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은정
[The Psychology Times=현은정 ]
사진 출처 : Pexels
우리는 행동을 할 때 무언가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갑자기 여행이 가고 싶어졌다면 그건 누군가로부터 받은 영향이 원인이 되어서 그런 것일 수도 있다. 또 갑자기 친구가 하는 게임이 재미있어 보여서 게임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우리는 친구가 하는 모습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우리는 어떤 이유나 원인으로 인해서 행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나 원인을 우리는 동기라고 한다.
동기란 무엇일까?
동기의 정의는 정의하는 학문 등에 따라서 의미가 조금씩 다르다. 경영학에서는 동기를 ‘개인행동의 목적과 이유’라고 정의한다. 또한 심리학에서는 동기를 주로 ‘어떤 목표를 지향하는 행동을 일으키고, 그 행동의 방향을 잡아주고, 유지하는 힘의 총합(Lindsley, 1957)’이라고 본다. 또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어떤 일이나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계기’로 정의되어 있다. 이처럼 동기는 학문마다 의미는 조금씩 다르지만,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라는 공통된 의미가 있다.
경영에도 활용되는 동기 이론
동기와 관련된 이론은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본능이론, 추동감소이론, 각성이론, Maslow의 욕구위계이론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은 경영학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경영이란 다른 사람들을 통해서 설정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일을 하게 하는 동기부여는 경영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렇다면 경영학에서도 활용되는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은 어떠한 이론일까?
Maslow의 욕구위계이론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은 위와 같이 사람은 다섯 가지 욕구를 제시한다. 생리적 욕구, 안전욕구, 사회적 욕구, 자존욕구, 자아실현욕구 순으로 충족되어야 다음 욕구로 나타난다고 보았으며 한 번 충족된 욕구는 더 이상 동기부여 효과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Maslow가 주장한 다섯 욕구들은 어떤 욕구들일까?
생리적 욕구는 신체생존에 관련된 것으로 식욕, 갈증, 수면, 성욕 등과 관련되어 있다. 안전욕구는 신체적·심리적 위험에 대한 자기보호욕구, 정당방위 등이 포함되며 사회적 욕구는 무언가에 소속되고 싶어하는 마음으로 정서, 애정, 친교, 공감 등의 욕구이다. 또한 자존욕구는 인정받고 싶어하는 마음이라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가장 상위인 자아실현욕구는 자신의 이상을 구현하고 싶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Maslow는 자아실현욕구, 자존욕구, 사회적 욕구는 고차원 욕구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또한 안전욕구, 생리적 욕구는 저차원 욕구에 해당한다고 하였으며 자존욕구, 사회적 욕구는 심리적 동기에 해당하며 안전욕구, 생리적 욕구는 기본 동기에 해당한다고 말하였다.
또한 기본 동기와 심리적 동기가 어느 정도 충족되면, 사람들은 자아실현의 욕구를 지니게 되지만 자아실현의 욕구단계에는 극히 소수의 사람만이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Maslow의 동기 이론을 통해서 경영자들은 어떻게 하면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동기부여를 하여서 일의 능률을 최대한을 끌어올릴 수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심리학은 다양한 학문과 어우러져 사용되는 학문이다. Maslow의 동기 이론은 경영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경영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을 거로 생각한다.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동기 부여를 할 때 Maslow의 동기 이론을 활용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지난 기사
참고 문헌
경기 외 12, "인간 이해의 심리학", 학지사, 2020
백기본, "새로운 경영학 3판", 창민사, 2020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dmswjddl66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