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유지은 ]




여러분은 2024년의 새해와 새로운 학기를 맞아 버킷리스트나 계획을 세우셨나요? 세운 계획들이 다 지켜지면 좋겠지만, 의지 부족으로 지키지 않는 것들이 더 많은 것은 필자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의지가 부족해 쉽게 포기하는 일상에 지쳐서 새로운 학기를 맞아 이번 학기에는 계획한 것들을 이루기 위해 의지와 동기부여에 대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의지와 동기부여


먼저, 의지와 동기가 정확히 무엇인지 알고 가려고 합니다. 의지란 자신이 설정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행동을 하도록 마음에서 일어나는 내적 욕구입니다. 유교 사상을 강조하는 대한민국에서는 도덕적인 가치 평가의 원인도 됩니다.


동기란 자신이 하려는 일이나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계기를 말합니다. 어떤 일을 수행하려고 할 때, 하게 되는 계기 즉 동기가 생겨서 하려는 마음 즉 의지가 생기는 것입니다. 하려는 일에 동기가 부여되어 의지력이 생긴다면 우리는 뭐든 할 수 있습니다.



계획을 실행하지 못하는 이유


우리가 계획을 실행하지 못하는 무엇일까요? 단순히 생각하면 의지가 부족하고 동기부여가 명확하게 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의지가 부족한 것을 의지박약이라고 합니다. 의지박약이란 의지력이 약하여 스스로 결단을 내리거나 인내하지 못한 것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의지력이 부족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WILLPOWER INSTINCT라는 책에 따르면 ‘의지력은 수면 부족, 열악한 식단, 앉아있는 생활 방식 및 에너지를 약화시키거나, 두뇌와 신체에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기타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방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단순히 우리의 의지가 약해서가 아니라 체력이 부족해서 또는 몸의 에너지가 부족한 이유도 있습니다. 필자도 가끔 의지력이 약한 스스로를 자책하고 후회하는 일이 많았습니다. 처음에는 할 수 있다는 굳은 마음으로 시작했다가 금방 식어버린 열정으로 지키지 못한 계획들이 점차 늘어났습니다. 


하아영, 조한익의 논문에 따르면 ‘꾸물거림 행동이 후회, 비합리, 절망, 자기 비난, 낮은 학업성취와 관련이 높고(Burka & Yuen, 1983), 우울, 불안, 낮은 자존감(Lay, 1986; Solomon & Rothblum, 1984) 등과 관련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부적 정서를 많이 느끼게 됨으로써 나타나는 결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학업적으로 꾸물거리는 학생들이 정적 안녕감이 낮고 부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난 이유로 일정 기간 내에 마쳐야 하는 목표를 인지하고는 있으나 계속해서 미루게 됨으로써 인지와 행동의 부조화가 부적 안녕감을 높인 것으로 판단된다.’라고 합니다. 필자는 사범대 학생으로서 학업에 대한 욕심도 있었습니다. 항상 실패한다는 생각으로 인해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기도 했고, 이 때문에 의지력이 부족한 결과를 만들어 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실행하는 습관 만들기 


우리가 계획을 실행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제는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차례입니다. 


첫 번째는 몸부터 챙기는 것입니다. 하려는 의지가 생기려면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몸부터 건강한 것이 우선입니다. 


두 번째는 하려는 계기 즉 동기를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계획한 것을 왜 해야 하는지 생각하고 생각에 꼬리를 물다 보면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계획을 구체화하는 것입니다. 큰 목표를 잡기보다는 구체화해서 당장 오늘 할 일을 목표로 두면 계획을 실행하기 쉬울 것입니다.


목표한 것을 이루지 못해서 좌절하기보다는 작은 목표에서 시작해서 결국에는 더 큰 것을 이루는 한 해, 한 학기를 보내기를 필자도 응원하겠습니다!

 


(출처)

하아영, 조한익. (2019). 사범계열 대학생들의 의지력에 관한 암묵적 신념, 학업적 꾸물거림,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 37(2), 1-27, 10.22327/kei.2019.37.2.001

McGonigal, Kelly-{The Willpower Instinct- How Self-Control Works, Why It Matters, and What You Can Do to Get More of It}






기사 다시보기 

인간의 가장 큰 재능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217
  • 기사등록 2024-03-15 07:36:3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