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채수민 ]




하위 목표 만들기





장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될 세부적인 목표도 함께 세우는 것이 좋다. 즉, 목표를 계층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상위 목표는 궁극적으로 이루고 싶은 목표가 될 것이다. 그 밑에 있는 하위 목표는 상위 목표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 작은 목표들이다. 하위 목표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이어야 한다. 그리고 하위 목표는 밑에 또 다른 하위 목표를 만들며, 가지치기하듯이 아래로 뻗어나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위 목표가 '체지방률 20% 만들기' 라고 했을 때 하위 목표는 ‘식단 관리하기’와 ‘매일 운동하기’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아침은 달걀과 토마토 먹기’, ‘저녁으로는 닭가슴살 먹기’, ‘아침에 공복 수영하기’, ‘저녁에 조깅하기’처럼 하위 목표를 더 쪼갤 수도 있다. 또한, 하위 목표가 많을수록 상위 목표를 이룰 확률이 높아진다. 단기 목표에 비해서 장기목표는 계획이 실패하게 되는 변수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하위 목표 중 몇 가지는 제대로 이루지 못할 수도 있다. 하위 목표의 수가 적다면 그것들을 달성하지 못했을 때 상위 목표가 흔들리게 된다. 그러지 않기 위해서는 상위 목표가 흔들리지 않을 만큼 적당히 많은 하위 목표를 세우는 것이 좋다.

 



목표는 장기, 보상은 단기



장기 목표는 행동에 대한 결과가 바로 나타나지 않는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노력한 행동이 어느 정도 쌓여야 그 성과가 조금씩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계획대로 하다가도 변화가 없는 것 같다고 여기고 쉽게 지칠 수 있다. 이런 생각은 장기 목표 달성의 실패로 이어지게 된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는 보상이 즉각적으로 따라와야 한다. 하위 목표 하나를 이뤘다면 그에 대한 보상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상위 목표에 대한 동기가 오래 지속될 수 있다. 위에서 들었던 예시를 이어서 설명해 보겠다. 이루고 싶은 목표는 '체지방률 20% 만들기'이다. 그에 대한 하위 목표로 '매일 운동하기'를 실천하려고 한다. 일주일 동안 매일 운동하였다고 할 때, 체지방률은 목표치까지 한참 남았을 것이다. 그럼에도 보상은 있어야 한다. '내일 저녁은 먹고 싶은 음식 하나 먹기' 정도의 적절한 보상은 '매일 운동하기'를 유지하겠다는 동기부여가 될 것이다. '하위 목표 달성과 그에 대한 보상'이라는 습관이 장기적으로 이어지게 되면 결국 상위 목표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완벽주의는 버리기



장기 목표에서 완벽주의를 고집한다면, 하나의 하위목표만 흔들려도 상위 목표 전체가 실패했다고 여기고 모든 계획을 버리게 될 것이다. 장기 목표는 이루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목표를 실패로 이끌 변수가 많고, 목표를 설정했던 초기의 동기를 끝까지 유지하기도 어렵다. 그러나 장기 목표는 ‘장기’라는 것이 장점이기도 하다. 시간이 많기 때문에 목표를 바꿀 기회도 충분하다. 


'5개월 만에 체지방률 20% 만들기'가 목표였고 이를 위해 매일 운동을 하고 있었다. 목표까지 남은 기간은 한 달뿐이었다. 그러나 지난 일주일 동안은 잠을 잘 시간도 부족할 만큼 일이 많아서 운동을 하지 못한 데다가 과로로 인한 스트레스로 폭식까지 했다. 매일 운동하지도 못했고 중간에 폭식도 해서 체지방률을 20% 만들기는 틀렸으니, 목표를 포기하고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이 옳을까? 그러기보다는 남은 3주라도 포기하지 않고 매일 운동해서 체지방률을 23% 만드는 것으로 수정하고 목표를 끝까지 해내는 편이 더 낫다. 


물론 목표를 수정하라는 것이, 내내 계획을 미루다가 ‘이대로라면 목표를 이루지 못할 것 같으니 쉬운 목표로 바꿔야겠다.’라는 뜻은 아니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으나 중간에 통제할 수 없는 변수가 생겨서 도저히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 같을 때, 전부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를 실현이 가능한 정도에서 수정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지금까지 장기 목표를 이루는 데 유용한 조언을 살펴보았다. 각 조언이 공통으로 말하고 있는 것은, 꾸준한 노력과 오래 지속되는 동기가 장기 목표를 포기하지 않고 달성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기사에 나온 7가지 조언들은 당신이 그 두 가지를 지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들이다. 이 기사를 읽은 모두가 올해는 목표했던 바를 전부 이루게 되길 바란다.

 





지난 기사


건물이 사람 얼굴로 보인다고?

손톱과 피부 뜯기, 단순히 나쁜 습관인 걸까?

혼잣말 많이 하는 나, 이상한가요?

사람들이 비극적 이야기를 찾는 이유

우리, 힘든 기억은 잊자 - 해리성 기억상실

전쟁과 심리학의 역사(1)

전쟁과 심리학의 역사(2)

상처가 있는 치료자들의 이야기 1 - 나와 닮은 당신

상처가 있는 치료자들의 이야기 2 - 고통은 날 더 강하게 해

상처가 있는 치료자들의 이야기 3 - 치료자도 상처받습니다

장기 목표까지 흔들리지 않고 나아가는 방법 1






참고문헌

Höchli, B., Brügger, A., & Messner, C. (2018). How focusing on superordinate goals motivates broad, long-term goal pursuit: A theoretical perspective. Frontiers in psychology

Woolley, K., & Fishbach, A. (2017). Immediate rewards predict adherence to long-term go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996
  • 기사등록 2024-01-30 08:32:5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