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김나연 ]


ADHD로 불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는 아동기나 청소년기에만 존재하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증상이 호전되는 특징을 보이는 정신적인 문제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시간이지나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치유되지 않은채 남아있던 증상이 성인기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33%에서 66%가 성인 ADHD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성인 ADHD 진단 비율은 2012년 2,342명에서 2020년 18,327명으로 8년이라는 시간동안 약 8배 가량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증가하는 속도에 비해 성인 ADHD에 대한 양적, 질적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며 현재까지는 약물치료와 행동치료가주로 행해지고 있지만 치료 탈락률의 수치가 유의미하게 높은 상황이다. 



성인 ADHD?


성인 ADHD의 경우 소아 ADHD와는 달리 과잉행동보다는 충동성과 주의력 저하에 따른 적응장애를 특징으로 한다.그렇기에 대표적으로 집중력이 떨어져 실행기능에 문제가 생기고 중요한 일이나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거나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적응력을 떨어뜨리기에 이직과 실직을 경험하게 할 가능성이 크며, 학업, 대인관계 등 일상에서 어려움을 초래하고 불안이나 우울과 같은 정서적인 문제를 야기하기도 하는 등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있는 요소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ADHD로 진단받은 사람의 44%정도가 우울증으로 진단된다고 한다. 우울증 이외에도 ADHD 경향성은 중독문제의 취약성을 보이기도 하는데 특히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중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하여높은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된다.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겪게되는 경우 심리적인 부적응이 나타나게 되며 중독에 취약해지게 된다. 즉, ADHD 경향성이 높은 경우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스마트폰 중독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게 된다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약물치료의 중요성


약물치료를 통해서 ADHD의 핵심 증상을 호전시키고 70-80%의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약물치료는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치료은 부작용이 동반되기 때문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증상자가 정확한 증상을 전달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적정한 투약 용량을 알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고 약물치료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난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ADHD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향정신성의약품인 ‘메틸페니데이트’의 처방, 투약 기준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정신질환의 치료제가 흔히 ‘공부 잘하는 약’, ‘집중력 높이는 약’ 등 어처구니 없는 이름의 약으로 오남용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정한 처방을 유도하고자 개정안을 마련한 것이다. 


성인 ADHD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ADHD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약물치료가 효과를 보이는 만큼 약물의 오남용을 막고 필요한 목적으로 적절하게 사용하여 개인의 일상생활 뿐 아니라 정서적인 측면에서도 부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ADHD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지난 기사


내가 삶을 사는 이유는...? '로고테라피'를 통해 무력감 극복해 나가기

트라우마 이겨내기: 의도적 반추를 활용한 외상후 성장

이젠 집에서 ‘앱’으로 치료…디지털 기기 활용한 심리케어

속마음을 듣는 또 다른 방법, '놀이' 를 활용한 심리치료

심리적 낭떠러지에 있는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면접 필승 전략’, 언제 주목을 끄는게 좋을까?

발표를 앞두고 떨고 있는 당신을 위해...

모든 사이코패스는 악마이다?.

시험기간만 되면 이유없이 계속 먹는 나, 왜 이럴까요

고통 속에서도 살아가야 하는, 나는 생존자입니다.






[참고문헌]

안재순. (2023). 성인 ADHD 성향과 성인초기 우울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과 사회지지의 이중매개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제31권 제1호.44-50

이재선, 이예린. 신예희. 박선영. 손지혜. (2021). 성인 ADHD 환자의 약물 복용 관리 및 비대면 진료 서비스 제안. 한국디자인학회. 2021 한국디자인학회 가을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80-81

이성직. (2021). 성인 ADHD에 대한 이해. 한국특수교육학회.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년도 추계 학술대회. 248-271.

한여울, 정은정, 서경현. (2021). 젊은 성인(20-30대)의 ADHD 경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 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5호. 398-408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904
  • 기사등록 2024-01-16 14:36:5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