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유다희]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외출이 줄어들며, 사람들이 우울감과 무기력증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우울감을 ‘코로나 19’와 ‘우울감(blue)’이 합쳐져 만들어진 ‘코로나 블루’라고 한다. ‘미라클모닝’은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외출이 줄어든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SNS에서 유행하고 있다.


 SNS에서 ‘미라클모닝 인증’이라는 해시태그를 건 게시물이 올라온다. 코로나 블루를 이겨내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통하게 된 ‘미라클모닝’은 할 엘로드 책에서 출발한 단어이다. 책의 저자가 주장한 ‘아침 습관’ 중요성을 기반으로 ‘미라클모닝’이 시작되었다.

 

 SNS 속 챌린지로 유행 중인 ‘미라클모닝’은 직장인, 학생 구분 지을 것 없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 자기계발을 하며 자신을 돌아보기 위한 시간을 갖는 일종의 루틴(routine)이다. 집에만 있어 늘어지는 생활 패턴을 지양하고, 이른 아침 자신만의 계획을 지켜내는 것이 ‘미라클 모닝 챌린지’이다.

 

 사람들은 ‘미라클 모닝 챌린지’를 통해 얻어가고자 하는 것은 ‘계획된 일을 지켜나감으로써 얻는 성취감’ 이다. 이러한 성취감은 ‘성취동기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사전에 따르면, 외적인 보상이 아닌 그 행동 자체에 즐거움을 지니고 의미를 부여하는 동기에 의해 일을 성취하는 경우를 ‘성취동기’라고 한다. 이를 학문적 이론으로 발전시킨 것을 ‘성취동기 이론’이라 칭한다.


 성취동기 개념은 데이비드 맥클레랜드(David McClelland, 1953)가 처음으로 소개했다. 성취동기는 4단계의 동기(생존의 동기, 소속의 동기, 힘의 동기, 성취동기) 중 가장 상위에 위치한 동기이다. 데이비드 맥클레랜드는 하위의 동기들이 채워져야 상위 동기 부여가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그렇다면, ‘미라클 모닝은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것일까?’ 아니면 ‘미라클 모닝으로 인해 성취동기가 높아지는 것일까?’.


 두 가지 질문 다 성취동기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전자의 질문 같은 경우, 아침에 일어나서 자기계발을 하는 것이 ‘미라클모닝 챌린지’의 전제이다. 살아가고자 하는 동기, 사회에 소속되고자 하는 동기, 자존심과 자존감을 위한 동기가 성취된 후에야 그 행동 자체가 즐거워 행동하는 성취동기가 발생한다. 후자의 질문의 경우, 성취동기 전의 3단계의 동기가 모두 이루어졌고, 마지막 성취동기 달성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미라클모닝’이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계획된 루틴(routine)을 지켜내며, 얻는 성취감과 만족감으로부터 우울감과 무기력함을 벗어나기 위해 ‘미라클모닝’은 시작된다. 늦잠으로 시작하여 하루를 무의미하게 보내는 것을 지양하고자 하는 마음가짐이 ‘미라클모닝’을 실천하게 하는 의지이자 성취동기라고 볼 수 있다.


 일상 속 ‘미라클모닝’의 가장 큰 예는 기상 시간 앞당기기이다. 평소 일어나는 시간보다 1시간 일찍 일어나고자 다짐한 후, 그를 지켜냈다면 하루가 뿌듯하고 기분 좋게 시작될 것이다. 아무런 보상이 주어지지 않아도, 그 행동을 지켜냄으로써 얻는 기분이 곧 성취동기라고 볼 수 있다. ‘미라클모닝’을 통해 가장 상위의 동기를 강화할 수 있게 된다. 


 기상 시간을 단순히 앞당기는 변화부터 그 시간에 자기계발을 하기까지 개인마다 다른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그를 지킴으로써 얻게 되는 성취감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 것이다. 코로나 블루로 무기력감에 빠진 사람들에게는 다시금 다른 생활을 도전할 수 있는 ‘동기’ 또한 부여될 수 있다.

 

 ‘미라클모닝’은 자신과의 약속으로 시작되는 ‘challenge(도전)’이지만, 지키지 못해 우울감에 빠질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과도하게 새운 계획으로 인해 무리하게 실행해갈 경우, ‘번아웃 증후군’에 빠질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참고자료

*미라클모닝 책 표지-교보문고 공식 홈페이지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91157841110&orderClick=LAG&Kc=

*성취동기이론 정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70227&cid=41991&categoryId=41991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25
  • 기사등록 2021-02-16 15:16:08
  • 수정 2021-02-22 11:22:3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