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강지민 ]



지금은 리얼리티가 대세 



과거에는 주어진 대본에 따라 연출된 상황을 보여주는 방송이 주를 이뤘지만 콘텐츠 산업의 빠른 변화로 인해 대본 없는 콘텐츠가 등장하며, 리얼리티가 각광 받기 시작했습니다.


<환승연애>는 출연자들의 진심 어린 이야기를 담아냈습니다. 이들의 진솔한 감정과 사랑 이야기는 대본이 주는 제약 없이 자유롭게 전달되어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습니다. 또한 <태어난 김에 세계일주>에서는 기안 84 ,덱스, 빠니보틀, 이시언이 만나 특별한 시너지를 발휘하며 날 것 그대로의 재미를 선사했습니다. 이러한 비대본 콘텐츠는 예측 불가능한 스토리와 출연자의 진솔한 매력으로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리얼리티의 인기 비결이 인간의 본성과 관련있다고요?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인간의 본능과 본성을 보여 주는 장르로, 시청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우리는 타인의 삶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훔쳐보고 싶은 '호기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탄생 이후로 계속되어 온 본능 중 하나입니다. 


진화학자 폴 길버트는 "인간 사회의 주된 힘은 자원 확보 능력이 아니라 사회적 관심 확보 능력"이라고 주장하며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는 사람은  번식에서 직접적으로 이득을 누렸을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는 집단 내 권력의 차등이 일어나기 어려운 상황에서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인류는 수백만 년 동안 자신이 속한 집단의 관심을 확보하기 위해 진화해 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바로 인간의 호기심이 성장의 핵심이자 원동력이 되는 이유입니다. 우리는 탐험하고 발견하는 것에 대한 관심을 가지며, 새로운 관점을 형성하고 세상을 이해해 나갑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이러한 호기심의 본성을 탐구하고 나타내는 매체로써, 시청자들의 사회적 관심과 궁금증을 자극하며 다채로운 경험과 감동을 선사합니다.



우리가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푹 빠지는 이유


 

사회 비교 이론에 따르면 대다수의 사람은 자기 생각이 옳은지, 능력이 뛰어난지를 알고 싶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과 태도를  타인과 비교하려는 동기를 갖게 됩니다.  리얼리티 방송은 '유사 사회적 상호 작용''사회 비교 과정'을 제공하여 이러한 동기를 자극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현실적인 상황과 인물을 보여줌으로써 시청자의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우리는 TV 속 인물들의 삶과 행동을 관찰하며 자신과 비교하고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궁금해합니다.


이것이 인류가 리얼리티에 푹 빠지는 이유입니다. 우리는 타인의 삶을 엿보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며, 동시에 자신을 재발견하고 싶어합니다. 이러한 본능은 개인과 사회의 성장,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인간의 열정적인 호기심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적인 발상을 탄생시키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결국, 리얼리티 프로는 우리가 자연스럽게 가지고 있는 호기심의 본성을 충족시키며, 새로운 경험과 지식을 향한  탐구 정신을 자극하는 매력적인 매체가 됩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성패 결정 요인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인기인만큼 셀 수 없이 다양한 콘텐츠들이 등장했지만, 모든 프로그램이 흥행에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경쟁,우연성으로 시청자를 매료시켜요  오디션이나 경연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의 경쟁 구도에 기반하여 스토리가 전개되며, 연애 프로그램에서도 출연자들 간의 경쟁과 우연하게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이 펼쳐집니다. 

 

자유로운 서사를 지니고 있어요: 제작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서사성도 있지만, 등장인물들의 행동과 상호작용에 따라 예상치 못한 이야기가 펼쳐질 수 있습니다. 이는 '우연'이라는 요소를 프로그램에 더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쟁과 갈등, 협조, 협력 등의 관계가 시청자들에게 흥미로운 포인트가 됩니다. 


시청자들은 일반적인 사람들의 이야기와 감정을 공감하며, 선택이나 갈등, 성장 등을 관찰하고자 합니다. 이는 일종의 노멀크러시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평범한 것에 반하다'라는 뜻으로, 특히 젊은 세대들에게서 나타나는 평범하고 일상적인 것에 더 큰 관심을 가지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연애 프로그램에서 선택을 받지 못했거나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탈락했을 때의 감정들은 일반인의 얼굴에서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에 시청자들은 더욱 공감하고 현실적으로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관찰과 공감을 통해 시청자들은 자신의 삶과 비교하며, 타인의 선택과 결정에 대해 생각하고 느끼는 것입니다. 이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현실과 상호작용하며, 우리의 사회적 관심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중요한 매체임을 보여줍니다.



지나친 과몰입은 금물!



프로그램에 공감하며 의견을 표하는 것은 개인의 자유이지만, 지나친 과몰입으로  출연자에게 도 넘는 악성댓글을 남기거나 신상을 터는 것은 선을 넘는 범죄임을 인식해야 합니다. 리얼리티 예능은 아무리 우리가 진짜 같다고 생각하면서 봤어도 편집을 거친 일종의 픽션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일 뿐이며  방송에서 볼 수 있는 출연진들의 모습은 그 사람의 단면에 불과하고 출연자들에게 실제로는 다른 모습도 있을 수 있음을 분명하게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문헌]


공유경, 주만화, 정용국. (2023).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몰입 및 지속시청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3(3), 517-522, 10.5392/JKCA.2023.23.03.509


곽금주, 호기심에 대한 오해와 진실, Samsung Newsroom, 2014.10.17 [전문가 칼럼] 호기심에 대한 오해와 진실 – Samsung Newsroom Korea


[한 길 사람 속은?] 시청자는 왜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열광하는가?, YTN 사이언스,2022.12.13 ,[한 길 사람 속은?] 시청자는 왜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열광하는가? (ytn.co.kr)  


관찰 예능 인기 이유 '자연스러운 공감대 형성', 선호하는 관찰 예능은?. 디지틀조선일보, 2018.06.18, 관찰 예능 인기 이유 '자연스러운 공감대 형성', 선호하는 관찰 예능은? : 네이버 포스트 (naver.com) 






기사 다시보기

리얼리티에 푹 빠져버릴 수밖에 없는 이유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179
  • 기사등록 2024-03-06 03:17:4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