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우
[The Psychology Times=고민우 ]
고요한 늦은 밤, 하루를 마무리하는 일기를 작성하고, 사랑하는 사람에게 편지를 쓰거나, 애청하는 라디오를 들으며 사연을 보내 본 경험이 있는가? 평소와는 다르게 내면에 잠재되어 있던 감수성에 의해, 감정이 자극되어 울컥함을 느꼈을지도 모른다. 또한 풍부해진 감수성 앞에 한없이 솔직해졌던 내 자신의 모습을 보았을 수도 있다. 이처럼 시간적 배경으로서 ‘밤(夜)’과 감수성이 길들어진 서정적인 ‘밤’이 서로 공존함을 보여준다.
우리가 늦은 밤 풍부한 감수성에 잠기는 것처럼 여러 예술작품과 문학작품에서도 엿볼 수 있었다. 먼저 소개할 작품은 《별이 빛나는 밤》, 《아를르의 포룸 광장의 카페 테라스》, 《해바라기》 등으로 유명한 네덜란드 화가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작품이다. 그는 해 질 무렵부터 새벽까지 다양한 밤의 모습에 자신의 불안정한 심리와 희망을 내재했다. 특히 어린 시절 부모의 적절한 양육을 받지 못한 외로움, 정신질환과 함께 혼돈과 방황 등 내면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했다. 또한 실제로 고흐는 밤(夜)에 작업을 하는 것을 즐겨하였다고 알려진다.
[MoMA The Museum of Modern Art_The Starry Night]
“
나의 일기장 안에
모든 말을
다 꺼내어 줄 순 없지만
사랑한다는 말
이 밤 그날의 반딧불을
당신의
창 가까이 띄울게요
음 좋은 꿈 이길 바라요
[아이유 밤편지 中]
”
다음은 가수 「아이유」의 정규 4집 앨범 수록곡인 《밤편지》이다. 특히 가사 속에서 밤의 감수성과 그 이유를 짐작해 볼 수 있었다. 「JTBC 뉴스룸」에서 《밤편지》에 관한 인터뷰 중 불면증을 앓고 있을 때 작사했다며, 다음과 같은 영감을 밝혔다. “밤에 가사가 안 써져서 이거를 어떻게 풀지 고민하다가, 지금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뭐라고 고백해야 내 맘이 다 전해질지 하다가, 제가 진짜로 사랑 고백을 할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의 숙면을 빌어주는 게 지금 상황에서는 가장 큰 고백이라고 생각했어요.”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끝으로 소개할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로 유명한 독립운동가 「윤동주」의 작품이다. 사실, 여러 관점에 따라 작품 속 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찾아볼 수 있었다. 흔히 평가되는 것처럼 부정적 현실 인식이나 비극적 세계관을 가리키는데, 식민지 치하의 가난과 슬픔, 우리 민족이 겪은 고통과 아픔을 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그에게 밤은 글쓰기가 밤(夜)과 함께 시작된다는 시간이자, 성찰과 고백의 행위를 담은 의미였다고 한다.
이처럼 ‘밤’은 다양한 의미와 해석을 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성보다는 감성의 시간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어두움 속에서 시각적 기능이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감각이 예민해진다고 한다. 이에 자신을 표현하는 욕구가 커지게 되고 마치 본능에 해방된 시간이자, 공간이 되어 솔직해진다고 한다. 그리고 감정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이 밤이 되면 적게 분비되어 우울해지고 감수성을 끌어올린다고 알려져 있다.
어떤 이에게 ‘밤’은 내면의 깊은 상처를 꺼내어 치유하는 시간이 되었을 수도 있다. 또한 솔직하게 자신을 바라보게 되어 본연의 나를 알아가기도, 상대방과 대인관계에서 신뢰를 만들어 냈을 수도 있음을 알게 되었다. 바쁜 일상에 잠시 시간을 내어 감수성과 함께 솔직한 매력에 빠져보는 것은 어떨까?
지난 기사
지나친 부부 갈등, 성장기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 일까?
[참고문헌]
정영인(2018). 고흐의 작품에 표현된 “밤”의 심리적 의미, 19(2), 43-71.
JTBC 뉴스룸, "대상 영광스러워…10주년 앨범, 사람·시간 담을 것", (2018).
고봉준(2017). 윤동주 시의 세계 이해 - ‘밤’과 ‘성찰’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63(0), 7-41.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radsky336@naver.com
같이 웃어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