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우수연 ]


출처 pixabay

우리의 일상생활을 떠올려 보자. 아침에 출근 준비를 하시는 부모님은 직장의 업무와 관련하여 업무의 내용, 마감 기한 등을 떠올리며 오늘은 어떠한 부분을 회의해야 하는지를 떠올리고 계실 것이다. 마찬가지로 자녀들 또한 학교의 일정과 관련하여 챙겨가야 하는 준비물이 무엇인지, 이번 주 학급 청소 당번으로 배정된 학생들의 뒷번호가 홀수 번호인지 짝수 번호인지를 떠올리고 있을 것이다. 


과연 이러한 기억들은 어떠한 원리로 우리의 머릿속에서 떠오르는 것일까?



부호화, 저장, 인출. 기억의 기본적인 세 가지 작용


출처 pixabay

기억이란 시간에 걸쳐 정보를 저장하고 인출하는 능력을 뜻한다. 심리적인 의미로는 사물이나 사상에 대한 정보를 마음속에 받아지고 저장하며 인출하는 정신 기능을 뜻한다. 이러한 기억은 세 가지의 기본적인 작용을 지니고 있는 데 부호화, 저장 그리고 인출이다.


부호화란 지각하며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지속하는 기억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뜻한다. 다음으로 저장이란 시간에 걸쳐 기억에 정보를 유지하는 과정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인출이란 부호화하고 저장하였던 정보를 마음에 다시 불러오는 과정을 뜻한다.


부호화의 예시로 다음과 같은 사례를 들 수 있다. 한 학생이 과학 수업 시간에 과학 수행평가와 관련된 정보를 습득한 것을 기억으로 변환하여 저장한 뒤 과학 수행평가의 내용, 일정에 대한 정보를 머릿속에서 유지하였다. 방과 후 학생은 집에 와서 과학 수행평가에 대한 정보를 다시 불러오며 기억한 내용에 걸맞게 수행평가를 준비하는 사례이다. 


이러한 부호화는 의미 부호화, 시각적 심상 부호화, 조직적 부호화라는 세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의미 부호화란 새로운 정보를 이미 기억에 있는 지식과 의미에 충만하게 연결하는 과정을 뜻한다. 다음으로 시각적 심상 부호화는 새로운 정보를 정신적인 그림 형태로 바꾸어 저장하는 것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조직적 부호화는 일련의 항목 간의 관계를 인식하여서 정보를 범주화하는 행동을 뜻한다. 


앞의 예시를 활용하여서 다음과 같은 사례를 들 수 있다. 과학 선생님은 발표 자료의 가독성을 중요하게 여기시는 분이라는 학생의 기억과 연결하여 수행평가 발표 자료를 제작할 때 가독성이 좋은 발표 자료를 제작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행평가 주제와 관련된 정보를 학생만의 방식으로 떠올려 그림 형태로 저장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수행평가 발표를 위한 최적의 정보를 수집하여 범주화하는 것이다. 



무심코 떠오르는 것이 아닌 체계적인 우리의 기억


출처 pixabay

기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듯이 체계적인 단계를 거쳐서 기억이 뇌에 머무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살면서 어떠한 정보를 생각할 때 마냥 정보를 습득하였기 때문에 머릿속에 떠오르는 정보들이 실은 조직적인 과정을 거쳐서 기억되는 것이 신기하지 않은가? 또한 부호화에 살펴본 내용을 기반으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해야 할 때 오랫동안 기억될 수 있는 장기 기억이 되도록 노력을 가해보는 것은 어떤가?





지난 기사


공감, 왜 중요하고 어떻게 하면 올바르게 공감할 수 있을까?

사소한 문제들로 금이 간 유리창 vs 문제없이 단단한 유리창, 어느 것이 더 안전할까?






참고문헌

Daniel L. Schacter,Daniel T. Gilbert,Matthew K. Nock,Daniel M. Wegner. 2022. 심리학입문. 시그마프레스.

네이버 국어사전. 기억

URL: https://ko.dict.naver.com/#/entry/koko/6388566874b247daa77f4c2e7490de47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235
  • 기사등록 2023-10-06 16:24:1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