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지현 ]



최근 신림동, 대전의 학교, 서현역 등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칼부림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이러한 공포심을 이용한 살인 예고 글도 잇따라 계속 올라오고 있다. 살인 예고 글의 대부분은 관심을 받고 싶거나, 호기심에 작성해본 미성년자들의 장난에서 그쳤다. 하지만 실제 인명피해를 만든 가해자들은 ‘조현병’이라는 정신병리를 앓고 있었으며 과거 치료를 거부한 사실까지 밝혀져 더욱 강한 충격을 주었다. 




조현병이 뭐길래?


원래 정신분열증을 정식명칭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장애의 이름이 환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초래하거나 원활한 치료를 방해할 가능성이 제기되어 명칭을 “조현병”으로 바꾸었다. 조현병의 대표적인 증상을 알아보는 과정을 통해 발병 원인, 치료, 예후까지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한다. 조현병의 핵심 증상은 크게 양성증상과 음성증상으로 나눌 수 있다. 양성 증상(Positive Symptoms)은 조현병의 현란한 증상, 즉 사고장애, 환각, 망상, 괴상한 행동 등 일반인이 지니지 않거나 지니더라도 경미하게 지니는 특징을 의미하며 음성증상(Negative Symptoms)은 무의욕, 무언어증, 정서적 둔마와 같이 약화된 즉 결핍증상을 의미한다. 이번글에서는 칼부림 사건의 원인이 되는 증상이었던 양성증상인 망상, 환각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망상


양성증상의 가장 대표적 증상 중 망상이란 근거 없이 사실, 경험, 논리에 정정되지 못하는 믿음이다. 망상 환자에게는 망상 자체가 대안 현실로써 작용하기 때문에 분명한 반증에도 견고히 지속되며 자신이 틀렸음을 인정하지 않는다. 망상은 자신이 숨어있는 적에 의해 협박, 피해를 받고 있다고 믿는 피해망상, 자신이 매우 중요한 능력을 갖고 있거나, 특별한 임무를 지닌 인물이라고 생각하는 과대망상이 가장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TV나 뉴스, 지나가는 사람에서부터 중요한 인물까지 자신과 관련이 없음에도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는 관계망상, 유명한 사람과 자신이 사랑하는 관계라는 애정망상, 자기 몸에 심각한 질병이 있거나 기괴하게 변한다는 신체망상이 존재한다.

 



환각


다음으로 환각은 현실을 현저히 왜곡해 비현실적으로 자각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외부 자극을 왜곡해서 지각하거나 자극이 없음에도 특정 소리, 형상을 지각하며 혼란스러운 상태를 경험한다. 환각은 인간의 오감에 혼란을 일으키는데, 그중 환청은 가장 흔한 환각 경험으로 아무런 외부 자극이 없는 상황에서 의미 있는 사람의 목소리를 듣는다. 주로 2명 이상이 자신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소리가 들린다고 한다. 다음으로 흔한 환시는 실제 존재하지 않는 것을 마치 보이는 것처럼 느끼는 시각적 형태의 환각을 경험한다. 이외에도 후각적 형태의 환후, 촉각적 환각인 환촉, 미각적 환각인 환미 등이 존재한다.

 



글을 끝맺으며


지금까지 조현병의 대표적인 증상 중 양성증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해 다음 글에서는 조현병의 발병 원인, 치료, 치료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다뤄보고자 하며 이번 글은 여기서 끝마치고자 한다. 조현병은 조기 발견과 꾸준한 상담, 훈련으로 치료의 확률을 올릴 수 있어, 증상이 나타난다면 빠른 시일 내 병원에 방문하는 것을 권하는 바이다. 증상을 방치하고 회피하는 것은 정신병리를 악화시킬 뿐이다.







출처

유재한. (1988). 정신분열병의 양성증상 및 음성증상(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이해림, 「묻지마 칼부림이 정신질환 때문? 조현병⦁망상장애가 정말 범죄와 관련 있나?」, 『헬스조선』, 2023년 8월 10일,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8/10/2023081002422.html, (2023년 8월 19일 접속)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046
  • 기사등록 2023-08-25 14:02:1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