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현동민 ]


스포츠에서는 프로선수가 갑작스레 부진에 빠지게 될 때 “슬럼프에 빠졌다”라고 표현한다. 스포츠뿐만 아니라 우리 일상생활에서도 슬럼프를 겪게 될 때가 있다. 운동, 공부, 일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연습과 훈련을 반복해도 성과나 실력이 늘지 않거나 오히려 더 안 좋게 느껴지는 경험을 한 번쯤은 겪어봤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를 좌절하게 만들거나 의욕을 상실시키게 해 성장을 방해할 수 있으며 정신적으로도 큰 고통을 안겨준다.

 

 

성장에는 성장통이 따른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도 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슬럼프가 오려면 전제조건인 연습이나 훈련의 반복과 같은 ‘노력’이 동반되어야 한다. 즉, 슬럼프가 찾아온 당신은 성장과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는 사실을 시사해주는 일종의 성장통을 겪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슬럼프는 ‘나태함’과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 슬럼프의 발생 조건인 ‘발전을 위한 노력’이 없었는데 슬럼프가 찾아온 것 같다면, 그것은 단지 권태이며 게으름일 뿐이다. 스스로 최선을 다했는지 되돌아보는 시간이 필요하다.

 

당신이 정말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슬럼프가 찾아왔다면 그 노력의 방식이 잘못되지는 않았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자신의 방법을 다른 사례들과 비교해 점검해보고 개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 이를 극복해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운동이나 공부 같은 경우, 여러 발전과 성공 사례를 참고해 슬럼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노력의 형태와 방식이 분명한데도 슬럼프가 지속되는 시기가 있을 것이다. 이 시점에서 많은 사람이 자신을 자책하고 한계를 받아들인다. 하지만 발전이 정체된 듯한 이 시기에도 우리가 크게 느끼지 못할 뿐 천천히,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정체된 듯 느껴지는 이 시점은 큰 상승 폭을 위한 도약 준비기간이며 우리는 ‘계단식 성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스포츠 스타들의 슬럼프 극복법


슬럼프가 찾아오게 되면 대다수의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위축되며 자신감을 잃게 된다. 미국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자인 투수 존 스몰츠 또한 지독한 슬럼프에 시달리며 정신적 고통에 빠졌다. 그는 슬럼프를 해결하기 위해 정신과 의사를 만났고 의사는 그에게 완벽한 경기를 했던 날의 영상을 보게끔 했다. 스몰츠는 과거 자신의 경기 모습을 보며 자신감을 되찾았고 슬럼프를 극복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선수였던 ‘두 개의 심장’ 박지성 역시 슬럼프를 겪었던 시절이 있었다. 그는 슬럼프를 극복하기 위해 경기와 연습에서 실수했던 기억들보다는 잘했던 것들만 마음에 담아두며 스스로를 칭찬했다. 그리고 그것을 반복해 점차 자신감을 찾아가며 슬럼프를 이겨내게 되었고 그 후에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이적하게 되며 완벽한 재기에 성공한다.

 

사람들은 슬럼프를 겪게 되면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자신의 능력을 의심하며 한계에 가로막혀 포기하곤 한다. 하지만 우리 또한 슬럼프를 겪기 전, 발전과 성취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아무리 지금의 슬럼프가 고통스럽고 통제할 수 없게 느껴져도 이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당장은 침체기일지 몰라도 지난 성취의 기억을 살려 자신감을 되찾는다면 쉽게 슬럼프를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무언가를 해냈었던 사람들이다.

 

 

나 자신을 믿자 


우리나라 최초의 메이저리거 박찬호 선수는 이렇게 말했다. “나를 슬럼프에 빠지게 했던 가장 큰 요인은 ‘안 된다’라고 생각한 것이다” 내 능력과 노력에 대한 의심은 더욱 슬럼프의 깊은 수렁으로 빠뜨린다. 스스로를 믿지 못한다면, 그 어떠한 일이라도 이룰 수 없게 된다. 

 

슬럼프는 어떻게 보면, 나 자신과의 싸움일지도 모르겠다. 결국, 견디고 이겨내 뛰어넘어야 하는 상대는 현재의 ‘나’이기 때문이다. 싸움에는 규칙이 없다. 슬럼프를 어떻게 이겨내야 할지 모르겠다면 그냥 자신을 믿어라. 룰이 없을 땐, 내가 룰이다. 






지난기사

“나... 지금.. 떨고 있니..?” 혹시 나도 새가슴?

고백에 성공하고 싶다면 '여기'로 가세요

‘중요한 건 깨지지 않는 멘탈’, 상대의 멘탈을 흔드는 트래시 토크

“이걸 이긴다고!?”, 약팀의 반란이 재밌는 이유

‘11미터 러시안룰렛’ 승부차기의 심리학

상대의 표정으로 거짓말을 알아내는 방법

남 눈치 보는 한국 패션






참고문헌

최관용, 이정근, 오경록. (2009). 대학교 엘리트 선수들의 슬럼프 원인과 극복방법. 한국체육학회지. 제18권 제4호.

이용선, 여인성. 윤용진. (2006). 프로골퍼의 슬럼프 발생원인과 극복방안. 한국체육학회지 인문 사회과학편. 제45권 제6호 243-255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6485
  • 기사등록 2023-06-08 23:00:5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