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서두연 ]


  1. 최근에 우리나라를 떠들썩하게 한 연예인 마약 사건이 있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편화로 마약에 접근성이 용이해지면서 마약사범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마약에 중독되면 사람은 정신에 이상이 생겨서 정상적인 활동을 하기 어려워진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마약에 중독되는 심리는 무엇이며, 마약중독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먼저, 필자는 최근에 나온 하이쿠키 드라마를 소개하려고 한다.


하이쿠키 드라마 포스터

하이쿠키 드라마는 학교에 퍼진 마약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마약중독의 위험성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극 중 사람들이 하이쿠키를 먹으면 마약을 한 사람과 동일한 행동을 보이고, 먹은 사람은 마약에 중독된 것처럼 하이쿠키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이쿠키 드라마는 요즘 학생들에게도 마약이 퍼지고 있는 마약의 실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하이쿠키에서는 마약에 중독되었을 때 보이는 다양한 행동을 보여주며, 마약을 했을 때 얼마나 무서운 결과를 초래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하이쿠키 드라마 중_마약이랑 같은 하이쿠키 사진

극 중 하이쿠키는 마약과 같은 성질을 띄어 쿠키를 먹은 사람들은 환각증세를 보이고, 계속해서 쿠키를 먹고자 찾는다. 하이쿠키를 먹은 사람들은 자신의 욕망과 쾌락을 채우기 위해 계속해서 먹고자 하고,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쿠키를 먹은 자들은 일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극 중 등장인물인 민영이라는 학생은 어렸을 때 일반적인 가정이 아닌 폭력적인 아버지 곁에서 자란 아이로, 하이쿠키를 먹고 자신의 결핍을 채우는 듯 보인다. 하이쿠키는 성적, 경쟁으로 인한 스트레스, 욕망, 결핍 등을 채워주는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마약은 우리의 욕망을 건들고, 욕망을 이용해 마약을 하도록 한다. 마약은 호기심과 욕망이 원인인 경우가 많아서 호기심과 욕망을 경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이쿠키는 마약이 학교, 청소년에게 퍼지고 있는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마약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운다.



사람들이 마약에 중독되는 심리는?


마약과 같은 중독성 약물을 사용하면 뇌에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분비가 되는데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기분이 좋아진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우울, 불안 등의 기분이 생겨 약물을 찾게 된다. 도파민은 사람들이 다시 약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욕망을 불러일으킨다. 약물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뇌의 보상 시스템과 회로 변화로 인해서 도파민 결핍이 발생하여 사람들을 우울하고 불안하며 의욕을 잃게 만든다. 이러한 감정을 약물을 사용함으로써 즉시 완화되게 하며 이것은 약물 중독자들이 늘어나는 이유이다.


대부분의 약물 중독자들은 심각한 성격적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약물사용이 습관화된 경우가 많다. 실제로 우울하거나 불행한 삶을 사는 사람들은 일시적인 안정을 찾고자 약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 마약류 사용자 540명을 대상으로 한 보건복지부 2021년 마약류 사용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마약사용 동기로 욕구나 갈망(68%) 다음으로 우울감이 33%를 차지했다. 이는 우울감이 마약의 동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의학자들은 약물을 통해 평소에는 얻을 수 없는 의지력과 자신감을 얻고자 약에 의지한다고 말한다. 마약 중독자 중에는 교육 수준이 낮으며 직업이 없거나 자신의 직업에 불만족한 사람의 수가 많다고 한다.


실제로 심리적인 이유가 마약중독의 원인이 된다. 실제 마약중독자들의 연구한 결과 공통점으로 일상의 결핍과 억압이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마약중독자들은 어릴 때 가정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는 환경에서 자라지 못했다. 또한, 일방적이고 억압적인 부모님의 태도에 불만을 가졌었다. 마약은 자신이 받는 스트레스와 불안을 해소해 주는 도피처로 사용되기도 한다. 자기혐오나 자기부정으로 인해 마약에 빠지는 사람들도 있었다.




마약중독 치료법은?


처벌이 마약을 끊는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처벌보다는 치료를 위한 환경이 먼저 지원되어야 한다. 마약 재활강사나 회복상담사들에게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양성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중독예방과 회복을 지원하는 지지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마약 중독 치료 재활 과정에서 의료인, 상담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가의 개입이 이뤄져야 한다. 따라서 전문적 상담 등 적절한 치료적 개입 등 체계적인 시스템과 전문인력의 보충이 이뤄져야 한다. 


마약은 우리의 삶을 한순간에 송두리째 가져가버린다. 마약은 처음엔 호기심일 수 있지만, 어떠한 이유로든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마약중독 치료법도 중요하지만, 사회적인 관심을 통해 마약의 위험성을 알리는 것 또한 중요할 것이다. 하이쿠키는 사회적인 관심을 많이 받는 마약이라는 소재를 통해 마약의 위험성을 알리고자 했다. 마약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깨닫는 것에서 마약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지난 기사


외모보다 내면이 중요하다는 말, 진짠가요?

교사, 당신의 심리는 안녕하신가요?

잠'들지 못하는 하루, 수면심리학으로 들여다 보기

혼자가 편해요

데블스 플랜으로 본 군중심리





출처.

최미경.(2023). 청년 마약중독자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교수). 서강대학교. 한국사회복지학.

약물중독에 빠지는 이유가 뭘까? 마약에 빠지는 심리 | 로톡 (lawtalk.co.kr)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470
  • 기사등록 2023-11-07 08:39:1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