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영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정신 건강 문제들의 증상과 장애들은 남녀의 성에 따라 다른 통계와 모습을 보인다. 실제로, 여성은 남성보다 불안 장애와 우울증을 진단받을 확률이 두 배나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외의 정신 건강 문제를 겪을 확률이 남성보다 세배나 높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여성들의 심리 건강은 더욱 심각해졌다. 가정폭력에 대한 한 뉴스에 의하면, 2020년 3월 23일부터 4월 12일 기간 동안 영국 내 가정폭력으로 죽음을 맞이한 여성의 수가 두 배로 늘었다고 발표하였고(Grierson, 2020), 이 외에도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유산에 대한 두려움 또한 늘었다고 한다. 이러한 남녀 사이의 정신 건강 문제 차이를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 어떻게 사회가 여성 심리에 영향을 주는지 여성주의 심리치료와 상담(Feminist Therapy)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1960년대 후반에 세 명의 주 창립자, 진 베이커 밀러(Jean Baker Miller), 캐롤라인 엔스(Carolyn Enns) 그리고 올리비아 에스핀(Olivia Espín)으로부터 시작된 여성주의 심리치료는 그동안 남성 심리학자들로부터 뿌리내려 남성 위주의 상담을 이어온 차별에 맞섰다. 이 치료 방법의 주 목적은 여성에 대한 사회의 차별로 인해 개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관찰하고 토론하며 일상생활의 문제들, 예를 들면, 가부장제로 인해 겪는 부부 갈등과 같은 문제들을 사회적 관점을 통해 이해하는 것이다. 주로, 여성 심리 치료 내 주목하는 문제들로 가정폭력, 커플 심리 상담, 부부관계나 가족관계 문제, 불안장애, 식이 장애 등등을 볼 수 있다.
문화적으로, 사회가 강조하는 가정의 화목함과 이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많은 가족과 여성들이 개인과 가족 심리 상담을 통해 가정사를 공유하는 것을 꺼린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 여성의 우울증에 대한 한 자료를 보면, 심리 상담을 받는 것에 대한 가족의 거리낌, 그리고 사회의 편견 때문에 여성의 심리 건강 문제들이 악화한다고 본다. 또, 가정폭력에 대한 다른 자료에 의하면, 심리 상담을 받을 시 여성이 겪는 보복과 폭력의 악화로 인한 두려움으로 많은 사례가 언급되지 않는다고 보기도 한다.
상담 동안 사회적 문제들만을 통해 개인의 문제들을 이해하는 것이 과연 내담자들에게 도움이 될지, 그리고 개인의 통제를 넘어선 사회의 문제가 내담자에게 무력함과 속수무책인 것 같은 느낌을 받게 하지 않을지 반박할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하게도, 많은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임을 알아차림으로써 큰 치유를 얻는다. 더 나아가, 상담 동안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토론만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사회와 개인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지, 개인에 대한 더 나은 이해와 자기 인식을 통해 알아간다.
특히 최근 조명되고 있는 저출산과 같은 큰 사회적 문제들을 보았을 때, 여성주의 심리치료가 이러한 큰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거라 생각한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오은영 박사가 설명하였듯, 여성 개인의 삶에 대한 존중과 맞벌이 부부관계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진로 상담에 대한 한 학술자료에 의하면, 일하는 여성, 또는 워킹맘(Working Mom)을 바라보았을 때, 육아와 가정 일이 삶에 가지는 큰 비율에도 불구하고, 사회와 직업 세계가 가지는 평가 절하로 인해 여성이 가지는 여러 사회적 책임에 대한 지지가 부족하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여성주의 심리치료와 페미니즘을 논할 때 한 가지 짚고 넘어갈 내용이 있다면, 여성주의 접근이 남성의 인권과 정신 건강 문제들을 과소평가하려는 시도가 아니라는 것이다. 두 성별의 차이를 비교하려는 말투와 사고방식은 오히려 남성과 여성에 대한 성차별, 혐오와 분열을 고조시킬 뿐, 서로에게 아무런 이득을 남기지 못한다. 따라서, 여성주의 심리치료를 통해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을 향해 가지는 사회적 이해와 존중을 높이는 것이 사회적으로 가장 중요한 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
지난기사
기후 우울증 (Eco-Anxiety): 기후변화와 정신건강
무대 위와 뒤의 두 모습: 연예인 정신 건강을 향한 관심과 필요
참고문헌
에브리마인드. (2020). 페미니스트 상담심리사가 말하는 여성주의 심리상담[에브리마인드]. [영상].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gpakSjjALLk
Almeida, M., Shrestha, A. D., Stojanac, D., & Miller, L. J. (2020).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women's mental health.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3(6), 741–748. https://doi.org/10.1007/s00737-020-01092-2
Greenwood, K. (2022). How organizations can support women's mental health at work. Harvard Business Review. https://hbr.org/2022/03/how-organizations-can-support-womens-mental-health-at-work
Grierson, J. (2020). Domestic abuse killings 'more than double' amid Covid-19 lockdown.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society/2020/apr/15/domestic-abuse-killings-more-than-double-amid-covid-19-lockdown
Lee, S.H., Kim, B., Choi, T.K., & Lee, M.H. (2014). Long-Standing Depression and Anxiety in a Korean Woma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71(6).
MBC 100분 토론. (2022년 5월 9일). [100분토론] 오은영 박사가 생각하는 아이를 안 낳는 이유. [영상].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WDm8FqlgH-c
Mental Health Foundaton. Men and women: statistics. https://www.mentalhealth.org.uk/explore-mental-health/statistics/men-women-statistics#:~:text=Women%20between%20the%20ages%20of,the%20same%20age%20(9%25).&text=Women%20are%20twice%20as%20likely%20to%20be%20diagnosed%20with%20anxiety%20as%20men.&text=25.7%25%20of%20women%20and%209.7,some%20point%20in%20their%20life.
Richardson, M.S. (2012). Counseling for Work and Relationship. The Counseling Psychologist, 40(2), p. 190-242. DOI: 10.1177/0011000011406452
Srivastava, K. (2012). Women and mental health: Psychosocial perspective. Industrial Psychiatry Journal, 21(1), 1-3.doi: 10.4103/0972-6748.110938
Sultana, R., Ozen-Dursun, B., Femi-Ajao, O., Husain, N., Varese, F., & Taylor, P. (2022). A Systematic Review and Meta-Synthesis of Barriers and Facilitators of Help-Seeking Behaviors in South Asian Women Living in High-Income Countries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Perception of Domestic Violence Survivors and Service Providers. Trauma, violence & abuse, 15248380221126189. Advance online publication. https://doi.org/10.1177/15248380221126189
Psychology Today. Feminist Therapy. Psychology Today. https://www.psychologytoday.com/us/therapy-types/feminist-therapy#:~:text=Feminist%20therapy%20was%20initially%20devised,dominated%20and%20perhaps%20intrinsically%20misogynist.
Thibaut, F., & van Wijngaarden-Cremers, P. J. M. (2020). Women's Mental Health in the Time of Covid-19 Pandemic. Frontiers in global women's health, 1, 588372. https://doi.org/10.3389/fgwh.2020.588372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p5562@nyu.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