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채진우 ] 


요즘, 많은 가족들이 반려동물과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동안 주의해야 할 중요한 측면 중 하나가 펫로스 증후군(Pet Loss Syndrome)이다. 펫로스 증후군은 반려동물을 잃음으로써 발생하는 정서적인 스트레스와 불안을 나타내는 심리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증후군은 주로 반려동물과의 긴밀한 유대감을 형성한 후, 동물이 죽거나 사라진 경우에 나타난다. 이는 가족 구성원을 잃는 것과 유사한 정서적 충격을 초래할 수 있으며, 때로는 우울증, 무기력, 무관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반려동물을 잃음으로써 발생하는 펫로스 증후군을 극복하고 치유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실질적인 대비책과 주의 사항이 필요하다.

 


정기적인 정서적 지지와 소통



정기적인 정서적 지지와 소통은 펫로스 증후군을 경험하는 개인이나 가족에게 필수적인 과정으로, 서로에게 안정감과 이해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소통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개인의 감정과 필요에 맞게 조절돼야 한다.


먼저, 각자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공유함으로써, 상호 간에 더욱 깊은 이해와 공감을 형성할 수 있다. 감정을 솔직하게 나누는 것은 펫로스 증후군에서 오는 감정적인 부담을 줄이고, 가족 구성원들 간에 마음의 안전지대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가족 구성원들 간의 정기적인 모임이나 대화 시간을 만들어내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통해 서로의 소식을 나누고 감정을 나눌 수 있다. 물론, 이런 시간은 강제적이거나 부담스러운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각자의 일정과 상황에 맞게 편안한 분위기에서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정기적인 정서적 지지와 소통은 펫로스 증후군을 겪는 가족이 서로에게 지지의 손길을 내밀며 함께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의 필수적인 도구로 작용한다. 이를 통해 가족은 서로에게 더욱 가깝게 다가가고, 힘을 모아 어려운 시기를 함께 이겨낼 수 있다. (William & Ray, 2024).

 


전문가의 상담



전문가의 상담은 펫로스 증후군을 경험하는 개인이나 가족에게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반려동물을 잃음으로써 발생하는 정신적인 부담은 종종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수준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문가의 지도와 도움은 감정적인 회복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정신건강 전문가는 펫로스 증후군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정신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정신건강 전문가는 감정을 적절하게 처리하고, 스트레스와 우울 등의 증상을 평가하여 개인에게 맞는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이러한 전문가들은 심리치료, 상담, 그리고 필요에 따라 약물치료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동물 행동학자는 반려동물과의 강렬한 유대감과 이로 인한 감정적 충격에 대한 특화된 지식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반려동물 손실에 대한 감정적인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행동 및 치유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동물 행동학자는 특히 반려동물의 잃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행동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소유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Meredith et al., 2018).

 


추모의 시간



추모의 시간은 반려동물을 잃음으로 인한 감정적 충격과 상실감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 그 동안 쌓인 감정에 대한 마음의 소화와 정리를 허용하는 시간이다. 이는 각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깊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새로운 현실에 대한 적응을 위한 필수적인 단계이다.


추모의 시간은 즉각적인 일상 속으로 돌아가기 전에 감정을 처리하고 정리하는 시간을 제공한다. 반려동물과의 작별은 매우 감정적이고 특별한 경험으로, 이를 즉각적으로 일상으로 흡수하려는 시도는 감정의 억압이나 무시로 이어질 수 있다. 추모의 시간은 이러한 억압을 피하고 감정을 존중하는 데 도움을 주며, 감정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추모의 시간은 감정적인 회복을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 여겨지며, 각 개인이 이를 통해 자신만의 치유 과정을 찾을 수 있다. 추모의 시간은 감정의 다양성을 받아들이고, 그것들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면서, 새로운 시작을 위한 기반을 다지게 된다. (Berly, 2021).

 


추억의 저장



추억의 저장은 반려동물과의 소중한 순간들을 영원히 간직하고, 그들과의 연결을 더 오래 유지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로 작용한다. 반려동물을 잃은 후, 그 동안 함께한 순간들은 소중한 기억으로 남겨지게 된다. 이러한 기억들은 추모의 과정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추억의 저장은 이러한 고마운 순간들을 손쉽게 되돌아보고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림, 동영상, 일기 등을 통한 저장은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경험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순간의 감정과 느낌을 보다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다. 반려동물과 함께한 특별한 순간들을 그림으로 남기거나 동영상으로 기록함으로써, 추후에는 그 순간의 따뜻한 감정을 다시 떠올릴 수 있다.


일기는 또한 감정과 경험을 텍스트로 기록하는 방식으로, 추모의 시간을 더욱 의미 있게 만든다. 일기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정리하고 표현하는 것은 헤아려지지 않은 감정을 처리하는 데 도움을 주며, 반려동물과의 생활을 되돌아보고 소중한 순간들을 회상하는 과정에 도움을 준다. (Sonya, 2024).

 


새로운 관심사 발견



새로운 관심사를 발견하는 것은 펫로스 증후군에서 벗어나고 새로운 삶을 찾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반려동물을 잃은 후에는 일상이 큰 변화를 겪게 되며,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새로운 도전과 경험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새로운 관심사나 취미는 마음에 활력을 불어넣어준다. 기존의 습관과 관례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전에 나서는 것은 마음과 정신을 새롭게 자극하며, 힘들고 어려운 시기에 자신을 활기차게 만들어줄 수 있다. 이는 펫로스 증후군에서 나타날 수 있는 우울증과 무기력감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새로운 경험과 관심은 자아 실현의 기회를 제공한다. 새로운 활동이나 취미를 통해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의 능력과 가능성을 다시 발견하면서, 펫로스 증후군으로 인해 상실한 부분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다. (Jeffrey & Devon, 2024).

