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방주원 ]



우리는 감기에 걸리면 병원이나 약국에 간다. 그곳에서 자신의 증상과 상태를 설명한 후 그에 따른 약을 처방 받는다. 약을 일정 기간 복용하고 나면 감기는 낫는다. 사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대부분 감기를 극복할 수 있다. 하지만 감기는 몸에만 걸리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마음도 감기에 걸릴 수 있다. 평소와는 다른 정신적인 고통이 느껴진다면, 그건 마음이 감기에 걸린 것이므로 우리는 병원에 가야 한다.


보건복지부가 진행한 '2021년 정신건강실태조사'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이 사실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국 만 18세 이상 만 79세 이하의 성인 5,511명(가구당 1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 조사에서 밝혀진 정신장애 1년 유병률을 살펴보면 남자 32.7%, 여자 22.9%, 전체 27.8%로 성인 4명 중 1명이 살면서 한 번 이상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것이 나타난다. 그러나 평생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비율은 12.1%로 평생동안 정신건강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해 본 인원은 정신질환을 겪는 비율의 반도 못 미치는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한국의 2020년 한 해 동안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을 조사했을 때는 불과 7.2%만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미국 43.1%('15년), 캐나다 46.5%('14년), 호주 34.9%('09년)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환자가 정신 질환을 겪고 있다는 사실은 인지하지만, 실질적으로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결과이다. 


이처럼 보통 몸이 아픈 감기와 다르게 우리는 마음이 아플 때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른다. 마음의 병을 간과해서일 수도 있고 어느 병원을 찾아가야 할지 모르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정신질환 치료를 위한 병원비가 부담스러워 병원에 갈 시도조차 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 예전에 한 지인이 우스갯소리로 '정신 질환이 생긴 것 같아 병원을 알아보는데, 그 어마어마한 진료비에 대한 충격 때문에 질환이 저절로 나은 느낌이었다.' 라고 말한 적이 있다. 이와 같이 수입이 일정하지 않은 청년들에게는 정신과 진료비가 만만치 않은 것이 사실이다. 오늘은 이러한 상황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위한 경제적 지원 제도, ‘경기도청년마인드케어’사업에 대해 소개하려고 한다.


‘경기도청년마인드케어’정책은 진료일 및 신청일 기준으로 만 19~34세의 경기도 거주 청년이라면 신청할 수 있는 제도로, 신청자는 정신 질환 치료비의 일정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다. 진료상으로 질병코드 F20~29(조현병, 분열형 및 망상장애), F30~39(기분[정동]장애), F40~48(신경증성, 스트레스-연관 및 신체형 장애)로 5년 이내 초진을 받은 자일 경우 1인당 연 36만 원의 진료비를 지급받을 수 있게 된다. 단,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응급의학과 또는 한방병의원의 경우 신청이 불가하다.  기간은 2023년 안에 신청해야 하며 해당 정책의 예산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지원된다. 주민등록표상 환자 주소지 관할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비용을 청구하면 신청이 완료되는데, 이때 경기도 정신건강 외래치료비 지원 신청서, 진료비 계산서 및 영수증 원본, 질병코드 및 초진 연도 확인 서류, 경기도민 확인 서류, 수령 방법 관련 서류 등을 함께 제출해야 한다.


몸이 아프면 병원에 방문해서 처방을 받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처럼, 마음이 아플 때에도 병원에 가 진료를 받는 것이 자연스럽다. 고통이 마음에 찾아왔다고 해서 그것을 특수하게 여기거나, 무턱대고 감정을 안으로 억누르거나, 다른 이에게 알리는 것을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다. 이 또한 시간이 흐르면서 발생하는 작은 문제일 뿐이고, 정신 질환은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것이라는 인식을 환자 본인부터 가지고 질환을 대한다면 극복 가능성은 더더욱 높아진다. 나아가 ‘경기도청년마인드케어’정책과 같은 제도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받는다면 일련의 과정이 훨씬 수월해질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1)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2022). 국가 정신건강현황 보고서 2021(11-1352629-000022-10). 세종특별자치시:보건복지부.

2) 경기도정신건강진료비[경기도정신건강복지센터]. 2023. https://xn--939a1gwh26c99m45h9jkvij08li7d.kr/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055
  • 기사등록 2023-08-29 13:53:0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