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주희
[The Psychology Times=최주희 ]
기쁨, 분노, 슬픔, 즐거움, 사랑 등 우리는 다양한 감정을 순간순간 경험하고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 모두를 때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어떤 이들에겐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 숙제로 여겨질만큼 어려운 일이기도 하고, 어떤 이들에겐 감정 조절이 너무나도 자연스러워 어렵지 않은 일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감정 조절을 어떤 방식으로 하고 있을까? 가장 적합한 감정 조절 방법은 무엇일까?
사진 출처: pixabay
우리는 감정을 조절할 때 방어기제가 나타난다. 이는 성숙도에 따라 방어기제의 방식이 달라지는데, 주로 어린아이에게서 보이는 부정(Denial), 조금 더 현실적인 방어기제인 억압(Repression), 가장 성숙한 방어기제인 억제(Suppression)가 있다.
부정(Denial)의 경우, 가장 원초적인 방어기제로 인식된 정보를 무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린아이가 기저귀에 변을 본 후, 아무렇지 않은 척 부모님께 거짓말을 하는 것이다. 실제로도 변을 보지 않은 것처럼 행동한다.
억압(Repression)의 경우, 원치 않는 일이 발생했을 때 생기는 감정을 억압하고 무의식에 가두는 것이다. 예를 들어, 친한 친구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겼을 때, 이는 충분히 마음이 아플 일임에도 아무 감정이 느껴지지 않고 차분하거나 멍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자기 생각과 감정을 억압하여 의식 위로 올라오지 못하게 무의식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억제(Suppression)는 억압과 비슷해 보이지만 자신의 감정을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는 불편한 감정을 인지하고 있지만 스스로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오래 만난 연인과 헤어져 슬픔이 가득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학교에 가고 회사를 가며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것처럼, 감정에만 갇혀있지 않으려 노력한다.
그렇다면 방어기제 외에 우리가 가장 효과적으로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평가(appraisal)이다. 스탠퍼드 대학교 심리학과 제임스 그로스 교수에 따르면, 감정이 촉발되는 과정을 크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 어떠한 상황을 마주하게 되는지
2. 그 상황을 어떻게 조절할 수 있는지
3. 상황의 어느 면에 주의를 집중시킬 것인지
4. 그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
이렇게 4단계의 평가(appraisal)의 과정을 거쳐 감정 조절을 하게 된다. 실제로 그로스 교수는 피가 튀기는 잔인한 영상을 시청하게 하고 평가와 억제의 두 가지 방법을 활용해 감정 조절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억제 그룹은 심박수가 올라가고 피부 전도 반응이 증가했으며 전체적인 교감신경의 활성화가 나타났다. 반면 평가를 한 그룹은 신체적 반응(심박수, 교감신경 변화)과 심리적 반응(구토, 역겨움)을 상대적으로 적게 경험했다고 한다.
우리는 스스로 지혜롭게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그래야 어떠한 관계와 상황에서든 실수하지 않고 자기 자신을 지키며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부정, 억압, 억제, 평가와 같은 감정 조절의 여러 가지 방법 중 자신은 어떤 방식으로 감정을 조절해 왔는지 확인해보자. 또한 이후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지, 어떻게 평가의 방법을 이용하여 삶에 적용해야 할지 고민해보고 개선해 나갔으면 한다.
지난 기사
나 O 개 국어할 줄 알아! ··· 다중언어의 인지효과
나 요즘 뭘 해도 기쁘지 않아.. 한때는 즐거웠던 일이었는데
<참고문헌>
궁금하심. (2021.09.08). [정신건강백과사전] 감정을 조절하는 방어기제 [부정,억압,억제], https://youtu.be/fy-d5IGUnqA?feature=shared
궁금하심. (2021.09.086. 화, 우울, 감정을 조절하는 3가지 방법. https://youtu.be/fy-d5IGUnqA?feature=shared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cjh040584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