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지현 ]


지난 글에서는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강박 사례를 통해 강박 장애가 어떤 장애인지, 주요증상인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에 어떤 특징이 있는지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글에서는 지난 글에 이어 강박장애에서 강박사고와 강박행동 간의 연관성, 발병 과정에서 치료기법까지 자세히 다뤄보고자 한다. 

 




내 머릿속 강박사고


강박장애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그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이론은 “강박사고 억제의 역설적 효과”이다. 우리의 뇌에서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내적, 외적 자극이 발생하면 침투적 사고가 발생한다. 침투적 사고란 우연히 의식에 떠오른 불쾌한 생각이며, 대표적 예시로 수업 시간에 선생님께 욕을 하거나 나를 화나게 한 상대방을 때리는 상상 등을 들 수 있다. 자신의 자아 속성에 위배되는즉, 자신이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고이기 때문에 자아-이질적인 특성을 지닌다. 대부분의 사람이 흔히 경험하는 사고이지만 강박 장애 환자의 경우 이를 과도하게 위험하다 지각해 통제하고자 하며 파국적인 해석까지 이르게 된다. 일련의 과정이 자동적으로 매우 빠른 시간 이내에 이뤄지기 때문에 이를 자동적 사고라 부른다. 자동적 사고는 자아 동조적 성격을 띈다. 자아 동조적 성격이란, 자신의 머릿속에 떠오른 생각이 자신에게 맞는 특성을 지녀 불편감을 느끼지 않는 사고를 의미하며, 당연히 나쁜 생각이고 그런 생각을 한 내가 밉다, 혐오스럽다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증상의 악화과정


자아 이질적 사고인 침투적 사고와 자아 동조적 사고인 자동적 사고가 연합된 강박사고로 인해 유발된 불쾌하거나 불안한 정서 반응을 억제하고자, 즉 떠올리지 않기 위해 주변을 정리하거나 같은 생각을 계속해서 반복하는 등의 강박행동을 보이게 된다. 


강박행동을 통해 강박사고를 떠올리지 않게 되자 둘은 긍정적으로 연결된다. 강박 행동을 하면 강박 사고가 나를 괴롭히지 않는다는 규칙이 생기며, 강박 장애의 악순환은 반복되어 증상을 더욱 악화시킨다. 

 



치료할 수 있을까?


강박장애의 가장 대표적 치료기법으로는 노출 및 반응 방지법이 있다. 내담자 본인이 불안해하거나 싫어하는 사고에 노출을 시키되 강박 행동은 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사고에 노출시킬때에는 실제로 불안한 상황을 맞닥뜨리는 실제적 노출과 상상을 통해 재현해 보는 심상적 노출을 주로 활용한다. 


침투적 사고에 대한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를 수정하는 인지적 기법 또한 효과적 치료 전략 중 하나이다. 내담자의 자동적 사고에 대해 상담자와 논박을 통해 현실검증을 진행하고 침투적 사고는 위험하지 않고 보편적이며 정상적 사고임을 인식시켜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를 막는다.

 



끝맺으며


강박 장애의 강박사고는 통제하지 않으려 하면 쉽게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꽤 흔한 정신 장애이고 증상의 심각도도 중증이지 않은 이상 삶에서 큰 고통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초기 발견을 놓치거나 증상을 발견하더라도 방치하는 경우도 흔하다. 하지만 증상을 초기에 발견하고 초기에 개입할 수록 완치율은 매우 높게 상승한다. 흔한 정신병리라고, 곧 나아질 거라는 막연한 걱정보단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해당 증상이 자신의 삶에 고통을 유발한다면 가까운 병원을 찾아가는 것을 추천한다. 






지난 기사


'누군가가 나를 해치려고 해' 조현병에 대하여 1부

‘누군가가 나를 해치려고 해’ 조현병에 대하여 2부

강박이 의심된다면 -1부






참고문헌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사진출처 : 감정기복과 자기혐오에 대하여[구굴이미지].  (2023.09.30). URL :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216&mcode=m223hf74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278
  • 기사등록 2023-10-10 15:38:2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