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예원
[The Psychology Times=이예원 ]
당신의 마음속 깊숙한 곳에는 당신이 완성하지 못한 것들이 남아있을 것이다. 남몰래 목표했던 꿈, 차마 고백하지 못했던, 혹은 끝내 이루지 못했던 과거의 사랑 등... 이 모든 것들이 다른 것들에 비해 유독 당신의 마음속에 깊이 남아있는 이유가 있다. 바로 ‘자이가르닉 효과’ 때문이다. 자이가르닉 효과가 대체 무엇이기에 당신 마음속 깊이 남아서 당신을 괴롭히는 것일까?
자이가르닉 효과란?
‘자이가르닉 효과’란 미처 끝내지 못한, 즉 완성하지 못한 일을 마음속에서 쉽게 지우지 못하는 현상으로, ‘미완성 효과’라고도 한다. 자이가르닉 효과는 기억 효과의 일종이다. 고백 한번 못해본 사랑이 고백도 한번 해본 사랑보다 오래 기억에 남아 ‘그때 고백이라도 해볼걸’이라는 후회를 남게 한다. 미완(未完)의 기억은 완성된 것보다 훨씬 오래 가는 것이다.
러시아 심리학자인 블루마 자이가르닉이 제시한 이 현상은 그가 레스토랑에 앉아서 식사를 기다리며 생각해 낸 것이다. 자이가르닉은 웨이터가 어떻게 수많은 주문을 헷갈리지 않고 정확하게 내오는지 궁금해졌다. 그는 식사를 마치고 계산하며 웨이터에게 자신이 주문한 메뉴를 기억하느냐고 물었다. 이에 웨이터는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는 주문이 끝난 후에 주문과 관련해 말끔히 잊어버린 것이다. 주문을 처리하기 전, 즉 일을 미완으로 둔 상태에서는 주문 내용을 기억하려고 노력해야 했으나 주문을 처리한 후에는 기억할 필요가 없기에 기억에서 잊은 것이다. 모든 인간에게는 ‘인지적인 종결 욕구’가 강하게 존재한다. 그렇기에 풀지 못한 문제나 끝내지 못한 일 등은 미완의 상태로 오랫동안 생생하게 기억난다는 것이다.
자이가르닉은 여기에서 끝내지 않고 이 현상이 웨이터에게만 적용되는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한 가지 실험을 더 진행한다. 그는 학생들을 두 집단으로 나눈 후 간단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집단 A에게는 반복적으로 관여하며 학생들의 과제 수행을 방해하였고, 집단 B에게는 아무런 관여를 하지 않아 과제 수행을 완성할 수 있게 했다. 이후 학생들의 과제 회상률을 조사하자 집단 A의 회상률이 집단 B의 회상률보다 약 1.9배 높았다. 이를 통해 웨이터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일상생활에서의 자이가르닉 효과
누구나 완성된 형태만 보고 살 수는 없다. 그렇기에 자이가르닉 효과는 일상에서 다양하게 찾아볼 수 있다.
역사상 가장 유명한 그림으로 불리는 다빈치의 ‘모나리자’가 바로 대표적인 자이가르닉 효과의 예시이다. ‘모나리자’에 대해서는 “모나리자는 웃고 있을까? 그렇다면 미소의 의미는 무엇일까?”, “다빈치는 어떻게 이런 그림을 그릴 수 있을까?” 등 수많은 의문이 존재한다. 다빈치의 미완인 ‘모나리자’가 다른 사람들의 미완을 향한 갈증을 자극한 것이다.
드라마가 가장 결정적인 순간에서 회차를 마무리하고 다음 편 예고를 보여주는 것도 자이가르닉 효과이다. 한참 재밌게 보던 중 중요한 장면에서 급작스럽게 끝나면 마지막 장면이 더욱 잘 기억돼 궁금증이 남아 다음 회차까지 보게 되는 것이다.
마케팅은 자이가르닉 효과를 가장 잘 사용하는 분야 중 하나이다. ‘애플’ 사의 로고인 한 입 베어 문 사과는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소비자들이 무의식적으로 온전한 사과를 연상하게 한다. 이를 통해 브랜드에 대한 기억력을 높여 사람들에게 브랜드를 각인한다.
자이가르닉 효과는 긍정적인 사례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목표했던 것을 끝내지 못하면 계속 기억에 남아 그것을 하지 못한 데 미련이 남는다. 고백조차 못 한 짝사랑은 미완의 상태로 평생 남기에 더욱 마음속에 남아있는다. 앞서 말했듯 “고백이라도 한번 해볼걸”과 같은 후회의 형태로 남는 이유도 자이가르닉 효과이다.
또는 재난이나 심리적 외상을 겪은 사람들이 겪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도 일종의 자이가르닉 효과이다. 해당 사건에 대한 기억이 완결되지 않아 그 일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플래시백(flashback)을 경험하게 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당신이 미완(未完)을 잊지 못하는 이유인 자이가르닉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누구나 자신의 마음속에 미완의 형태로 남은 경험에 대한 후회, 미련, 혹은 추억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좋은 추억의 형태로 남아있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그것이 부정적인 기억으로 남아있다면 잊을 필요가 있다. 나쁜 기억이 당신을 힘들게 한다면 스스로 그 사건을 끝내려고 노력하는 방법으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누군가를 용서하지 못한다면 그를 용서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고, 어떤 일이 당신을 괴롭힌다면 그 일을 떨쳐버리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자이가르닉 효과를 잘 활용하면 분명 좋은 기억은 오래, 나쁜 기억은 짧게 후회 없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지난 기사
‘거봐, 내 말이 맞잖아.’, ‘이렇게 될 줄 알았어.’
참고문헌
무심아. (2021). 광고에 적용된 자이가르닉 효과(Zeigarnik Effect)가 수용자 기억에 미치는 표현전략에 관한 연구(박사학위). 동의대학교
무심아 and 양재범. (2020). 광고여백에서 나타나는 자이가르닉 효과(Zeigarnik Effect).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9(4), 111-124.
위경환. (2019.03.04.). 위경환의 심리마케팅⑪ 자이가르닉 효과를 노려라, 카피와 비주얼을 통해서. http://www.womanc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311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ywlee2225@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