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가트맨의 부부심리 상담: 의사소통의 중요성 - 가트맨의 이론, 적용과 비판
  • 기사등록 2023-11-08 14:17:51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



부부 심리 상담의 한 획을 그은 심리학자, 존 가트맨(John Gottman)에 의하면, 부부 심리 상담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은 바로 평형 또는 항상성(homeostasis)이다. 이 항상성이란, 아내와 남편이 둘 다 어떠한 역할을 가짐으로써 부부관계는 누구 하나의 탓이 아닌 그 둘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일컫는다. 따라서, 가트맨이 부부 상담 내 강조한 것은 그들의 의사소통 방법이라 하였다. 예를 들어, 아내가 토로하는 불만이 남편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부부가 다툴 때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표정의 변화, 등등을 과학적으로 살펴보며 가트맨은 부부의 이혼율을 예측하였다.


여러 이론 중, 부부의 다툼을 일으키는 요소들을 대표적으로 네 가지를 설명하였는데, 이는 비난(Criticism), 방어(Defensiveness), 경멸(Contempt), 그리고 담쌓기(Stonewalling)가 있다.


비난(Criticism)

먼저, 비난은 상대방의 행동이 객관적으로 잘못됨을 내시한다. 주로 행동을 넘어서 성격과 능력을 공격하며 “당신은 항상~” 또는 “당신은 절대~” 라는 문장으로 시작한다. 비난과 불평은 확고한 차이가 있는데, 불평은 개인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방법의 하나로, 서운하였던 점 또는 상처받은 점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가트맨에 의하면, 불평은 부부생활에 큰 타격을 입히진 않지만, 불평에 더해 상대방을 지적하는 비난은 결혼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설명한다.


방어(Defensiveness)

비난을 받는 배우자는 공격받은 것 같은 느낌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방어적인 태세를 보인다. 방어를 하는 배우자는 자기 행동을 인정하는 것 대신 비난의 화살을 당사자에게 돌리며, 또 다른 비난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더 나아가, 방어는 결혼문제에 대한 책임을 부정하는 등 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비난과 방어적 패턴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 보다 상대방의 문제점을 가르치는 것이 쉽기 때문에 더 많은 의사소통의 문제가 된다. 


경멸(Contempt)

세 번째로, 경멸은, 가트맨이 보기에 부부의 이혼을 가장 잘 예측하는 위험요소라고도 하였는데, 이는 개인이 상대방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내가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을 설명하며 하소연하고 있을 때, 남편이 아내를 조롱하는 듯한 목소리로 따라 하는 것이 있다. 남편은 아내를 조롱함으로써 아내가 전달하려는 내용이 자신에게는 무관하다는 태도를 보이며 결국, 자신이 우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담쌓기(Stonewalling)

마지막으로, 담쌓기는 부부 중 한 명이 소통에서 물러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듣는 둥 마는 둥 하는 모습이나 침묵으로도 나타날 수 있고, 직접 자리를 피하는 것과 같은 모습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은 부부 심리학에서 요구와 철수 패턴 또는 폭풍과 거북이와 같은 비유로도 알려져 있으며, 한 사람이 대부분 무엇인가를 요구할 때 상대방은 철수하는 모습을 일컫는다. 


가트맨에 의하면 남편이 아내보다 담쌓는 행동을 보일 확률이 더 높고, 여자가 담쌓는 행동을 보일 경우, 부부의 이혼율이 훨씬 더 높다고 하였다. 흥미롭게도, 가트맨은 남녀의 이성애 중심적인 연구를 많이 실행하며, 실제로 부부 심리에 관한 연구 중 그는 결혼생활 중 아내보다 남편이 가지는 위치와 성격을 중요시하였다. 그에 의하면, 남편이 아내의 요구와 의견에 더 순응하는 모습을 보일수록 더 긍정적인 결혼생활을 암시하였다 한다.



개인적으로 이러한 편견이 부부 상담 시 상담사와 남편 내담자의 관계를 깨뜨리진 않을지, 임상적으로 부부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더 나아가, 사회 내 존재하는 남녀 갈등과 성에 대한 고정 관념을 더 강화하는 방법이라고도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로, 남편과 아내에 대한 요구보다는 그들의 의사소통에 더 주목하며 이 의사소통의 근본적 문제, 시작, 그리고 남편과 아내, 두 내담자가 동시에 가지고 오는 문제점들을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문제들 너머, 부부가 가지는 긍정적인 모습들, 애초에 결혼을 결심하게 된 이유, 또는 이혼을 아직 고려하지 않은 이유를 같이 살펴보며 서로에 대한 애정을 다시 기억하는 것 또한 부부 심리 상담 내 큰 힘이 될 것이다.







지난 기사


어디까지가 범죄이고 어디까지가 정신질환일까?

반려동물, 가정 내 작은 심리 상담사

코로나솜니아 (Coronasomnia): 코로나로 인한 불면증?

마음챙김과 명상: 내면 속 침묵의 힘

간접 트라우마: 일상 속 트라우마와 마음의 무게







참고문헌

Gottman, J. M. (1999). Ch 2: Repair and the Core Triad of Balance. In The Marriage Clinic: A scientifically-based marital therapy. essay, W.W. Norton.

Campbell, B. (2023). Marriage, Couple & Family Counseling. 뉴욕대학교.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460
  • 기사등록 2023-11-08 14:17:5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