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영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
"제가 잠을 못 잘 때, 사랑하는 사람한테 고백을 가장 진정성 있게 할 수 있다면 뭐가 있을까?생각하다가
[제가] 잠을 잘 못 자니까 '잘자'라는 말이 가장 순정을 담은 고백인 거예요.
제가 불면증을 오래 앓은 후로는 누구랑 문자하거나 같이 있을 때 먼저 잠들면 그게 서운하고
'나 혼자만의 시간이네'라는 생각이 들면서... 연락이 친구들과 끊길 때 숙면을 응원하는 일이 옹졸해져요.
뭔가 잘 자라는 말에 인색하게 되더라고요”
위의 말은 아이유가 자신의 곡 중 하나인 “밤 편지"를 해석하며 설명한 내용이다. 가수 아이유가 겪었듯, 많은 현대인 또한 여러 이유로 인해 불면증을 겪으며 이러한 해석에 대한 공감을 샀다. 실제로, 코로나 이후 수면장애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2019년에 비해 3.2%로 증가하였다.
위의 통계에서 볼 수 있듯,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많은 이들이 불면증을 겪었는데, 이는 코로나(Coronavirus)와 불면증(Insomnia)을 합한 코로나솜니아(Corona-somnia)라는 용어로도 알려져 있다. 이 용어를 만들어낸 박사에 의하면 코로나솜니아의 이유로 FED-UP(영어 번역으로 ‘지긋지긋한’)이라는 두문자어를 사용하였는데 (Fry & Singh, 2023), 이는, 코로나 시기에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겪은:
심리 상담학 내에서도, 잠과 수면의 질은 첫 상담 시간에 내담자에게 꼭 확인하고 물어보는 질문 중 하나로, 그 이유는, 수면과 정신질환에 대한 연관도가 여러 연구를 통해 잘 알려져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여러 학술자료가 불면증이 우울증, 불안, 그리고 자살성 사고까지 일으킬 수 있는 위험 요소라고 설명한다 (김나현 등, 2006; Columbia University, 2023). 더 나아가, 한 메타 분석에 의하면, 개선된 수면의 질은 참가자들의 우울, 불안, 그리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Scott et al., 2021).
참고로, 미국에서 정신질환 진단을 내릴 때 사용되는 정신 진단 통계 매뉴얼, DSM-5에 의하면, 수면장애는 잠을 청하기 힘들 때, 잠을 유지하기 힘들 때, 또는 아침에 일찍 일어난 후 다시 잠을 청하기 힘들 때로 구분된다. 주기는 일주일에 3번 이상, 3달 이상 지속되는 경우 문제라고 보며, 수면 부족으로 인해 삶에 문제가 되는 상황 (사회, 직장, 교육, 등)이 생길 때 임상적인 문제라고 본다. 흥미롭게도, 코로나솜니아 또한 DSM-5에서 내려지는 수면장애 진단과 비슷한데, 공통적인 기준으로 잠을 청하고 수면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점, 수면 부족으로 인해 일어나는 불규칙한 수면 루틴, 집중력 저하, 그리고 감정 기복이 있다.
개인적으로 또 한편 드는 생각은 과연 공식적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코로나솜니아라는 사회 진단 용어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자가 진단을 일으켰을지이다. 여러 뉴스 매체에 의하면 코로나 유행 이후 불면증 관련 검색어가 최대 40% 증가하였다. 더 나아가, 코로나 이후 60세 이상 수면제 복용이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전문가들의 걱정을 사기도 하였다.
물론, 코로나 펜데믹 시간이 사람들의 수면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던 것은 부정할 수 없지만, 이러한 자가 진단과 증가한 수면제 복용의 관계를 보면, 코로나솜니아와 같은 용어가 미디어를 통해 사회에 끼칠 수 있는 위험한 영향을 생각해 보게 된다. 전문가 없이 자신의 문제를 분석하는 대신, 기본적인 생활을 다시 질문하고 찾아보며 보다 신중한 방법을 찾아보는 것 또한 중요하다 생각한다.
지난 기사
참고문헌
김나현, 최홍민, 임세원, 오강섭. (2006). 불면증의 심각도와 우울, 불안 및 불안 민감성의 관계. 수면, 정신생리, 13(2), 59-66.
김명미. (2023년). ‘이종석 열애♥’ 아이유 사랑법 재조명 “나랑 상관없이 네가 잘 잤으면.” 뉴스앤미디어.
박종언. (2023년). 20대 청년은 잠을 원한다...청년층 불면증 장애 최근 4년간 34% 증가. 마인드포스트. http://www.mindpost.or.kr/news/articleView.html?idxno=8302
송인성. (2023년). 코로나19 이후 우울증·불면증·공황장애 등 5대 정신과 질환 증가. 데이터솜. http://www.dataso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8620
정관성. (2022년). 코로나 이후 60세 이상 수면제 복용 증가. 의학신문.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7621
정희원. (2023년). 과도한 스트레스 받는 직장인, 만성불면증 주의. 세계비즈. http://www.segyebiz.com/newsView/20230905508867?OutUrl=nave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Columbia University. (2022). How sleep deprivation impacts mental health. Columbia University Department of Psychiatry. https://www.columbiapsychiatry.org/news/how-sleep-deprivation-affects-your-mental-health#:~:text=While%20insomnia%20can%20be%20a,anxiety%2C%20and%20even%20suicidal%20ideation.
Fry, A., & Singh, A. (2023). Coronasomnia: Definition, Symptoms, and Solutions. Sleep Foundations. https://www.sleepfoundation.org/covid-19-and-sleep/coronasomnia
Rashmi, S., Kumar P.S., Singh, F.D., Yaodong, G., &, Julien, S. B. (2022). Coronasomnia: A Hidden Problem of the COVID era. Is Melatonin a Potential Solutio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Research, 5, 325-340.
Scott, A. J., Webb, T. L., Martyn-St James, M., Rowse, G., & Weich, S. (2021). Improving sleep quality leads to better mental health: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leep medicine reviews, 60, 101556. https://doi.org/10.1016/j.smrv.2021.101556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p5562@nyu.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