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진원
[The Psychology Times=서진원 ]
pixabay
우리의 ‘몸’은 우리의 정신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다. 각자 개인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신체상이 있을 것이다. 자신의 신체상과 다른 모습의 신체는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신체 변화와 신체상의 차이에 따른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신체상이란 개인이 자신의 부분, 전체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말한다. 신체상은 신체 감각, 지각이나 경험,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태도 등에 영향을 받기도 하며, 이를 통해 형성된 자아개념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신체상은 자아의식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개인의 능력과 한계를 결정짓게 하기도 한다.
pixabay
많은 여성이 ‘미’와 관련된 신체상으로 ‘마른 체형’을 꼽는다. 이러한 생각으로 인해 마른 체형을 정상적인 신체상의 범주에 두어 자신의 체형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주로 여학생들이 미와 관련된 신체상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여학생이 비교적 부정적 체형평가를 내리고,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이 체형에 대한 강박을 만들고, 섭식 장애로 이어져 거식증, 폭식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신체의 형태가 심리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은 장애인에게도 마찬가지다. 직접적인 신체 구조의 변화를 겪은 장애인은 사회적으로도 영향을 받는다. 사회의 문화적인 요인에 따라 정상과 정상이 아닌 삶을 나누어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기준과 틀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장애인은 자신이 정상적인 틀 안에서 어긋난 모습을 하고 있다고 인지하게 된다. 이것은 열등의식을 불러일으키고, 부정적 신체상에 대한 불만으로 자아 형성도 불안해지며 정서적으로 소극화되고, 무능감, 무가치, 대인 기피증을 낳기도 한다.
신체의 구조의 형태적 변화를 겪은 사람들도 있지만 기능적 변화를 겪은 사람들도 있다. 예를 들어 ‘장루’환자가 있다. 장루란 회장, 결장, 대장, 십이지장 등 장관에 인위적으로 개구부를 만들어 놓은 것을 말한다. 장루는 질병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배설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대장암 환자가 있다. 대장암 환자의 80%가 회장루, 결장루를 보유하고 있으며 암 환자의 증가에 따라 장루를 보유하고 있는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2015년 국내 장애인 현황 보고에 의하면 장루, 요루 장애인은 15,290명(0.6%)다. 이 환자들은 갑작스럽게 겪게된 신체의 변화와 새로운 배설 방법으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한다. 이는 환자뿐만아니라 환자의 가족들에게도 정서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정신건강과 우울감에도 영향을 끼친다.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1단계 | 생리적 욕구 |
2단계 | 안전의 욕구 |
3단계 | 소속감과 애정의 욕구 |
4단계 | 존중의 욕구 |
5단계 | 자아실현의 욕구 |
이렇게 자신의 신체 또는 신체의 변화와 신체상이 연결되지 않아 자아개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자존감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이유를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이론에 적용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은 총 5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신체의 변화를 매슬로우의 5단계 욕구 중, 4단계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신의 신체 변화로 인해 보편적인 모습과 자신을 비교하며 자존감이 떨어지고, 스스로 약자라고 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pixabay
이처럼 건강한 삶과 건강한 자아개념 형성을 위해서는 ‘건강한 몸’ 또한 중요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질병이 생기고, 신체에 변화가 생기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신체의 변화에 따른 긍정적인 신체상이 필요하고, 자신의 모습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적응할 수 있는 마음이 필요하다. 또한, 주변에 신체 변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족이나 지인이 있다면, 긍정적인 신체적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좋다.
지난 기사
영어로 말할 때마다 머리가 하얘지는 나... 왜 그럴까
태어나보니 내가 스타 2세?, 연예계 금수저 '네포 베이비'
출처
김유환, 추근도.장애인 신체상에 대한 탐색.(2008).한국체육철학회.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101-114(14pages)
송윤숙, 김혜정.(2022).노인 장루보유자의 장루문제가 돌봄 가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양부담감을 통한 지역사회 자원 활용의 조절된 매개효과.한국보건복지학회.보건과 복지 학술저널.보건과복지 제24권 제2호. 191 - 219 (29page)
임승현.(2010).신체상 자기차이가 대학생의 사회적 체형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섭식장애에 미치는 효과.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317-329(13pages)
이은희, 김유정, 안지원, 최예숙, 고영지, 고정미, 김향동, 김현정, 조미희, 주영주 외 공저.(2022).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고문사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jwjiin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