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먹방 즐겨보는 내가 도파민 중독? - 나도 모르는 사이 중독되어가는 '도파민' - 도파민 단식? 그게 뭔데? - 도파민과 관련된 질병! 조현병, 파킨슨병
  • 기사등록 2023-08-24 13:49:14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손승아 ]


픽사베이. (https://pixabay.com/ko/)

나도 모르는 사이에 도파민 중독?


오늘 하루를 어떻게 보냈는지 돌아보자. 일어나서 소셜 미디어의 소식을 확인하고, 점심엔 마라탕을 먹은 뒤 달콤한 프라푸치노까지, 지루한 오후 시간쯤엔 휴대전화 게임으로 주의를 환기하진 않았나? 잠들기 전에는 빠르게 화면을 내리며 숏 콘텐츠를 넘겨보았을지도 모른다. 

 

평범하게만 들리는 이 문장들 속에 사실은 많은 도파민이 기저하고 있다. 자극적인 음식, 달콤한 후식과 심심함을 달래 줄 게임, 그리고 어떠한 사고를 요구하지 않는 일회성 영상. 이 모든 것들은 짧은 시간에 도파민을 자극하여 쾌감을 불러일으킨다. 당신은 대상 그 자체보다는 그로 인해 발생하는 ‘도파민’에 중독됐을지도 모른다.

 


도파민이란?



픽사베이. (https://pixabay.com/ko/)


도파민은 감정, 의사결정, 만족감, 보상심리와 쾌감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인간이 운동하는 데에 필수적인 중추신경계 신경전달물질이다. 1957년 아르비르 칼손과 캐슬린 몬터규가 처음 고유 기능을 규명하였다. 인간의 감정과 정신작용 등 많은 두뇌 현상이 도파민과 함께 설명되었으며, 파킨슨병의 원인과 치료법 발견에도 기여하였다. 

 

도파민은 뇌에서 동기, 보상, 쾌락 등을 위한 시스템에 관여하며 우리의 선택을 이끈다. 정제당, 카페인, 니코틴 등을 섭취할 때, 게임이나 쇼핑을 할 때, 음란물을 볼 때, 심지어는 맛있는 음식이나 매력적인 사람의 사진만 봐도 분비된다. 이러한 도파민에 점점 적응한 뇌는 이후 같은 자극에도 비교적 적은 양을 분비하게 된다. 평소보다 적은 도파민에 만족하지 못한 뇌는, 중독이 쉬운 것들에 더욱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한다.

 

실제로 중독적인 행위를 떠올리기만 해도 도파민이 분비되어 그것을 기대하고, 바라게 된다. 이는 행위를 하기 전, 하는 도중 모두 도파민이 분비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그 행위가 예측 불가능한 결과를 불러온다면 자극은 더 크고, 중독 위험도 더 커진다. 

 


도파민 단식이 뭔데?


어떤 대상에 중독되는데 가장 큰 위험 요소 중 하나는 대상에 대한 접근성이다.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손안에서 많은 것이 가능하게 된 이후 현대인은 도파민 중독의 위험에 더 쉽게 노출되어 왔다. 이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하고, 도파민 단식(Dopamine fasting)을 시도하는 이들도 있다.

 

‘도파민 단식’은 미국 UC샌프란시스코 대학교 신경정신과 카메론 세파(Dr Cameron Sepah)교수가 실리콘 밸리 기업 창업자에게 처방하면서 주목받았다. 디지털 기기 사용을 제한하는 ‘디지털 디톡스’ 방법보다 근본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도파민 단식은, 가능한 많은 감각적 자극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파민을 과도하게 분비하여 중독을 불러오는 행위를 중단함으로써 의존성을 줄이는 것이다. 음식을 덜 먹고,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보지 않고, 성적 행위를 중단하여 도파민 의존적인 뇌를 리셋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일각에서는 ‘도파민 단식’의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중독적인 행위를 연상시키는 상황이나 요소에 덜 노출되어, 해당 행위를 하게끔 하는 도파민의 분비를 줄이는 것이 더 과학적으로 믿을 만한 방법이라는 것이다. 중독적인 행위 자체를 극단적으로 줄이는 것보다 해당 행위를 연상하지 않게끔 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것이 그들의 의견이다. 

 


도파민 과다 분비, 조현병!


일상적인 도파민 중독 수준이 아닌 비정상적인 도파민 과다 분비로는 조현병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조현병은 뇌의 특정 부위에서 도파민의 신경 전달 과정 중 이상이 생기면서 발생한다. 망상, 환각, 긴장 행동 등의 양성 증상과 실어증, 감정 표현 감소 등의 음성 증상으로 나뉘며, 사고 장애 및 기이 행동의 분열 증상과 인지 기능의 저하를 겪는 인지 손상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특별한 원인으로 밝혀진 것은 없으며 부모나 형제가 조현병을 앓은 경우 발병 위험성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현병 유전적 관련 정도와 그에 따른 발병 확률(From Gottesman, 1991)


도파민 분비 저하, 파킨슨병 위험


파킨슨병은 도파민을 생성하는 신경세포가 손상되어 발생하는 퇴행성 뇌 질환이다. 주로 노년층에게 발생하며, 중뇌에서 도파민 생성 기능을 하는 신경세포가 사멸하거나 잠들어 생성하지 못하는 상태를 뜻한다. 파킨슨병 환자는 근육이 굳어 몸이 떨리고 동작이 느려지는 등 운동 기능의 저하를 경험하게 된다.

 


도파민과 더불어 살기


도파민은 동기, 보상, 쾌락에 관여하며 알게 모르게 우리의 선택을 좌우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물질은 스스로를 통제하고, 그로 인해 계획하던 목표를 달성했을 때도 분비된다. 중독성이 높은 행위를 조절하고 도파민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활용한다면, 더 풍요롭고 만족스러운 일상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노유리. (2016). 도파민의 구조와 기능(석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부산.

니얼 Z. 리버먼, 마이클 E. 롱. (19.10.10). 도파민형 인간. 쌤엔파커스.

애나 렘키. (22.03.21). 도파민네이션. 흐름출판.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049
  • 기사등록 2023-08-24 13:49:1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