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현A
[The Psychology Times=김정현A ]
성취 이미지 / Pixabay
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저는 심꾸미 8기 원고형 기자 김정현입니다. 잘 부탁드려요!
필자는 이 첫인사를 ‘시작’으로 심꾸미로서 기사를 작성한다. 시작. 어떤 일이나 행동의 처음 단계를 이룬다는 뜻이다.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도 있듯이 우리는 시작에 큰 의미를 부여하곤 한다. 시작이라는 게 마음 같지 않아 누군가는 시작과 동시에 포기를 선언하기도 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거창한 목표를 세우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 이왕 하는 거 더 잘 하고 싶어 하며, 수행 과정 및 결과에서 더 큰 만족감을 느끼길 원한다. 이처럼 목표와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 중 일부에게서는 완벽주의의 성향이 보인다. 완벽주의는 일을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잘못하면 스스로를 끊임없이 괴롭힐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완벽주의에도 종류가 있다.
완벽주의는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타인지향적 완벽주의 그리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로 구성돼 있다.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는 스스로가 높은 목표를 설정하고 노력하지만, 타인지향적 완벽주의는 타인에게 높은 목표를 부과하고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란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완벽하길 바란다고 믿는 것이다.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명백히 다르다. 따라서 이들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 전자는 주체가 자신이지만, 후자는 타인이 기준이 된다.
잃어버린 첫 단추의 목적
우리는 무언가를 시작하기에 앞서 포부를 세우곤 한다. 졸업을 위해 시험 고득점이 목표인 사람도, 자신의 건강을 위해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며,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좋은 직장에 취업하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종점을 향해 달려가다 보면 가끔 이런 생각이 들 때도 있다. “내가 누굴 위해 이걸 하고 있는 거지?”
이때 첫 단추를 어떤 마음가짐으로 끼웠는지를 기억해야 한다. 즉, 누구보다 중요한 건 나 자신이라는 것이다. 성취의 초점이 타인에 맞춰질 경우, 사회 불안이 커질 수 있다. 사회 불안을 경험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 불안 및 부정적 사고의 반복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것이 중요하므로, 남들에게 거부당할지도 모른다고 과도하게 염려한다. 또한 이들은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준을 충족해야만 인정을 받을 수 있다는 신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불완전함을 감추려는 방어적 전략을 취하게 되고, 스스로를 지나치게 관찰함으로써 부적응적인 자기 몰입의 상태가 초래되기도 한다. 이는 곧 부정적인 자기 수행에 초점을 맞추면서 사회 불안의 수준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완벽주의의 방향성
습관을 하루아침에 고치기 어렵듯, 자신만의 원칙을 깨부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타인을 의식해 잘해야 한다는 강박은 내려놓고 자신의 성취감에 집중해야 한다. 따라서 부적응적인 자기 초점에서 벗어나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역기능적인 완벽주의 대신 안정적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되어야 한다. 이제 오로지 나만의 행복을 찾을 시점이다. 무언가를 위해 첫 단추를 끼운 모든 이들이 용기를 갖고 건강하게 마지막 단추까지 끼우길 바란다.
참고문헌
김지연. (2021).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초점적 주의와 반복적 부정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효과.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wjdgus373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