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김시은 ]


저마다의 방식으로 뜻깊은 연말을 보내고 어느덧 새해를 맞아 2024년 용의 해가 밝았습니다. ‘2024’라는 숫자가 참 어색하기도 한데요. 1월은 아무래도 이 숫자에 익숙해지기 위해 노력하고, 맞이한 한 해를 준비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새로운 마음으로 2024년 달력을 사고, 다이어리를 사고, 또 이루고 싶은 목표를 계획하기도 하였나요? 1월에만 유독 열심히 쓰게 될 거란걸 알면서도 괜히 연초에 다이어리를 구매하는 것처럼 작심삼일일지라도 새해엔 목표를 세우곤 합니다.


특히 금연, 금주, 다이어트는 많은 사람들이 공통으로 세우는 새해 목표라고 합니다. 하지만 한 연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인의 23%가 새해 첫 주가 끝나기도 전에 새해 다짐의 실행을 포기한다고 합니다. 1월 말이면 포기자가 43%에 달하고, 6개월 이내에는 대부분 그만둔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연말까지 자신의 목표를 위해 노력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놀랍게도 9%에 불과합니다. 이는 미국인에만 해당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이야기입니다. 



목표의 영어단어는 GOAL인데요. 축구에서 상대편 골대에 골을 넣으면 득점인 것처럼 목표(goal)란 성과를 내는 활동입니다. 우리는 인간관계, 학업, 취업, 자기 계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인적인 목표를 세웁니다. 한 논문에 따르면 개인적으로 중요한 목표를 달성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더 행복하다고 합니다. 즉, 성공적인 목표 달성은 일종의 성과물로 개인의 행복과 적응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목표를 위해 노력하는 과정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목표 설정 단계입니다. 


통합 치료 이론에서는 효과적인 목표 설정을 위해 일명 ‘SMART’ 원칙을 사용합니다. SMART 원칙은 각각 Specific, Measurable, Achievable, Realistic, Time limited의 앞 글자를 딴 것입니다. 첫 번째는 Specific, 구체적이어야 한다는 것인데요. 필자의 초등학교 시절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미래의 꿈에 대해 질문하였습니다. 이에 한 학생은 선생님이 되고 싶다고 하였습니다.


“어떤 선생님이 되고 싶니?”

“똑똑한 선생님이요”

“어떤 똑똑한 선생님이 되고 싶니?”

“공부를 잘하는 똑똑한 선생님이요.”

“어떤 공부를 잘하는 똑똑한 선생님이 되고 싶니?”

“음… 과학 공부?”


선생님의 계속되는 꼬리 질문에 당시 학생은 당황했지만 지금 생각해 보면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 과정이었던 것 같습니다. 두 번째는 Measurable,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단순히 ‘독서할 것이다.’보다 일주일에 몇 번 읽을지, 어느 정도의 분량을 읽을지, 한 해 동안 몇 권을 읽을지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세 번째는 Achievable, 성취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이어트를 하겠다는 목표는 좋지만 일주일 만에 10kg을 빼는 것을 목표한다면 달성하기 어렵겠죠? 네 번째는 Realistic, 현실적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는 Time limited, 시간(기한)에 제한을 두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내담자와 상담자가 처음 만나 상담 구조화를 진행할 때 정하는 것 중의 하나는 총 몇 회기를 진행하느냐입니다. 무언가를 시작한다는 것은 끝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시작만큼 끝도 중요합니다. 내가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한이 있는 목표를 세우는 것은 적당한 긴장감을 줍니다.


새해를 맞이해 새롭게 시작하는 것도 있지만 해오던 일이나 활동,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기도 합니다. 뒤숭숭하거나 어수선한 분위기일 수도 있지만 그 속엔 설렘과 긴장이 함께 느껴집니다. 작년에 세운 목표를 최종적으로 달성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과정에서 얻은 것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은 꾸준하게 노력하기 어렵지만 그만한 성취를 느끼게 해줍니다. 자신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모두 이루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2024년을 응원합니다. 





지난 기사


삶이란 그저 주어지는 것이 아닌,

웃으면, 복이 와요!

생각의 지름길 - 무조건 좋은걸까?

마음껏 기뻐하고, 마음껏 슬퍼하기

막을 수 있는 학대가 다시 일어난다면? - 원가정보호의 원칙

사회적인 동물의 특수한 능력 - 정서적 지지

배려란 이름의 선물

3분의 2지점의 절벽에서 나를 구해주는 것 - 심리상담

긍정과 자기합리화, 뭐가 다른걸까?

하고 싶은 일을 망설이는 당신에게

지금, 이 순간을 위하여 - 여행의 이유





참고문헌

박낙희.2024.01.17.[중앙칼럼] 성공 가능성 높은 새해 다짐. [중앙칼럼] 성공 가능성 높은 새해 다짐 (koreadaily.com) 

김재범.2024.01.16.“새해 건강 도파밍 위한 나만의 실천 리스트를 만들자”. “새해 건강 도파밍 위한 나만의 실천 리스트를 만들자”|스포츠동아 (donga.com)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970
  • 기사등록 2024-01-23 00:43:3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