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최주희 ]


여러분은 어떤 대상에 대해 극심한 공포를 경험한 적이 있는가? 고소공포증, 환 공포증, 공황장애, 폐쇄 공포증, 무대 공포증 등 여러 가지 공포와 불안감으로 인해 사회생활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특히나 요즘은 공황장애가 있는 친구들을 주변에서도 쉽게 볼 수 있을 만큼 불안 장애가 만연해가는 것 같다. 이와 연계하여 AI, 디지털 치료에 관심이 있는 필자는 현재 얼마나 디지털 치료제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궁금해졌다. 

 이미지 출처: pixabay

디지털 치료제의 개념은 2015년 Nature Bio-technology 저널에 실린 ‘Defining digital medicine’이란 논문에서 시작되었다.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는 디지털 헬스 제품 혹은 서비스와 달리 독립적으로 환자에게 의학적 질병이나 질환을 예방, 진단 혹은 치료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치료제를 의미한다(Ryu, 2021). 디지털 치료제 중에서도 가상현실 치료(Virtual Reality Therapy, VRT)는 프로그래밍 된 컴퓨터에 시각적으로 몰입이 될 수 있는 장치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환자가 어렵게 느끼는 심리상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경험을 제공해준다. 불안 장애, 섭식장애, 성적 장애, 정신장애, 전반적인 발달장애와 같이 다양한 정신 및 심리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러한 가상현실 치료를 치료적 모델로 활용할 때 노출 치료(Exposure Therapy)와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로 구분이 된다. 우선 노출 치료(Exposure Therapy)는 환자가 가상현실에 있을 때, 발작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면 VR 콘텐츠 안에서 가상환경 속에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린다. 주의가 돌려지면 공포가 점진적으로 감소 되면서 어떤 위험도 유발하지 않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불안의 근원이 되는 대상에 환자를 노출 시키면서 결과적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기술로 공황장애 및 각종 공포증 치료에도 유용하다고 잘 알려져 있다.

 

노출 치료의 대표 사례에는 실제상황 노출법, 심상적 노출법, 감각기관 노출법이 있다. 실제상황 노출법은 고소공포증이나 사회 불안과 같이 다양한 노출 환경을 가상 공간 안에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소공포증 치료를 위해서 360도의 범위 안에서 어떤 위치에 있든 고도를 느낄 수 있도록 건물 형태와 같은 환경을 노출하는 것이다. 심상적 노출법은 가상현실 공간과 소리를 제공해서 환자가 시, 청각적으로 최상의 안정적 경험과 여행을 하는 것과 같은 환경을 드러내 불안 장애를 치료하는 것이다. 심신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산이나 평지, 바다, 해변 등을 직접 선택하여 언제든지 환자의 선택과 선호에 따라 치료장소가 변화된다. 마지막으로 감각기관 노출법은 뇌 손상 시야 장애가 있는 환자들을 위해 시각적인 감각자극 노출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뉴냅스사의 뉴냅비전(Nunap Vision)은 VR 헤드셋 안에서 시각 감각자극의 모션 요소들을 보게 하여 시각 감각기관이 스스로 탐색하게 유도하는 것이다. 30분 동안 꾸준히 반복하며 감각기관을 훈련해 효율적인 치료를 추구한다. 

 

이처럼 노출 치료를 위해 다양한 디지털 치료제를 활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더욱 발전하게 될 디지털 치료제를 안전하고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의 정도가 많이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난 기사


“너도 죽여? 그럼 나도 해” 위험천만 모방심리

윽 스트레스..! 초콜릿 왕왕

나 O 개 국어할 줄 알아! ··· 다중언어의 인지효과

수면패턴이 망가진 당신에게

나 요즘 뭘 해도 기쁘지 않아.. 한때는 즐거웠던 일이었는데

감정 조절! 어떻게 해야 해?

이별 후 타이레놀이 효과가 있다고?

라이브 커머스! 충동구매..?

오히려 좋아 찬물 샤워

과연 내가 성공할 수 있을까? ··· 요나 콤플렉스

우리 집 다육이 소개합니다!






<참고문헌>

이동연, 한정엽, & 이하은. (2022). 디지털치료제 (DTx) 기반 가상현실치료 (VRT) 유형 및 특성 연구-VR 콘텐츠 대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7(4), 183-193.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952
  • 기사등록 2024-01-22 12:18: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