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서연
[The Psychology Times=한서연 ]
너도? 나도! 우리 운명 아니야?
출처: pixabay
‘나랑 제일 친한 친구는 나랑 좀 닮은 것 같아’, ‘우리 좀 비슷하지 않아?’, ‘하관 운명설’ 등 우리는 우리와 가까운 관계에서 유사성을 찾고는 한다. ‘좋아하면 닮는다더니’ ‘비슷한 사람끼리 만나야 오래 잘 만난대’와 같은 우스갯소리들 과연 진짜일까?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자주 누군가와 친해지거나 연인이 되기 위해 비슷한 특성을 찾는 경향이 있다. 이 현상은 '유사성 효과'로 알려져 있는데 유사성 효과란 자신과 유사한 특성을 공유하는 상대에 대해 호감을 느끼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뜻한다. 이는 인간관계에 깊이 작용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데 우리는 어디서 유사성 효과를 찾아볼 수 있을까?
유사성과 매력의 관계성
우리는 개인의 매력을 평가할 때 유사성을 사용하기도 한다. 개인의 외모, 성격, 관심사, 가치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더 매력적으로 느끼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대개 처음 만나는 사람들에게서부터 시작되어, 깊은 관계로 발전하는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소개팅 상대가 나와 비슷한 취미를 공유할 때 비슷한 식습관을, 취향을 공유할 때 호감도가 상승하며 다음 만남을 약속할 가능성이 커지고 장기적인 관계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더해 처음 나간 낯선 모임에서도 나와 같은 지역에서 온, 나와 같은 MBTI를 가진, 옷 스타일이 비슷한 사람을 마주한다면 반가움을 느끼고 호감도가 올라가기도 한다.
친밀한 관계에서의 유사성
유사성 효과는 가까운 관계일수록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 가족, 친구, 연인 간에 서로 유사한 가치나 목표를 공유할수록 서로 간의 신뢰와 이해가 증가하는데 공통된 이해관계는 갈등을 해소하고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결국 관계의 견고함과 안정성을 높여준다. 우리는 이를 통해 얻는 이점으로 관계의 품질과 지속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1. 신뢰와 이해의 증가
유사한 가치, 목표, 혹은 관심사를 공유하는 것은 상대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서로에 대한 신뢰를 쌓는 데 도움이 된다. 공통된 경험이나 가치에 대한 공감은 관계의 강도를 높여주며,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한 소통이 더욱 원활해진다.
2. 공동체 의식과 함께하는 경험
유사성은 두 개체 간에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게 하는데 이는 두 사람이 서로에게 속해 있다는 느낌을 부여하고, 서로에게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삶을 함께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우리는 이런 공동의 경험과 목표를 기반으로 긍정적이고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해 나간다.
3. 갈등 해결과 긍정적 효과
유사성은 갈등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서로 유사한 가치와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경우, 갈등이 생겼을 때 이를 해결하고 긍정적인 결과로 이끌어내는 데 능숙해질 가능성이 커진다. 공동의 이해관계가 갈등 상황을 보다 건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4. 서로에 대한 지지와 공감
유사성은 서로에게 지지를 제공하고 공감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공통된 목표나 가치를 향해 나아가면서 상대방의 성장을 지지하고, 어려운 시기에는 서로에게 안정감과 지지를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5. 지속적인 관계 유지
유사성은 관계의 지속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서로 유사한 관심사나 목표를 공유하면, 어려운 시기에도 서로에게 의지하고 더 나아가려는 의지가 강화되는데 이는 관계의 변화에 대응하면서도 지속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심리적인 맥락에서의 유사성
유사성 효과는 심리적인 측면에서도 나타난다. 자아의 정체성이나 가치에 대한 유사성이 높을수록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자신에게 중요한 가치와 일치하는 관계에서 행복을 찾는 경향을 보여준다.
닮았던 우리, 닮아가는 우리
유사성 효과는 우리의 인간관계에 지속해서 작용하는 강력한 심리적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유사성이 깊어질수록 인간관계는 보다 풍요로워지며, 서로에게 더 가까워진다. 이는 우리의 인간적 본성에서 비롯된 현상으로, 자신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더 많은 만족과 풍요로움을 찾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주제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의 주변에 자리 잡은 소중한 관계들 속에는 어떤 유사성이 자리 잡고 있는지 살펴보는 건 어떨까?
지난 기사
출처: 김은지.박재호 (2010), 한국여성심리학회. 부부간 유사성 및 일치도가 커뮤니케이션과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irene03052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