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조수아 ]


‘열등감’이라는 감정을 떠올리면 부정적인 생각부터 들기 마련일 것이다. 다른 사람에 비해 나만 뒤떨어지고 나만 가지지 못했다는 생각이 드는 감정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열등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들었을 때, 그것을 마주하기보다는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마주하고 있으면 더 깊은 열등감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 같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열등감을 마주하고 그 속에 빨려 들어갔을 때,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길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끝없이 굴을 파고 그 감정 안에 스스로를 가두며 자신 혹은 누군가를 미워하는 길이고, 또 하나는 열등감을 스스로를 발전시키는 하나의 동력으로 바꾸어 빠져나가는 길이다.

 



우리는 모두 불완전한 존재이다


인간은 누구나 열등감을 느낀다. 우리 모두 완벽하지 않은 존재이기 때문이다. 정신과 의사 알프레드 아들러는 “인간은 누구나 완전하지 않은 존재로 태어났으며, 열등한 상태에서 벗어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열등감이라는 감정은 혼자 있을 때 갑자기 저절로 자라는 감정은 아니다. 누군가와 함께 있을 때, 함께 살아갈 때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는 감정이다. 이는 다른 사람과 있을 때, 자신도 모르게 타인과 나를 비교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니, 열등감은 우리가 살아있는 한 함께 해야 할 감정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즉, 열등감은 긍정, 부정으로 나뉘는 감정이 아니라는 것이다. 어쩔 수 없이 인간에게 내재되어있는 감정에 더 가깝다. 그렇다면, 왜 긍·부정으로 나눌 수 없는 감정의 결과는 누구에겐 긍정적이고, 누구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날까?

 



열등감을 대하는 태도


이는 근본적으로 열등감을 바라보는 관점과 태도에 따라 달라진다. 열등감을 무조건 부정적인 감정이라고만 인지하고 있으면, 후에 열등감이 느껴질 때 이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는 것이다. ‘나는 왜 이 정도밖에 되지 못할까’라며 남과의 차이, 나의 부족함 그 자체에만 집중하여 스스로를 더 깊은 늪으로 끌고 가는 것이다.


반면, 열등감을 느껴서는 안 될 나쁜 감정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누구나 가지고 있는 나의 ‘일부’라고 생각한다면 어떨까. 열등감이 들 때 나의 일부를 마주한다고 생각하고 인정해 보는 것이다. ‘나는 왜 이렇게 부족할까’라고 스스로를 미워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나는 이런 점이 부족하구나’라며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거기에서 그치지 않고, ‘이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즉, 열등감을 스스로를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끌어줄 원동력으로 삼아보자는 뜻이다. ‘나는 부족하지만, 그렇다고 불행하지 않고, 우리는 누구나 부족하다’라고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순간, 열등감은 삶의 동력이 될 수 있다. 

 



만약 지금 스스로가 열등감을 느끼는 대상이 있다면,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보자. ‘저 사람도 누군가에게 열등감을 느끼고 있다.’ ‘누군가는 나에게 열등감을 느끼고 있다.’ 우리는 모두가 다 다른 생김새를 가지고 있고, 다른 성격, 취향,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결국 우리는 인간이라는 점에서 모두가 같다. 그러니 열등감이 느껴진다고 해서 좌절하거나, 그 감정에 사로잡혀서 스스로를 괴롭힐 필요가 전혀 없다. 당신이 스스로의 부족함을 인지했다는 것만으로도 이미 그 부족함은 삶의 동력으로 변화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한 가지 명심할 것은, 그 부족함은 누군가 정해둔 객관적 지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내가’ 느끼는 자연스러운 감정임을 기억해두고, ‘내가’ 지금 부족함을 느끼고 있다면 단지 인정하는 것만으로도 한 단계 더 성장한 당신이 되어있을 거라고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지난기사

물은 피보다 진할 수 있다

한국인의 독특한 외로움

치열하고 다정하게 살아갈 수는 없을까?

홈 스위트 홈, 돌아갈 곳이 있다는 것

0과 1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들의 미래

취침 전 음악은 숙면을 방해한다?

펜을 들고 내면을 기록해야 하는 이유

소설을 왜 읽어야 하나요?

당신의 취미는 무엇인가요?







[참고자료]

경북매일 https://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873425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6711
  • 기사등록 2023-06-27 19:48:2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