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황선미 ]




언젠가 친정집 냉장고 문에 ‘연금보다 근육’이라고 쓰인 자석이 붙어있었다. 지자체에서 시니어에게 나누어주는 공익 물품이었는데 맞는 말이다 싶어 주변에 이야기하니 이미 일본에서는 어르신들이 근육을 키울 수 있게 돕는 건강 복지 캠페인이 흔하다고 한다. 근육이 있어야 솥도 꺼내고, 곰탕도 끓이고, 숟가락을 들 힘도 생기니 기초 체력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근력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정신 세계에도 기초 체력이 있을까?

물론이다. 최근 들어 ‘마음 근육’이라는 표현을 자주 듣는데 이 단어가 딱, 마음에도 기초 체력을 구성하는 근력이 있다는 비유이다. 몸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근육은 코어 근육, 즉 척추와 배, 허벅지로 이어지는 중심축이다. 헬스 트레이너인 지인에 의하면 나처럼 매일 앉아서 일하는 사람은 스쿼트로 코어 근육을 잡아주어야 디스크 뿐 아니라 다른 질병들도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디스크 뿐 아니라 다른 질병들도 예방해준다고?” 

 

지인은 운동 좀 하라는 조언이었겠지만 내 귀에는 몸의 세계와 정신의 세계가 비슷한 방식으로 운영된다는 정보만 들려 큰일이다. 몸과 정신은, 기초 위에 차근차근 기본을 채우는 복리의 방식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은 기초부터 잘 쌓아 놓으면 다른 성숙도 이룰 수 있다는 희망을 암시하니 건강한 마음을 가꾸고 싶다면 기초를 살펴보자.


 

 


1. 마음의 코어 근육은 ‘신뢰할 수 있는 능력’이다


 


에릭 에릭슨(Erik H. Erickson)은 인간으로 태어나 가장 먼저 발달해야 하는 능력을 ‘신뢰하는 능력(basic trust)’으로 보았다. 최초의 신뢰는 탄생한 후 만나는 세상 자체에 대한 신뢰이다. 가령 ‘세상이 안전하다’, ‘세상이 배부르다’, ‘세상이 존재하다’ 와 같이 생존하기 괜찮은 환경에 대한 신뢰이다. 지금 살아남은 우리는 모두 최초 원시적 형태의 신뢰를 획득한 셈이다. 

 

 

 


 2. 신뢰에는 믿음의 도약이 필요하다


 

원시적 형태의 신뢰는 우리를 생존하게 해 주지만 따뜻하고 사랑하는 관계를 보장하지는 못한다. 특정 대상을 목적어로 삼는 다음 단계의 신뢰, ‘누구를’ 믿거나 ‘무엇을’ 믿을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상처와 실패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대상을 다시 믿어보려는 ‘믿음의 도약(a leap of faith)’이 필요하다. 영화 <스파이더 맨: 뉴 유니버스>의 어른 스파이더맨 피터가 언제쯤 진정한 스파이더맨이 될 수 있는지 묻는 어린 스파이더맨 마일즈에게 했던 말도 ‘믿음의 도약’이었다.



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스파이더 맨: 뉴 유니버스) 


“알 수 없어, 믿고 뛰어드는 게 전부야

That’s all it is, Miles, a leap of faith.”

(스파이더 맨: 뉴 유니버스, 2018)




마일즈에게 다음 단계의 신뢰란, 자신이 정말 스파이더 맨이 될 수 있을까를 직접 경험하는 의지이다. 타인이 두려운 사람에게 다음 단계의 신뢰란 관계 안으로 들어가고자 하는 의지, 외로운 사람에게는 애착을 다시 시도하고자 하는 의지가 신뢰다. 누군가를 신뢰하는 능력이 있다는 증거는 결국, 행복한 연애나 결혼생활이 아니라 <지금 당신이 자기 자신을 신뢰하고 믿음의 도약을 하는가>의 여부에 있다. 

 

 

 


3. 신뢰는 한 번 형성하면 다음 기회도 만들 수 있다




다른 모든 학습처럼 신뢰도 첫 번째 ‘믿음의 도약’이 가장 어렵고 그다음은 쉬워진다. 집 밖을 나와 타인을 바라보았던 사람은 대화를 할 수 있고, 대화를 할 수 있는 사람은 마음을 열 수 있고, 마음을 열 수 있는 사람은 만남을 지속할 수 있다. 다만 첫 번째 믿음의 도약에서 모든 것을 이루려는 환상을 내려놓기, 한 사람에게 자신의 책임 전부를 의존해 놓고 거절 당했다고 비약 하지 말기, 연습 중에는 안전한 사람부터 선택해서 차츰 힘을 키워나가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기, 상대도 자라는 중이라는 사실을 인정하기, 무엇보다도 나 스스로 다음 기회도 만들 수 있다는 희망을 품기. 지속하다 보면 모르는 사이에 마음 근육의 다음 단계인 자율성으로 넘어가 있는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738
  • 기사등록 2023-11-30 14:17:5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