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정연 ]

행슈. 방송과 영화. 영화 터미네이터 시리즈, 레전드를 돌아보다! 2023.6.16

1991년 개봉한 터미네이터2는 많은 명대사와 명장면이 있다. 특히, 터미네이터가 용광로로 들어가며 ‘I will be back’이라고 말하는 장면은 명장면이자 밈으로서 여전히 유명하다. 그러나, 이 장면에는 오류가 있다.

 

터미네이터가 용광로로 들어가기 전 외친 대사는 ‘Good Bye’이며 들어가는 중에 외친 대사는 없다. 우리에게 친숙한 이 장면은 터미네이터2 속 명대사인 ‘I will be back’과 명장면인 용광로로 들어가는 모습이 우리의 기억에 남아, 서로 합쳐져 생긴 것이다.

 

2004년 ‘발리에서 생긴 일’에서 조인성 배우가 울며 주먹을 입에 넣는 장면은 핸드폰을 두 손으로 잡는 장면이었고, 2001년 ‘봄날은 간다’ 속 이영애 배우의 ‘라면 먹고 갈래요?’라는 대사는 ‘라면 먹을래요’였던 것 또한 같은 현상이다.

 



만델라 효과


만델라 효과는 대중문화 속 특정한 아이콘에 대해 일관되고 공유되는 거짓 기억을 설명하는 인터넷 현상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특정 이미지나 단어, 역사적 사건 등에 대해 다수의 사람이 거짓 기억을 공유하는 현상이다.

 

만델라 효과는 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넬슨 만델라’가 감옥에 수감되었을 때, 발생한 현상에 이름이 붙여지며 인터넷을 통해 널리 퍼지게 되었다.

 

1980년 사람들은 ‘수감된 다른 동료들처럼 죽을 것 같다.’라는 넬슨 만델라의 발언과 동료들의 연이은 사망 소식, 죽은 후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인 흉상이 넬슨 만델라가 살아있음에도 세워진 일, ‘만델라를 기억해야 할 때’라는 제목으로 나온 넬슨 만델라 아내의 인터뷰 기사 등을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수감된 만델라가 죽었다는 것이 입증되거나 근거를 갖고 확신하는 기사를 보지 못했음에도 넬슨 만델라가 죽었다고 생각하며 충격에 빠지게 된다. 이후, 초자연 현상 연구자인 Fiona Broom이 이러한 현상을 ‘만델라 효과’라고 칭하면서 인터넷을 통해 퍼지게 된다.

 



시각적 기억 오류의 원인


시각적 기억은 이미지와 영상 등 시각적 자극의 세부사항과 관련된 강하고 높은 저장 용량을 가지고 있으나, 오류에는 취약하다.


Deepasri Prasad & Wilma Bainbridge의 2022년 연구에 따르면 시각적 기억 오류의 원인은 4가지가 있다.

 

첫 번째, 사람들은 친숙한 자극에 더 잘 반응한다. 조작된 이미지와 정확한 이미지를 섞어놓고 올바른 것을 찾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평균 신뢰도와 평균 친숙도는 유의미하게 상관있었다. 또한, 사람들은 익숙한 자극에 좀 더 자신감 있는 반응을 나타냈다고 한다. 그러나, 신뢰도와 자신감의 증가는 정확성을 올리지 않으며 두 요인에 따른 정확도는 놀라울 정도로 낮다고 한다.

 

두 번째, 이전에 형성된 기억을 우선시한다. 정확한 이미지를 보여준 후, 조작된 이미지와 정확한 이미지 중 어떤 것이 옳은지 선택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이전부터 가지고 있던 조작된 기억에 의존하여 추측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한다. 즉, 최근에 형성된 기억보다 이전에 형성된 기억이 우선시된다는 것이다.

 

세 번째, 조작된 이미지에 취약하다. 현실을 살아가며, 조작된 이미지보다는 그렇지 않은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접할 확률이 높다. 그러나 조작된 이미지에 최소한으로 노출되는 것만으로도, 자주 접하고 잘 알고 있는 올바른 이미지가 아닌 조작된 이미지가 기억에 남게 된다.

 

네 번째, 자발적으로도 기억 오류를 생성한다. 올바른 이미지를 보여주고 지연시간을 가진 후, 그림을 떠올려 그리게 한 결과, 조작된 이미지를 제시하지 않았음에도 기억 오류가 발생했다. 환경적, 문화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특성과 밝혀지지 않은 자극의 특성이 기억에 영향을 미쳐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이렇듯 개인의 기억뿐만 아니라 다수가 공유하는 기억 또한 진실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확신 있게 자신의 의견을 말하기 전 자신과 다수의 기억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탐색을 통해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지난 기사


어머, 이건 인스타 각이잖아!

이별을 함께하는 사회

알바 그만둔다고 엄마가 말해주면 안 돼?





[출처]

Deepasri Prasad, Wilma Bainbridge. “The Visual Mandela Effect as evidence for shared and specific false memories across people” publication at Psychological Science. 2022

tvn. 미스터리 실험쇼 다빈치 노트. 4회. 2021.08.28.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261
  • 기사등록 2023-10-05 06:54:2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