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백지혜 ]


우리 자신을 한 번 되돌아보자. 누군가와 함께 음식점에 들어섰을 때, 상대에게 ‘혹시 어떤 거 먹을 거야?’라고 물어본 적이 있는가? 아마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해당 경험이 존재할 것이다. 본인 또한 누군가와 함께 음식점에 들어가거나 무언가를 주문해야 하는 가게에 들어서면 상대에게 꼭 무엇을 원하는지 물어보곤 한다. 그런데, 상대방이 무엇을 원하는지 먼저 물어보는 것이 한국인만의 고유한 특징임을 혹시 알고 있었는가? 필자는 최근 사회심리학자가 출연한 ‘유퀴즈 온 더 블록’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인의 고유한 심리적 특성에 대해 알게 되었다. 당연하다고 생각하며 해온 행동들이 한국인에게만 나타나는 심리적 특성이라는 사실이 매우 흥미로웠기 때문에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다.

 


한국인의 특징?


한국인의 특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특징으로 두 가지를 뽑을 수 있다.

첫 번째로, ‘관계주의’이다. 서론에서 말했던 누군가와 주문해야 하는 곳에 들어갔을 때, 상대에게 무엇을 먹고 싶은지 묻는 것이 관계주의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한국인은 주변 사람과의 소통을 중시하기 때문에 메뉴판을 보기도 전에 상대에게 무엇을 먹을 것인지 물어본다. 또한 물어봄과 동시에 본인이 원하던 메뉴를 상대가 원하는 메뉴로 바꿀 준비를 마친다. 즉 관계주의란, 타인의 취향이나 선택에 따라 의견을 바꿀 준비가 되어 있는 관계 지향적인 삶의 태도를 뜻한다. 관계주의의 또 다른 특징은, ‘배려’하기 위해 ‘원칙’을 깬다는 것이다. 줄 서 있을 때 뒷사람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배려’가 원칙을 깨는 관계주의 형태의 배려이다.


두 번째로, ‘주체성’이다. 주체성이란 자신의 존재감과 영향력을 확인하고 확대하려는 성향을 뜻한다. 이는 앞서 설명했던 관계주의와 함께 설명될 수 있는데, 한국인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 주체성을 띠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즉 한국인은 다른 민족에 비해 주체성이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체성이 강하여 발생하는 긍정적인 부분은 창의적인 사고를 유연하게 한다는 것이다. ‘가위’를 발명해 낸 것이 바로 창의적 사고로 발생한 긍정적 결과물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주체성이 강함으로써 발생하는 부정적인 영향 또한 존재하는데, 바로 자신의 주관이 지나치게 뚜렷하다는 것이다. 사회의 일부로써 자신의 의견을 굽혀야 하는 상황 또한 발생할 수 있는데, 한국인들은 다른 민족에 비해 자신의 의견을 쉽게 굽히지 않고 고집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 특징을 설명하는 건 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이란, 사회환경 속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타인과 관계를 맺고 사회의 문화·규범·제도 등의 규제를 받고 생활하는 인간의 경험이나 행동을, 그러한 사회적 여러 조건과의 관련해서 이해하고 설명하려고 하는 학문이다. 즉 사회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생각 및 경향성이 사회적인 영향 아래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국인의 사회심리적 특성(눈치, 체면)과 와인 소비 형태에 관한 연구_배형근’에 따르면, 한국인의 성격 특성과 심리 구조에 관한 연구 중에서 ‘눈치’는 가장 많이 공통으로 지적되는 개념이라 설명한다. 뒤이어 상호작용하는 관계에서 서로가 자기 내면을 직접 노출하지 않거나 간접적인 단서, 상황으로 상대의 내심을 추론하여 짐작하는 상황, 부드럽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상대와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속성을 지닌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러한 눈치의 심리적 특성은 주로 수직적 사회구조 문화, 유교적 형식주의 문화, 타인의 평가를 중시하는 문화, 감정과 분위기 지향적 문화 등의 문화적 특성과 의례성에 의해 형성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하여 ‘최상진, 김기범(2011)’은 ‘의례성’을, 자신의 속마음과 다른 행동, 언행을 한다는 것을 상대가 알 수 있다는 것을 확신하면서도 그런 행동이나 언행을 하고, 또 상대방은 이러한 의도를 알면서도 모르는 척 받아줌으로써 어색함이나 불쾌함을 피하고자 하는 한국 특유의 개인 상호 작용 문화의 특성이라고 하였다. 즉, 한국인의 여러 심리적 특성을 다룬 사회심리학 연구를 확인하면 한국인의 ‘관계주의’와 ‘주체성’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눈치 보는 것, 안 좋은 건가요?


눈치를 본다는 행위는 자신의 의견보다는 타인의 의견을 존중함으로써 관계에서 불필요한 부정적 감정을 최소화하려는 행위로 설명될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자신의 의견보다는 사회에 함께 존재하는 타인의 의견을 우선하는 행위로도 볼 수 있다. 적절한 눈치는 어찌 보면 다른 민족에 비해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이 더욱 강하다는 의미일 수 있기에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남을 위하여 자기 자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배려는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부담으로 다가갈 수 있기에 지양하는 편을 추천한다.


한국인이 가진 고유한 특성으로 해당 특성은 다른 민족에 비해 우월하다, 해당 특성은 다른 민족에 비해 열등하다고 판단할 수 없다. 어떤 특성이든 존중받아야 하고 가치있다 여겨져야하기 때문이다. 해당 기사로써 한국인이 가진 특성으로 한국인을 다른 민족에 비해 우월하거나, 열등하다고 느끼는 독자가 없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기사의 끝을 맺는다.






지난 기사


자꾸만 조급해지는 당신에게

묻지마 범죄, 왜 발생할까?

타인은 감옥이다, '가면 증후군'

음악을 들어야 능률이 오르는 편입니다', 사실일까?

애정결핍, 특별하지만 특별하지 않은 이야기






<참고문헌>

배형근. (2017). 한국인의 사회심리적 특성(눈치, 체면)과 와인소비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외식경영연구

유퀴즈온더블럭 [유퀴즈온더블럭]. (2023). https://tv.naver.com/v/33785362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385
  • 기사등록 2023-11-01 08:23:3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