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천지영 ]


<일단 뜨겁게 청소하라!!> 방송화면

드라마 속 남자주인공은 여자주인공과의 키스 후 기절한다. 평소 세균과 더러운 것을 극도로 혐오하면서 항상 세정제를 들고다니며 뿌리는 남자 주인공은 남들보다 더 청결한 습관을 가지고 있다. 다른 사람과의 신체접촉은 물론 타인의 물건을 만지는 것도 상상할 수 없으며, 자신의 손이 닿는 모든 것은 살균 과정을 거쳐야하는 강박을 가지고 있다. 바로 결벽증이다.

 

<일단 뜨겁게 청소하라!!> 방송화면 - 키스 후 분노의 양치질을 하는 남자 주인공

결벽증이란?


결벽증(Mysophobia)이란 사전적 의미로 ‘병적으로 깨끗한 것에 집착하는 증상‘이라고 한다. 위생과 청결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강박증으로 분류하기도 하며, 더러운 것과의 첩촉으로 인한 감염, 질병에 대하여 과도한 불안과 두려움을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공포증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결벽증은 의학계에서 정식적으로 사용되는 진단명은 아니지만, 매체를 통해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이름이다.



결벽증의 증상


결벽증의 증상은 다양하다. 조금의 오염도 견디지 못하고 항상 청결해야 하는 종류의 결벽증이 있는가 하면, 강박증과 비슷하게 주변 물건이 항상 정돈 되어있어야 하는 종류의 결벽증도 있다. 전자는 심한 경우 피부가 벗겨질 때까지 지나치게 손을 씻거나, 항상 손소독제를 휴대하면서 주변의 물건이나 표면을 소독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공공장소나 다른 사람의 집에서 음식을 먹는 것을 피하고, 특정 조건이 갖추어졌을 때만 음식을 먹는 경우도 있다. 드라마 속 남자 주인공 역시 카페나 음식점에서 항상 앉을 자리를 소독하고 의자 위에 손수건을 깔고 앉는 모습을 보인다. 이 외에도 세균에 대한 두려움으로 다른 사람과의 신체접촉을 피하거나 아예 외부 세계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가격리를 하는 경우도 있다.

 

결벽증을 가진 실존 인물 중 가장 대표적인 사람은 '하워드 휴즈(Howard Hughes )'이다. 영화 제작자이면서, 비행기를 제작하는 공학자이기도 했던 사람으로, 미국의 억만장자 중 한 사람이다. 그는 어머니의 영향으로 병균을 두려워하게 되었다고 알려져 있는데, 문고리를 잡을 때 티슈를 사용하고 바로 버렸다고 하며, 심지어 수돗물이 오염되었을 것이라 믿어 잘 씻지도 않았다고 한다. 하워드 휴즈와 비슷한 사례로 캐나다 출신의 피아니스트 '글렌 굴드(Glenn Herbert Gould )'가 있다. 그는 사망 당시 병원을 병균 창고로 생각한 나머지 병원 가기를 꺼리다 결국 치료가 늦어져 사망하게 되었다.

 


결벽증의 원인은?


그렇다면 이렇게 수돗물과 병원마저 꺼리게 되는 결벽증의 원인은 무엇일까? 이러한 증상은 다양한 환경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규정할 수 없지만, 이론적으로 몇가지를 찾아볼 수 있다. 첫번째는 과도한 청결 관념이다. 앞서 언급한 하워드 휴즈의 사례처럼 어린시절부터 청결 관념에 대해 과도하게 교육받거나, 혹은 부모가 가진 세균에 대한 공포가 자녀에게 주입되어 유년기부터 세균과 더러움에 지나친 두려움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두번째는 외부적인 사건에 의해 충격을 받은 경우이다. 흔히 말하는 트라우마로 인해 결벽증을 갖게 되는 것이다. 과거 질병에 걸린 경혐이 있거나, 병균에 노출되는 것과 같은 사건이 있었다면 이러한 결벽증을 유발 할 수 있다. 세번째는 스트레스와 불안이다. 청결과 관련하여 과도한 스트레스나 불안, 혹은 정신적 압박이 세균에 대한 두려움을 증폭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유전적 요인으로 가족중에 결벽증을 가진 사람이 있을 경우 유전에 의해 결벽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다른 정신적 질병과 연관되어 불안장애나 강박장애와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결벽증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심할 경우 사회적 고립을 야기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가족, 친구, 동료와의 관계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섭취하는 음식을 제한하거나 특정한 환경에서만 음식을 섭취하기 때문에 영양소를 고르게 공급하지 못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청결에 대한 강박으로 인해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불안장애가 지속될 수 있으며, 일상적인 활동에도 제약받게 된다. 물론 청결을 유지하는 습관 덕분에 긍정적인 부분도 존재한다. 만약 가지고 있는 결벽증이 사회생활이나 인간관계와 같은 일상생활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가벼운 강박 정도로 개인 차원에 머무른다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결벽증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이 어렵고 본인을 비롯해 주변에서 느끼는 불편이 심각한 수준이라면, 결벽증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벽증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치료방법


행동 치료 (Behavioral Therapy)

행동 치료는 결벽증의 증상을 다루는 데 효과적인 접근 방법 중 하나이다. 공포증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노출 치료를 예로 들 수 있는데, 노출 치료(exposure therapy)는 결벽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세균이나 더러운 것에 노출해 두려움을 줄이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진정 및 숨쉬기 기술을 통해 불안을 관리하는 방법도 함께 익힐 수 있다. 하지만 사람마다 노출 치료를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자칫하면 불안증세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 치료는 전문가와 함께 진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인지 행동 치료 (Cognitive-Behavioral Therapy, CBT)

인지 행동 치료는 결벽증과 관련된 부정적인 생각과 두려움을 다루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세균에 대한 과도한 공포를 걷어내고, 비합리적인 생각을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결벽증을 완화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치료 방법으로 약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주로 항불안약이나 항우울제 등의 약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심각한 불안장애나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효과적일 수 있다.


결벽증을 극복하기 위해 인지 행동 치료나 노출 치료를 전문가의 지도 아래 받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수 있으나,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관리하는 방법도 중요하다. 정기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기술, 심리 교육 자료 등을 활용하여 스스로 불안을 관리하는 방법을 익히면 보다 이른 시일 내에 주체적으로 결벽증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청결한 습관과 정돈된 생활양식은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충분히 도움이 된다. 하지만 그것이 세균과 더러움에 대한 과도한 두려움에서 시작된다거나, 혹은 청결과 정돈에 지나치게 집착하게 되면 본인의 정신건강뿐만 아니라 주변의 많은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결벽증으로 인해 생활에 불편함을 느낀다면 치료를 시도하는 것이 모두에게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 만약 주변에 심각한 결벽증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이 있다면 마냥 안 좋게 볼 것이 아니라 그들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사람들의 관점에서는 그들의 행동이 유난처럼 보일 수 있지만 결벽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청결은 자신의 생존영역까지도 관련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가까운 사람이라면 이해해 주고 함께 고민해 줄 필요가 있다.






지난 기사


나도 집을 사도 될까?

반복되는 삶이 무기력하고 인생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

동그란 패턴이 무서운 사람들

밤, 감성에 젖기 딱 좋은 시간

부정적인 감정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지금을 기억하시나요?







[참고문헌]

Magelssen M, 「Ethical mysophobia in fetal diagnostics」. MEDLINE Complete, 2022

V. A. Karlov, 「Analysis of a case of drug-resistant childhood absence epilepsy concurrent with mysophobia」,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2017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567
  • 기사등록 2023-11-16 14:29:3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