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영
[The Psychology Times=현지영]
이미지| 클럽하우스 어플의 시작 화면 (출처: 아이폰 앱스토어, https://apps.apple.com/us/app/clubhouse-drop-in-audio-chat/id1503133294)
2020년 3월, 미국의 Alpha Exploration Co.가 개발한 음성 기반의 소셜미디어(SNS), ‘클럽하우스’가 지난달부터 화제가 되었다.
‘클럽하우스’ 출시 이후 10개월이 지나서 갑자기 화제가 된 이유는 지난 1월 1일,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와 주식거래 플랫폼 로빈후드의 CEO인 블라디미르 테네브가 게임스탑 주식에 대한 토론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클럽하우스’는 가입이 되어 있다면 어떠한 예약 절차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유명인과 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가입을 위해서는 기존 가입자의 초대를 받거나 가입 요청 후 기존 가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클럽하우스’의 이러한 마케팅 방법에 숨겨진 심리는 무엇이고, 그로 인한 심리적 효과는 무엇이 있을지 알아보자.
소외에서 벗어나려는 심리를 이용한 마케팅
‘클럽하우스’의 마케팅은 소외되지 않으려는 심리를 이용한다. 지인뿐만 아니라 유명인과 대화할 수 있는 ‘클럽하우스’ 사용자가 되려면 기존 가입자의 초대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초대장은 기존 가입자 한 명당 2장이 주어진다. 초대장을 받지 못했다면 가입 요청 시에 대기 리스트에 추가되고 기존 가입자의 승인이 이루어지면 가입이 완료된다.
이러한 마케팅은 백로 효과와 편승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구매 행동에 있어 백로 효과는 희소성을 가진 상품을 구매하여 남과 다른 차별성을 얻으려는 것이고 편승 효과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가 구매자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박은희 외 1, 2013). 일반인이 일론 머스크를 비롯한 유명인과 대화를 나눈다는 것은 이전에는 거의 불가능했던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누군가의 초대나 승인을 받아야만 그룹에 들어가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아무나 그 기회를 가질 수는 없음을 내포한다. 그 ‘아무나’가 되지 않고 그룹 멤버가 되려는 심리, 백로 효과가 마케팅의 성공 원인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25만 명을 넘어 화제가 되면서 유행에 뒤처지지 않으려는 편승 효과도 기여했을 수 있다. 중고마켓 등에서는 ‘클럽하우스’ 초대장을 사고파는 사람이 늘고 있다.
혁신성에 가려진 새로운 경쟁과 스트레스 출현의 가능성
‘클럽하우스’는 새로운 형태의 SNS인 만큼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쟁과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클럽하우스’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에는 가입 후 어떤 절차로 대화에 참여할 수 있고 어디까지 정보가 노출되는지 언급되지 않는다. 실제로 ‘클럽하우스’에 가입한 후에는 연락처를 동기화하여 지인들의 가입 여부를 알 수 있고, 팔로우하면 지인들의 프로필과 팔로워, 가입한 클럽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알림을 설정하면 사용자가 대화방에 참여 시 그를 팔로우하는 사람들에게 알려준다. 하지만 비공개 계정을 만들 수 없고 누군가가 자신을 팔로우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차단 기능이 있지만, 대화방에 참여할 때 차단한 사용자에게 알림이 가지 않는 정도이며 프로필과 팔로워, 가입한 클럽은 여전히 노출된다.
위와 같은 사용자의 정보가 선택권 없이 타인에게 보이고 사용자 또한 타인의 정보를 마음대로 볼 수 있다는 점이 부정적 심리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2020년 상반기 앱에이프(App Ape)가 조사한 한국 10~50대 기준 사용량이 많은 SNS 순위에서 3위 안에 들었던 ‘인스타그램’과 비교해보자. ‘인스타그램’은 ‘클럽하우스’와 달리 비공개 계정을 만들 수 있고 다른 사용자를 차단하면 프로필조차 노출되지 않는다. 그런데도 ‘인스타그램’ 사용자의, 타인과의 비교에서 비롯된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었다(조성윤 외 3, 2020). ‘클럽하우스’는 이러한 우울감뿐만 아니라, 숨겨지지 않고 모두에게 보이는 팔로워 수로 인한 새로운 경쟁, 거부할 수 없는 팔로우로 인한 새로운 스트레스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참고문헌
-박은희, 구양숙. (2014). 대학생의 과시소비성향과 청바지 착용태도 및 구매행동.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1), 65-76.
-조성윤, 노환호, 이병관, 임혜빈. (2020).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우울 경험에 미치는 영향: 인스타그램 내 상향 비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감성과학, 23(3), 91-102.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