플을 다는 이유

백종원 성공 비결은 그의 리더십에 있다?

카메라로 힐링하는 법

상처 속의 마음

“당신은 왜 범행을 저질렀나요?” PEACE 모델로 배우는 수사 면담 방식

“난 모두가 나와 같은 생각을 하는 줄 알았어.” 모든 사람이 나였던 세상에서 진짜 세상으로 가는 길






<참고자료>

-"'스토킹 범죄' 2020년 4515건→2021년 1만4509건 '폭증'", <신아일보>, 2022.09.11.,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97363

 -[네이버 지식백과스토킹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Ariungoo. "스토킹 범죄의 심리적인 원인."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2. 서울

-닥터프렌즈. 2022. 7. 7. 어두운 밤 쫒아오는 수상한 사람...현명한 스토커 대처법 알려드립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mV0YrL270d8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6470
  • 기사등록 2023-06-08 22:46:5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