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영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
최근 2023년 AFC 아시안컵 축구를 보며 모두가 한마음 한뜻 되어, 같은 기대를 품고 응원하며 가족들 그리고 친구들 간 존재하는 스포츠의 영향력과 힘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비록 경기를 뛰는 선수들도 간절히 같은 우승을 바라지만, 그렇지 못했을 때 오는 실망감, 그리고 선수들이 가지는 복잡한 심경은 사회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라 생각한다. 선수들의 건강한 경기 생활을 위하여 다양한 스포츠 선수가 겪는 부담감, 스트레스, 그리고 실망감을 어떻게 하면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스포츠 심리학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의 한 자료에 의하면 프로 선수의 35%가 스트레스, 식이장애, 번아웃, 우울, 불안과 같은 심각한 정신질환을 경험한다고 한다 (Athletes for Hope). 엘리트 선수들이 겪고 있는 정신적 어려움은 올림픽 공식 자료 중 몇몇 미국 국가대표 선수들이의 발언을 통해 알 수 있다 (2023). 미국 기계체조 선수인 시몬 바일스의 경우, 2018년 그녀의 담당의로부터 성폭행당한 사건 이후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심리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기 위해 물러나며 큰 화제의 인물이 되기도 하였다 (Nardino, 2023).
“계속해서 훈련받으면서 나는 체육관을 굉장히 힘들고, 어려운 공간으로 보았다. 나는 항상 하고 싶지 않은 일을 해야만 했다. 내가 바닥에 쓰러지지 않으면 충분히 노력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 나는 내가 하는 일에 대해 늘 기뻐하고 자랑스러워해야 하는데, 그 반대였다. 아무것도 충분하지 않았고 나는 외부에서 많은 승인을 찾고 있었다.”
- 샬롯 워싱턴, 영국 여자 사이클 국가대표
먼저, 스포츠 심리학이란 치열한 경쟁 속 이루어지는 경기 생활 중 선수들이 느끼는 감정, 생각, 그리고 심리적 요인들이 어떻게 그들의 경기력과 운동 성과에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고 설명해 주는 분야를 일컫는다. 스포츠 심리학자는 선수들의 경기 행동과 실적, 주변 환경, 팬, 그리고 관중으로 인해 겪는 영향, 선수들 간의 그리고 코치와의 관계, 그리고 개인의 사생활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기록하고 관찰하며 도와준다. 따라서, 스포츠 심리학자는 선수들의 여러 개인적 그리고 환경적 요인들을 살펴보며 빽빽이 조여오는 경쟁과 압박감 속 높은 경기 실적을 달성하는 것을 도와준다 (Ikulayo, 2003).
스포츠 심리학을 논할 때, 선수의 행동과 감정을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 여러 다른 학문 분야가 종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심리와 학습이론은 단순하고 복잡한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 그리고 단기, 장기 기억력, 또는 새로 배운 기술을 다시 적용할 수 있는 선수의 능력을 본다. 또 다른 예로 자극 이론은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를 이해하며, 어떠한 요인들이 선수의 의욕을 낮추는지, 이러한 요인들을 미리 알아내 어떻게 하면 선수의 의욕을 높일 수 있을지 등과 같은 방법을 이해한다. 또, 테드 래소라는 한 영국 축구 드라마에서 그려내었듯, 여러 선수들의 팀플레이를 요구하는 스포츠의 경우, 협동적인 경기 생활을 하며 일어날 수 있는 다툼, 선수들의 성격 차이들을 해결하는 데 있어 관계 이론을 통해 도움을 줄 수도 있다 (Ikulayo, 2003).
"만약 휴식을 취하지 않았다면, 나는 자신을 땅에 묻어버렸을 것이다. [선수로서 겪는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정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그것은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높은 성과를 추구하는 선수라면 자신의 약점을 보이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이제 점점 더 많은 선수가 그것에 대해 말하고 있으니, 그것이 나에게 영감을 주었다. 왜냐하면 그런 사람들이 나를 돕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 샬롯 워싱턴, 영국 여자 사이클 국가대표
프로 운동선수들이 느끼는 스트레스와 압박감은 실로 일반인들이 느끼는 것과는 분명 차원이 다르다. 자신이 소속된 나라를 대표해 전 세계가 지켜보는 가운데 필드 위에서 자기 경력 중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꼭 모든 선수가 정신적 ‘문제’를 겪고 있는 것은 아니다. 많은 연구와 뉴스 매체가 운동선수들이 경험하고 있는 부정적 심리 현상을 놓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반대로 더 언급되어야 할 내용은 운동선수들이 가지는 엄청난 정신력 그리고 다른 많은 긍정적인 내면의 힘이다. 실제로, 한 논문에 의하면 긍정 심리학의 기술과 이론들이 스포츠 심리학에서 사용되었을 경우 좋은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Mann & Narula, 2017). 따라서, 스포츠 심리학자로서, 또는 운동선수들을 상대로 상담을 시작하는 상담사들은 내담자들이 겪는 부정적 심리 현상뿐만 아니라 그들의 회복력 또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상구. (2024). 손흥민 "아시안컵 이후 인생에서 가장 힘든 한 주" 조선 뉴스. https://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2/17/2024021790019.html
Athletes for Hope. MENTAL HEALTH AND ATHLETES. https://www.athletesforhope.org/2019/05/mental-health-and-athletes/
Ikulayo, P. B. (2003). The mind in the body: sports psychology as the cornerstone to sports achievements and greatness.
Juber, M. (2022). What Is Sports Psychology? WebMD. https://www.webmd.com/mental-health/what-is-sports-psychology
Mann, A., & Narula, B. (2017). Positive psychology in sports: An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s, 6(2), 153-158.
Nardino, M. Simone Biles’ Most Honest Quotes About Mental Health and Wellness Through the Years: ‘We’re Human’. US NEWS. https://www.usmagazine.com/celebrity-news/pictures/simone-biles-most-honest-quotes-about-mental-health-wellness/
Olympics.com. (2023). World Mental Health Day 2023: From Simone Biles to Noah Lyles, Olympic stars reflect on the importance of taking care of the mind. https://olympics.com/en/news/world-mental-health-day-2023-olympians-advice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p5562@nyu.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