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채연 ]


Ai 생성, 싸이 보 그, 로봇, 기계적 인조 인간, 로봇 공학



버추얼 휴먼의 등장 – 플레이브, 로지 


최근 TV와 SNS 속에 인간이 아닌 존재들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 주인공은 바로 ‘버추얼 휴먼’이다. 버추얼 휴먼이란 인공지능과 컴퓨터 그래픽을 통해 구현한 가상 인간을 뜻한다. 인공지능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버추얼 휴먼에 대한 공급과 수요도 높아졌는데, 그 대표적인 예시로는 남자 아이돌 그룹 ‘플레이브’와 버추얼 인플루언서 ‘로지’가 있다. 


먼저 버추얼 아이돌 그룹 ‘플레이브’는 2023년 3월에 데뷔한 5인조 그룹으로, 게임 엔진을 통해 실시간 그래픽으로 비주얼을 기획하는 블래스트 회사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들의 본체는 실제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래픽 기술을 통해 캐릭터적인 외현이 실제 인물 위에 얹혀지는 방식이다. 그들은 자체 유튜브 채널 구독자 50만명을 넘기고, 최근 뮤비 영상은 조회수 500만회를 넘겼으며, 여러 팬들이 생겨나고, 상을 받는 등 예상보다도 더 긍정적인 반응과 함께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버추얼 인플루언서 ‘로지’는 말 그대로 가상 유명인이다. 주로 SNS와 광고모델로 활동하는 MZ 대표 인플루언서 중 하나이다. ‘로지’의 설정값은 22살 신세대적인 마인드를 가진 여성으로 트렌드를 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로지는 플레이브와 다르게 인간에 의해 처음부터 가상으로 만들어진 가상인물로, 모든 것이 제작자에 의해 통제되지만, 잦은 소통과 높은 기술력으로 대중들과의 거리감을 좁히고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여러 광고모델을 넘어서 가수와 홍보대사로도 활동하는 중이다. 




불쾌한 골짜기 이론이란? – 버츄얼 휴먼에게 느끼는 불쾌한 골짜기 


가상인간의 등장과 함께 자주 등장하는 심리학 이론이 있다바로 불쾌한 골짜기 이론이다불쾌한 골짜기 현상은 일본 로봇 공학자 모리 마사히로가 처음 사용한 이론이다로봇이 인간의 모습과 닮아갈수록 그 로봇에 대한 인간의 호감도는 증가하지만그 정도가 아주 높아질 때는 오히려 인간이 그 로봇에게서 볼쾌함을 느낀다는 이론이다버추얼 휴먼과 같은 가상인간을 대할 때에도 불쾌한 골짜기 현상은 작동한다인간을 닮아 있지만어딘가는 부자연스러운 모습이 인간에게 불쾌함을 주는 것이다




버추얼 휴먼에 대한 불쾌한 골짜기 효과를 줄이기 위한 방법


<버추얼 휴먼의 불쾌한 골짜기 상쇄를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 SNS의 댓글 반응을 중심으로-> 논문에 의하면 가상인간이라는 사실 때문에 버추얼 휴먼에게 어쩔 수 없이 존재할 수 밖에 없는 불쾌한 골짜기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밝혔다. 그 방법은 바로 스토리텔링 전략이다. 해당 논문의 연구에 따르면 연구 대상이었던 4명의 유명 버추얼 휴먼에게는 모두 일상 생활에 대한 잦은 소통과 공유, 그리고 버추얼 휴먼이 가진 삶의 고유한 스토리텔링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있었다. 가상 인물이라는 사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은 그들의 고유한 스토리를 지속적으로 접하고 인식하게 된다면 기저에 존재하고 있던 불쾌한 골짜기 감정 또한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은?


최근 버추얼 아나운서, 버추얼 인플루언서, 버추얼 가수 등이 등장하면서 실제 인간들은 이들과 비교하여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고민하는 과정 속에 있다. 나 또한 아나운서를 꿈꾸는 학생으로서 고민이 많은데, 내가 내린 결론은 결국 인간 또한 자신들만이 가진 ‘인간다움’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중요해진 것이라 생각한다. 개인만이 가진 고유한 스토리, 가치관, 삶의 태도 등을 대중들과 적극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진 것이다. 인공지능이 발전할 수록 인간은 더욱 더 '인간다움'에 집중해야 한다





참고문헌

정연호. 일상 속에 들어온 버추얼휴먼, "대체 어디에 쓸 수 있는 거야?". 동아일보, 2022.05.17, 일상 속에 들어온 버추얼휴먼, `대체 어디에 쓸 수 있는 거야?`|동아일보 (donga.com)   

나무위키, 플레이브, https://namu.wiki/w/PLAVE , 2024.1.2

박대철, 이동은. (2022). 버추얼 휴먼의 불쾌한 골짜기 상쇄를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 SNS의 댓글 반응을 중심으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2(6), 43-55, 10.7583/JKGS.2022.22.6.43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908
  • 기사등록 2024-01-17 00:11:3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