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같은 쓰임새에도 생김새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이유 - 시각, 지각, 고정관념이 미치는 영향
  • 기사등록 2023-06-28 18:09:44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성지은 ]

출처=pixabay


몇 달 전 치열하게 SNS에서 토론을 벌였던 토마토 모양의 토 vs 토 모양의 토마토를 아는가이 질문은 모양은 토마토이지만 맛은 토인 것과 생김새가 토이지만 맛은 토마토인 것 중 그나마 나의 것을 고르는 밸런스 게임이다. 


이 게임의 핵심 키워드는 ‘토마토’와 ‘토’로, 두 단어를 보고 떠오르는 이미지와 맛이 상반되어 제시된다. 그래서 "내가 알던 토마토가 아닌데?"라는 생각이 들면서 사람들에게 혼란을 일으키게 만든다.


또 다른 사례를 보면서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출처='Lucky Iron Fish'유튜브 동영상 캡쳐(스브스 뉴스)

사회적 기업 Lucky Iron Fish의 창립자인 Gavin Armstrong은 캄보디아의 인구 절반이 철분 부족을 겪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철을 끓여 먹으면 철분 보충을 할 수 있다'는 지식을 활용하기로 한다.


처음에 납작한 덩어리 모양의 철을 보급했는데, 사람들이 철 덩어리를 침대 받침 등 다른 용도로 쓰기 시작했다그 후 캄보디아의 행운의 상징인 물고기 모양의 철을 보급하니 음식에 넣어 먹기 시작했다.

 

필자는 이 두 사례를 보면서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왜 사람들은 생김새에 예민하게 반응할까?

 



인간은 시각적인 정보를 매우 중요하게 받아들인다


프린스턴 대학 연구진이 2006년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우리가 낯선 사람을 매력적인지호감이 가는지 판단하는 게 걸리는 시간은 고작 0.1초다오감을 사용한 정보로 짧은 시간 내에 사람에 대한 호감도를 정의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람들은 시각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사람들을 평가하고그들과 상호작용한다이때사람들은 외모옷차림표정자세 등의 시각적인 정보를 활용하여 상대방에 대한 판단을 내린다

 



시각과 지각에 의한 작용


시각은 시각 작용에 의해 외부 자극물을 인지하는 기능을 하고 지각은 시각이 전달해 준 자극을 뇌로 기록하는 일을 한다이때 지각은 단순히 눈으로 본 것을 기록하는 것뿐만 아니라 경험 축적에 의한 심상까지 포함한다


그래서 기억의 흔적으로 인해 계속 영향을 받으면서 유사한 흔적을 접촉하고 하나의 이미지를 기억 속에서 강화약화확대축소하는 활동을 한다


게슈탈트의 지각이론에서는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사물에 지각한다는 사실을 하나하나의 사물이 갖고 있는 속성(재질)에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속성이 조화롭게 체제화된 전체로서의 사물을 지각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토마토를 기억할 때 단순히 모양과 색상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맛과 향재질 등을 같이 기억하기 때문에 우리는 토마토 모양이지만 맛이 토인 것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다

 



고정관념


고정관념은 스테레오 타입(stereotype)으로 변역되며보통 뚜렷한 근거가 없고 감정적인 판단을 통해 정해진다인간은 끊임없이 고정관념을 고집하는데 그 이유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인간이 고정관념에 의존하지 않고는 일상생활의 모든 사물을 새롭게 지각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먼 조상에서부터 생존하기 위해 당연하게 여겨진 고정관념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만들어져 사물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가 밝혀졌다사회적 통념과 학습을 통해 사물을 배우므로 모든 사물을 아예 새롭게 지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둘째는 고정관념의 체계가 정체성의 핵심이며 자아 방위의 원리나 구조이기 때문이다여기서 자아방위성은 욕구가 충족되지 아니할 때그것을 끝까지 추구하여 욕구를 만족시키려 하지 아니하고합리화함으로써 자아를 방어하려는 성질을 말한다

 

인간은 상황에 따라 고정관념이 불합리하다고 판단되더라도 질서와 단순성을 성취하기 위해서 현실을 왜곡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이상하거나 병적인 것은 아니다그것은 어떤 개인에 대한 첫인상처럼 자연스러운 인지반응(認知反應)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사람들은 같은 쓰임새에도 생김새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게 된다하지만이러한 반응들은 항상 올바른 것은 아니며사회적으로 공정한 것도 아니다그러므로 우리는 이러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인식하고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지난기사

행복한 다문화 가족을 만드는 "부모 교육"의 비밀 3가지

‘짜증 나서 했어요.’ 청소년이 악플을 다는 이유

백종원 성공 비결은 그의 리더십에 있다?

카메라로 힐링하는 법

상처 속의 마음

“당신은 왜 범행을 저질렀나요?” PEACE 모델로 배우는 수사 면담 방식

“난 모두가 나와 같은 생각을 하는 줄 알았어.” 모든 사람이 나였던 세상에서 진짜 세상으로 가는 길

당신을 스토킹 한 범죄자의 유형은 어디에 해당하나요?

목구멍까지 차오르는 “안 돼요.” 이제는 말해봅시다.






<참고자료>

-[출처] 캄보디아의 행운의 철 물고기|작성자 akcsns한-아세안센터

 https://blog.naver.com/akcsns/222472774990

-오은비.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에 따른 바디아트 작품제작." 국내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6. 서울

-[네이버 지식백과] 스테레오타입 [stereotype]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네이버 국어사전] 자아방위성

https://ko.dict.naver.com/#/entry/koko/532e633090a24cb689f3b7f9fcf37acc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6706
  • 기사등록 2023-06-28 18:09:4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