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연우 ]


pixabey


A씨는 최근 들어 좋아하는 사람이 생겼다. 단순한 호감이 아니라 진지하게 좋아하고 있음을 느꼈다. 딱히 마음을 숨기는 편도 아닌 A씨는 직접적이지는 않으나 은근히 좋아하는 티를 내기도 했다. 그러던 어느 날 A씨는 그 사람 또한 자신을 좋아하고 있음을 전해 듣게 되었다. 그 순간 A씨는 이상하게도 그 사람을 좋아하던 마음이 빠르게 식었다. 그렇다고 놀랄 일은 아닌 것이, A씨에게는 이러한 상황이 전에도 계속 반복된 것이다. 


누군가는 이러한 A씨를 보고 소름 돋게도 비슷한 경험이 있어 공감할 수 있다. 분명히 내가 좋아하는 사람도 나를 좋아하는 것은 행운이고 좋은 일일텐데, 어째서 마음이 식는 걸까? 



불안정한 애착


먼저 내가 회피형 애착 유형인지 의심해볼 수 있다. 정신분석가 존 볼비의 애착 이론에 따르면, 초기의 양육자와의 애착 형성이 그 이후 세상을 이해하는 토대가 되고, 성인이 되고 나서의 대인 관계 형성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친다. 초기의 애착 형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에 따라 성인 애착 유형이 정해지는데, 크게 안정형 애착, 회피형 불안정 애착, 집착형 불안정 애착, 혼란형 불안정 애착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불안정 애착의 경우, 상대와의 관계에서 안정감을 느끼는 안정 애착과 달리 안정감을 느끼지 못한다. 



관계에 대한 회피


특히 회피형 애착 유형 사람들은 상대와의 관계에서 오는 책임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서로에게 헌신해야 한다는 책임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관계를 일찌감치 포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부담은 상대와의 친밀감으로 다가온다. 회피형 애착 유형은 상대와의 거리가 자신이 생각했던 일정 이상 가까워지면 무의식적으로 상대를 밀어내려 한다. 짝사랑하는 상대 또한 자신을 좋아한다고 표현하는 것, 혹은 그마저도 아니라 어림 짐작하는 것만으로도 자신과 그 상대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고 인식하여 상대방을 밀어내는 것일 수 있다. 



짝사랑이 익숙해요


한편 상대를 짝사랑하는 데에 너무 익숙해져 막상 상대 또한 자신을 좋아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갑작스럽게 이루어진 변화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는 상황일 수도 있다. 이를 심리학적 용어로 비전상실증후군 혹은 삶은 개구리 증후군이라 한다. 이는 과거 한 실험에서 서서히 상승하는 온도를 감지하지 못하고 결국 삶아져 죽은 개구리에서 유래한 것이다. 변화를 못 받아들이고 계속된 익숙함에 안주하려는 비전상실증후군에 따라 살펴보면, 상대를 일방적으로 짝사랑하는 상황에 편안함을 느끼고 이에 안주하려는 경향이 생겨 이 이상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새로울 용기


같은 타이밍에 같은 마음이기 쉽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A씨와 비슷한 삶을 살아왔다. 그리고 꽤 많은 사람들이 지금껏 새로운 인연이 되기도 전에 그 손을 놓아버리는 데에 익숙할 것이라고 짐작한다. 이러한 무의미한 반복은 나에게도 상대에게도 좋지 않다. 이를 해결할 방법은 간단하다. 다음으로 넘어가는 것. 당연한 말이지만 그렇다. 줄곧 그래왔기 때문에 상대를 더 이상 좋아하지 않는다고 순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가만 생각해보면 그 이유가 나를 좋아해서라는 것이 이상하지 않은가? 그러니 더 긴 시간 동안 상대를 생각했던 마음을 떠올려보고 귀를 기울여보자. 그리고는 새로운 관계를 시작하는 것이다. 


누군가를 좋아하고, 그 사람과의 관계를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한 것은 맞다. 그러나 그 용기를 내는 것이 무서워, 변화가 무서워, 책임이 무서워서 시작하기도 전에 관계를 끊어버리는 것은 너무 재미없지 않은가. 인연은 어떻게 시작할지 모르고, 나도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 모르겠다면 일단 시작해보는 것이 어떨까? 




참고문헌

Simpson JA, Steven Rholes W. Adult Attachment, Stress, and Romantic Relationships. Curr Opin Psychol. 2017 Feb;13:19-24. doi: 10.1016/j.copsyc.2016.04.006. PMID: 27135049; PMCID: PMC4845754.

네이버 지식백과. 본 졸비의 애착이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8575&cid=59041&categoryId=59041

변상규. (2022). 애착 이론을 통해서 본 애착유형의 특징과 불안정애착(D Type)으로 인한 경계선 성격장애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7.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6801
  • 기사등록 2023-07-14 21:56: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