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두연
[The Psychology Times=서두연 ]
8월 18일, 넷플릭스 따끈따끈한 신작, 마스크걸이 공개되었다. 마스크걸은 웹툰을 원작으로 하며, 외모지상주의를 다루고 있다. 주인공인 모미는 자신의 못생긴 얼굴을 감추고자 마스크를 쓰고 BJ 활동을 한다.
넷플릭스 시리즈_마스크걸 포스터
마스크걸은 주인공 모미를 통해 한국 사회와 미디어의 외모지상주의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주인공인 김모미는 어릴 때부터 못생긴 얼굴로 인해 외모로 평가받는 삶을 살아왔다. 드라마 속 김모미와 주오남은 자신이 사랑받지 못한 이유를 외모에서 찾고 잘못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이 드라마는 우리 사회의 인터넷 문화가 만들어낸 외모지상주의를 비판하고 있다.
BJ 활동 중인 김모미_마스크걸 드라마 중
마스크걸은 외모의 중요함을 다루고 있기에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외모지상주의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김모미는 못생긴 얼굴로 인해 삶이 완전히 붕괴되고,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지 못한다. 주오남 또한 못생긴 외모로 인해 상처가 있는 인물이다.
김모미와 주오남은 항상 외모가 걸림돌이었고, 이로 인해 그들의 내면도 건강하지 못했다. 그 결과 김모미는 성형과 수감생활을 했고, 주오남은 살인을 하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했다. 김모미와 주오남은 자신들의 외모에 대한 아픔을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했고, 이는 결국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왔다. 우리 사회에 만연한 외모지상주의가 김모미와 주오남의 삶을 망가뜨렸지만, 이들은 외모지상주의를 잘못된 방법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이 그들의 큰 문제이다.
미디어의 발달로 많은 콘텐츠들이 미디어를 통해 보여진다. SNS, 인터넷의 발달로 외모지상주의가 더욱 발달했고, 외모지상주의는 영화, 드라마, 소셜미디어 등 여러 매체와 미디어의 영향을 받아 강화되고 있다. 사람들은 미디어를 통해 연예인들을 보며 그들에게 우월함을 느낀다. TV를 많이 보는 청소년일수록 외모를 중시하며 외모를 매력적으로 가꾸는 데 많은 관심을 갖는다.
외모에 대한 불안감은 자존감 하락, 자기 비하 등 부정적인 심리를 초래한다. 자신의 외모와 비교하면 타인과 경쟁하는 욕구, 우울증, 불안장애, 신체 이미지 장애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외모는 심리학적으로 헤일로 효과와 데블 효과를 일으키기도 한다.
헤일로(후광) 효과는 한 대상의 두드러진 특성이 그 대상의 다른 세부 특성을 평가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외모가 빼어나면 그 나머지 요소들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유명인들을 광고에서 사용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광고에 나오는 유명인들의 명성과 신뢰감 있는 이미지가 기업의 모습인 것처럼 만드는 것이다.
반대로, 데블(악마) 효과는 매력적이지 않은 외모 때문에 그 사람의 다른 측면까지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것이다. '아름다운 것이 좋은 것이다'라는 말처럼 외모가 주는 효과는 무시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미디어를 통해 외모지상주의 문화가 확산되면서 초등학생 때부터 화장을 하는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다. 요즘 사람들에게 메이크업은 자신들의 삶을 더 잘 살아가기 위한 방법들 중 하나이며, 향상된 외모는 심리적인 만족감을 주고 자신감을 향상시켜 대인관계 향상, 자아수용 등 여러 측면에 도움이 된다.
사람들의 외모관리는 심리적 안정감을 향상시키며,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이고, 자신을 더욱 가치 있게 여기게 되어 심리적으로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
미디어 속 외모지상주의는 우리 사회에 만연히 퍼져 있는 문화적 현상이다. 외모지상주의가 무조건적으로 잘못됐다고 비판만 할 것이 아니다. 외모지상주의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각이 변화해야 한다. 어른들은 청소년들에게 외모보다 내면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외모를 가꾸는 것은 오히려 심리적 안정감과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감을 주기도 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자신을 가꿀 줄 아는 것도 필요하다. 어른들은 외모지상주의를 병적으로 중시하는 문화에 대해 경고는 해야 하지만, 사회 변화에 따른 문화의 변화는 존중되어야 하지 않을까?
출처
장혜선.(2014).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이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박사). 서경대학교 대학원.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90590&cid=58345&categoryId=58345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endus122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