 


사회적 지지



사회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새로운 인연을 만들고 기존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양한 그룹이나 동호회에 참여하면, 취미나 관심사를 공유하며 새로운 지인들과 소통할 수 있다. 이는 펫로스 증후군으로 인한 마음의 상처를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상담과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지인, 가족, 혹은 전문가들과의 소통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정리할 수 있으며, 상담을 통해 심리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계는 펫로스 증후군에서 벗어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사회적 지지는 고립되고 외로움을 느끼는 상황에서 나아가기 위한 강력한 동기부여를 제공한다. 함께 울고 웃고 이야기하는 것은 상처를 치유하고 마음을 다스리는 데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펫로스 증후군을 겪을 때는 주변의 지인들과의 소통과 지지를 통해 마음을 나누고, 함께 성장하고 회복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Hilary & Abigail, 2022).

 


체력적 건강 유지



먼저, 꾸준한 운동은 신체적 활동을 통해 뇌의 활동을 촉진하고, 호르몬 레벨을 조절하여 스트레스와 우울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신체적인 활동은 대량의 산소를 공급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이는 정서적인 안정과 기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산책, 조깅, 수영 등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선택 가능하며, 개인의 취향에 맞게 적절한 활동을 찾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건강한 식습관은 체력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안정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영양소가 풍부한 식품을 균형 있게 섭취함으로써 체력을 유지하고 면역력을 강화할 수 있다. 특히, 펫로스 증후군을 경험하는 동안에는 스트레스 관리에 도움을 주는 식품들을 중점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유익하다. 식이섬유와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식품, 신선한 과일과 채소 등은 정신적인 안정과 체력적인 건강을 동시에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충분한 휴식과 수면도 체력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데에 중요하다. 펫로스 증후군을 경험하는 동안에는 정서적인 스트레스가 더해져 피로와 불면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휴식과 규칙적인 수면은 정신적인 안정과 체력 회복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Jessica & Kayli, 2023).

 


동물 동반 프로그램 참여



동물 동반 프로그램은 동물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참가자들에게 심리적인 안정을 제공한다. 동물들은 무조건적인 사랑과 관심을 제공하며, 그들과의 소통은 참가자들에게 안락함과 안정성을 주어 마음의 평화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반려동물의 손실을 경험한 사람들에게는 다른 동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친밀감을 형성하고 손실로 인한 공허함을 어느 정도 메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동물 동반 프로그램은 신체적 활동을 촉진하여 참가자들의 체력적인 건강을 증진시키는 역할도 한다. 동물과의 상호작용은 산책이나 놀이 등의 활동을 통해 운동 기회를 제공하며, 이는 참가자들의 체력 유지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해소와 에너지 충전에도 도움을 준다.


동물 동반 프로그램의 참여는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뤄내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동물들과의 소통을 통해 특별한 지지를 받으며, 동물들의 존재로 마음에 새로운 희망과 기쁨을 심어줄 수 있다. (Constance & Hara, 2022).

 

펫로스 증후군은 각인마다 다르게 경험되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위의 대비책은 그 과정을 돕기 위한 일부 지침일 뿐이다. 감정을 소중히 여기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치유의 첫걸음일 것이다.


 

참고문헌

William, A. H., and Ray, P., (2024). Understanding Your Feelings: A Study of Emotional Language. [Psychology Today]. Retrieved from: https://www.psychologytoday.com/intl/blog/best-practices-in-health/202402/understanding-your-feelings-a-study-of-emotional-language

Meredith, L. T. M., Blythe, S., Hildah, M., Mingyi, Q., and Mei, T., (2018). Professionalization of Counseling: Perspectives from Different International Regions. [SPRINGER LINK]. Retrieved from: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0447-018-9330-6

Berly, M., (2021). How your brain copes with grief, and why it takes time to heal. [npr]. Retrieved from: https://www.npr.org/sections/health-shots/2021/12/20/1056741090/grief-loss-holiday-brain-healing

Sonya, M., (2024). I teach journaling workshops to help people process tough emotions and communicate better. Try these prompts to get started. [BUSINESS INSIDER]. Retrieved from: https://www.businessinsider.com/how-to-journal-process-emotions-communicate-better-2024-2

Jeffrey, B., and Devon, F., (2024). 4 Steps to Becoming a Self-Actualized Person. [Psychology Today]. Retrieved from: https://www.psychologytoday.com/us/blog/liking-the-child-you-love/202402/4-steps-to-becoming-a-self-actualized-person

Hilary, J. H., and Abigail, F., (2022). Creating Space for Our Emotions to Heal. [Psychology Today]. Retrieved from: https://www.psychologytoday.com/us/blog/emotion-information/202209/creating-space-our-emotions-heal

Jessica, M., and Kayli, A., (2023). Why Are Healthy Eating Habits Important? Whole foods including fruits, veggies, and whole grains can have benefits for your body and mind. Retrieved from: https://www.everydayhealth.com/diet-nutrition/importance-healthy-eating-habits/

Constance, S., and Hara, E. M., (2022). 5 Ways Companion Animals Boost Mental Health. [Psychology Today]. Retrieved from: https://www.psychologytoday.com/us/blog/ending-addiction-good/202203/5-ways-companion-animals-boost-mental-health






기사 다시보기 

사회적인 압박 속에서의 정신 건강 강화 전략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169
  • 기사등록 2024-03-18 00:23:1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