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



며칠 전, 서울의 초등학교에서 20대의 젊은 교사가 극단적인 선택을 하며, 학교 내 교직원이 겪는 문제들, 그리고 교권에 대한 정보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이 교사의 자살 이전, 또 다른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6학년 초등학생으로부터 폭행을 당한 교사와 초등생의 전학 처분에 대한 소식 또한 전해지기도 하였다. 이 외에도, 다른 많은 교직원이 겪은 학부모 민원 그리고 아동학대라고 불리는 위협으로 인해 최근 학생-교사 관계뿐만 아니라 부모-교사 관계에 지친 많은 교사가 추모에 참여하며 공개적으로 힘듦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아직 최근 일어난 교사의 자살을 두고 많은 가설과 추측들이 오가는데, 한 가지 분명한 점은 심리상담사들과 학자들로서 누군가의 자살을 두고 이야기할 때, 한 가지 요인만이 아니라 여러 다양한 사회적 그리고 개인적 요인들을 살펴본다는 것이다. 교사들의 정신 건강을 주제로 어떤 사회적 관심과 지지가 필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앞으로의 비슷한 사건과 문제들을 방지할 수 있을지 교사 번아웃과 심리 상담에 통해 알아보자.


교사 번아웃이란, 교사의 직업적 스트레스로 인해 업무에 낮은 집중력과 효율을 끼치며, 결국, 만성적 스트레스로 이어지는 현상을 일컫는다. 번아웃에 걸린 교사들은 업무를 진행할 때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며, 낮은 성취감, 자존감, 그리고 사기 저하를 느낀다. 교사 번아웃의 이유로 여러 개인적 그리고 사회적 원인이 존재하며, 후자의 경우, 주로 지나치게 많은 업무의 양, 직장 동료나 상사와의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 또는 아이와 부모와의 관계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과 같은 사회적 요인들이 있다.


여러 논문에 의하면, 교사들의 심리적 그리고 정신적 문제들은 아이들과의 교류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사들이 제공하는 교육의 질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제시한다. 예를 들어, 한국 영유아 보육학의 한 학술 저널에 의하면, 교사의 번아웃과 스트레스가 되려 더 큰 교내 아동학대로 이어질 수 있는 강한 관계를 띤다고 보기도 한다. 또,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학회에 의하면 낮은 성취감과 불안감이 교사들과 아이들 간의 언어 그리고 행동적 상호작용에 끼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 또한 증명하기도 하였다.



교사들이 근무하는 직업환경과 주위의 커뮤니티 이외에도, 교사 번아웃은 우리가 생각하는 사회에서 나아가 더 큰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문화적 영향을 받는 직업의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물론, 아동학대에 대한 주의와 관심은 계속되어야 할 테지만, 선생님들의 행동 하나하나를 두고 아동학대나 협박의 결점으로 보는 습관에 교직원을 향한 교권과 인권 또한 시험대에 올라온 듯하다. 따라서, 사회는 교육 전문직을 바라볼 때, 그들이 교사이기 이전, 그들 또한 누군가의 한때 아이, 친구, 그리고 따듯한 의도를 가지고 그들의 직업에 임했던 사람이었음을 기억하는 게 우리 모두에게 적용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마음가짐과 태도라고 생각된다.


주로 교권을 생각할 때, 우리는 교사의 권리, 그리고 그들이 가지는 교사로서 가지는 권력으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교사의 심리 건강과 웰빙 또한 교권의 일부임을 꼭 기억했으면 한다. 교사들의 정신 건강을 지켜주는 방법으로써 교내 학교 심리상담사들을 배치해 학생들의 심리 상담을 책임지는 상담사들뿐만 아니라 교사와 교직원을 위한 심리 상담사들을 고용하는 것이 중요한 방법이 될거라 생각한다. 이 외에도, 학교 내에서는, 선생님들 간 이야기하며 털어놓고, 지지해 줄 수 있는, 일명, 또래 집단 그룹(Peer Support Group)을 제공해 주는 것 또한 도움이 될 거라 믿는다. 특히, 위의 최근 교사의 자살과 같은 사례를 놓고 보았을 때, 새로 일임된 젊은 교사들에게 이러한 프로그램이 도움이 될 거라 보며, 아무리 그들이 자신 있게 직업에 임한다 해도, 주위의 선배들과 경력직들이 나서서 최대한 조언해 주며 지지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본다.






지난기사

시니어리티스(Senioritis): 졸업 병

기후 우울증 (Eco-Anxiety): 기후변화와 정신건강

문화 속 이방인

당신이라면 AI에게 심리상담을 받으시겠습니까?

집단 심리상담: 뭉쳤을 때 나오는 힘

무대 위와 뒤의 두 모습: 연예인 정신 건강을 향한 관심과 필요

음악 심리치료: 음악에 몸과 마음을 맡겨

심리 상담 윤리학과 딜레마

어머니들, 아내분들, 여성분들, 안녕하신가요?

아버지들, 남편분들, 남성분들, 안녕하신가요?

LGBTQIA2s+, 젠더퀴어(Gender Queer), 성 소수자분들, 안녕하신가요?







참고문헌

김민지, 이희영, & 이희수. (2019년).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교사의 정신건강 및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19(14), pp. 159-180. http://dx.doi.org/10.22251/jlcci.2019.19.14.159 

김성애. (2023년). 예비 유아 교사들의 정신건강: 불안 및 스트레스와 교수 효능감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6(1), pp. 63-79.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955463467 

나동석 & 황혜원. (2004).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권리학회, 22, pp. 733-775.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62048012 

남지원. (2023). 담임교사 폭행한 초등학교 6학년생 형사고발·전학 조치.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national/incident/article/202307211027001 

이보람. (2023). "보석처럼 빛나는 아이들"…서이초 교사 반년 전 쓴 손편지.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79312 

이지현. (2023). “초등교사 비극…학부모 문제란 생각 2차 가해 서로 보듬어야.”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220566635676816&mediaCodeNo=257&OutLnkChk=Y 

안보라. (2023년 7월 19일). "학생 방어하니 아동학대로 고소"...피눈물 흘리는 교사들 [Y녹취록] / YTN. [영상].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8Q2vBsPwKeY  

현정환. (2022년 9월). 교사의 번아웃 및 아동 행동에 대한 피해 인식이 아동학대 행동의 수용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36, pp. 57-76. DOI : 10.37918/kce.2022.9.136.57

JTBC News. (2023년 7월 20일). 초등교사, 학교 안에서 숨진 채 발견…추모 이어져 / JTBC 사건반장. [영상].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QfsYXmbrqto 

Tapp, F. (n.d.). Teacher Burnout: Causes, Symptoms, and Prevention. Western Governors Univeristy. https://www.wgu.edu/heyteach/article/teacher-burnout-causes-symptoms-and-prevention1711.html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6880
  • 기사등록 2023-07-30 23:52:1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