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김혜인 ]



“나 너 좋아해. 우리 사귈래?”


내가 짝사랑하던 사람이 나에게 고백했다! 이만큼 행복하고 기쁜 일이 또 어디에 있을까. 대부분 사람들은 짝사랑을 끝내고, 설레는 연애를 시작할 생각에 마음이 부풀어 있겠다. 그런데 누군가에겐 이 상황이 불편으로 다가온다. 바로 회피형 애착 유형의 사람들이다. 




어린 시절 정서적인 도움이 중요한 이유



회피형 애착 유형은 제목 그대로 가까이 다가가려 하면 멀어지는 대인관계를 가진다. 상대방과 감정적으로 깊은 유대감을 쌓거나 가까워지는 것을 불편하게 생각한다. 보통 이러한 성격은 어릴 때의 양육 환경으로 인해 시작되어 성인이 되어도 굳어지는 경우가 많다. 어릴 적, 부모나 양육자로부터 많은 관심이나 애정을 얻지 못했을 것이다. 한 마디로, 정서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시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지 못하였다. 결국 스스로 감정을 숨기거나 통제하는 것에 익숙해져 회피형 애착 유형의 인간으로 점차 변화했다.


회피형 애착에 대해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우리에게 친숙한 캐릭터를 예시로 들어보겠다. 엄청난 인기를 자랑한 애니메이션 영화 <겨울왕국>, 주인공 캐릭터 엘사는 전형적인 회피형 인간이다. 엘사는 모든 걸 얼려버리는 자신의 비밀을 들키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엘사가 아이였을 때, 힘을 조절하지 못해 동생 안나를 위험에 빠트린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엘사와 안나의 부모는 이후 엘사가 힘을 자제할 수 있을 때까지 성문을 닫고 외부와의 교류를 단절시킨다. 이 상황이 익숙해지다 보니 엘사는 사람들을 피해 자신을 감춘다. 동생 안나와 대화도 하지 않으려 하고 결국 얼음 성이라는 자신만이 아는 장소를 만들고 떠나버린다. 정서적으로 안정되기도 전에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방법부터 배웠으니 성인이 된 후에도 이런 특성이 이어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영화 <겨울왕국>의 한 장면



좋아하면 싫어지는 내 마음, 왜 이럴까요?


앞서 언급되었던 연애와 관련된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회피형 애착 유형의 사람들에게 깊은 감정적 유대가 필요한 연애는 너무나도 어렵다. 이 유형 사람들의 속마음은 파악하기가 힘들어서, 연인관계를 맺었을 때 그 관계의 신뢰도가 낮아 보이거나 마음의 깊이가 얕다고 느낄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은 새로운 인간관계를 즐기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새로운 자극에 관해 부담을 가지거나 위험성이 있는 일을 기피하기 때문이다. 그런 회피형 애착 인간에게 연애는 깊은 인간관계를 요구하는 부담스러운 상황들의 연속일 수밖에 없다. 


누군가를 좋아하게 되더라도 그 상대방이 자신에게 호감을 가지고 다가온다면 언제든 밀어내려 할 수 있다. 상대방이 자신만의 영역을 침범한다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다가오는 사람을 “더 이상 네가 좋지 않아!”라며 영역 밖으로 떨쳐낸다. 사실 회피형 인간은 진심으로 그 사람이 싫어진 것은 아니지만 자동으로 싫은 것처럼 행동할 확률이 높다. 결국 이러한 회피형 인간의 모습에 상대는 상처받게 되고 둘의 연인관계는 오래 지속되기 힘들다. 두 사람 모두 서로에게 상처만 준 채로 이 안타까운 관계는 마무리된다.




당신이 상대를 피하지 않고 그대로 있는 방법


그렇다면 회피형 인간에게 안정적인 연애란 마냥 불가능한 것일까? 이런 성향을 바꿀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 걸까? 


회피적인 성향을 하루아침에 버리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연인과의 소통이라는 노력을 통해 조금씩 개선될 수는 있다. 회피형 인간은 사람 간의 사이에 적절한 거리가 필요하다. 상대방이 그 ‘퍼스널 스페이스’를 인정하고 이해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또 연인과의 어떤 점이 자신에게 불편함으로 다가오는지 스스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연락의 빈도수가 너무 잦아서 부담스럽다든지, 애정 표현을 하기가 익숙지 않다든지 등을 말이다. 그리고 연인과 이러한 어려움들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중간 지점을 찾아가 보는 것은 어떨까. 회피형인 모습을 해결하고 싶다면 꾸준한 소통이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인 일이다. 소통이 이어진다면 당신의 회피적인 성향이 연애에 문제가 되는 경우는 줄어든다. 그렇다면 언젠가 소심했던 당신은 피하지 않고 다가오는 상대를 그 자리에서 기다리는 것에서 더 나아가, 가까워지려고 하는 자신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출처]

심리툰(@psych2gokorea262)(2021.6.6), 회피형 애착 유형의 8가지 특징 [심리,대인관계,애착이론] -심리툰 Psych2Go Korea(YouTube.com)

마음대로(2023.3.1), 회피형 인간의 특징(-나를 좋아하는 사람이 싫어지는 심리) -마음대로 심리학 Mindroad(YouTube.com)






기사 다시보기 

우울증 환자 아빠와 함께한 마지막 여행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190
  • 기사등록 2024-03-11 09:36:5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