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정지혜 ]


너 T야?

 

MBTI 성격검사가 열풍을 불고 있는 요즘, 주변에서 심심찮게 들을 수 있는 말이다. “너 T야?” 이 말에는 대화에서 상대방이 공감의 태도를 보이지 않고 있음이 담겨 있지만, 동시에 모두가 단번에 이해할 수 있는 밈으로,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많은 사람이 MBTI 성격검사를 알고 있다는 사실 또한 알 수 있다.

 

쟤 I 라서 그래 넌 E 라서 그래

됐고 그냥 V 나 하자

 

유명 여자 아이돌 아이브의 Either Way의 가사 중 일부분이다. Either Way 노래는 타인을 함부로 판단하고 재단하지 말고 모두 다르게 살아감을 인정하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가사 속 I와 E는 MBTI에서 정신적 에너지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러한 직접적인 소재로 MBTI가 쓰이는 것을 보면 현재 한국에서의 MBTI의 인기를 체감할 수 있다.

 

이전에도 성격을 유형화, 개성화하고자 하는 시도는 계속해서 존재했다. 생물학적인 특성으로 사람의 특징을 나누려고 하는 혈액형, 태어난 시기로 사람의 운명과 특징을 파악하려는 사주, 별자리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또한 에니어그램, 빅5 성격 검사, TCI 검사 등 다양한 성격검사가 있지만, 유독 MBTI가 독보적인 인기를 자랑하고 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이렇게 MBTI를 좋아하는 것일까?

 

모든 것이 빠르게 흘러가고 그 속도에 맞춰 뛰어야 하는 현대사회에서, 스스로와 타인을 충분히 알아가는 시간이 부족한 것은 아닐까?

 

전문가들은 이 열풍의 요인으로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과 온라인 MBTI 검사 자체의 간단성, 크게 두 가지를 들고 있다.

 

전자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로 타인과 멀어지며 불안감이 형성되고, 이러한 불안감을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해소됐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다는 것이다. 

 

후자의 경우, 누구나 쉽게 인터넷으로 검사가 가능하며 질문도 매우 간단하여 결과를 빨리 알 수 있다는 것이다.

 

태어날 때부터 개성이 정해졌다는 혈액형, 별자리, 사주 등과는 다르게 응답자가 직접 생각하고 행동하여 자아의 특징들이 바뀔 수 있다는 것 또한 두드러지는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과몰입은 NO

 

다양한 연구에서 MBTI를 적용하면 대인관계, 독서량, 습관, 양육, 상담 등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열풍이 불기 이전에 MBTI는 초중고등학교에서도 진로를 찾기 위한 검사로 쓰이기도 하였다. 필자 또한 중학생 시절 학교에서 검사를 시행했던 기억이 있다.

 

하지만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하는 것은 MBTI가 ‘자기보고식 검사’라는 것이다, 객관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방식이 아니고 우리의 주관적인 인식을 통해 결과가 나오며, 이는 완벽한 결과가 아니다. 스스로를 잘 모르고 있다면 정확한 검사결과가 나오기 힘들고, ‘되고 싶은 나의 모습’과 ‘실제 나의 모습’을 구분하지 못한 채 검사에 응할 가능성도 있다. 

 

MBTI를 사람을 이해하는 도구로써만 사용하고, 타인과 나를 납작하게 규정짓고 틀 안에서 못벗어나게 하는 우물이 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다.

 

 




지난 기사


과거가 빛나는 이유는 우리가 지나왔기 때문일 거야

내가 말했지? 쟤네 사귈 거라고!

비상구는 우리 앞에 있어요

내가 쟤보다 잘난 것 같은데...

나는 왜 똥차만 탔을까?

더 이상 못하겠··· 어? 재밌겠다

나는 꿈을 꾼다






참고문헌

고건영. (2023). 혈액형이 가고 MBTI가 왔다 : MBTI, 에니어그램, TCI 등 성격유형 분석 열풍. 브레인, 101, 8-11.

최수이, 김수정. (2022). 대학 청년의 MBTI 활용 담화에 나타난 앎의 의지와 지식ᐨ권력 효과. 한국언론정보학보, 115, 147-180, 10.46407/kjci.2022.10.115.147

김준영. (2022). 세상과 데이터 사이에 서서 MZ세대로, MBTI로, 구분 짓기, 멈춰!. 새가정, 69, 30-34.

전은애. (2021). 당신이 심리 테스트를 해보는 이유는? : 체인지마인드상담센터 김완수 대표. 브레인, 91, 44-46.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712
  • 기사등록 2023-12-06 18:18:4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