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산후우울증: 엄마이기 이전 여성으로서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과 우울증 - 출산 후 경험하는 육체적 그리고 심리적 변화 - 산후우울증의 여러 종류와 원인
  • 기사등록 2024-03-18 00:25:17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



요즘 한국의 출산율에 대한 걱정과 우려가 다른 나라에 의해서도 언급되며, 현재 우리나라가 경험하고 있는 저출산이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주고 있다. 올해 합계출산율을 보면 지난해의 0.7명을 넘어 0.65명으로 사상 최저의 기록을 세웠다 (이영준).


저출산을 예방하려는 여러 대책 마련 중 산후우울증을 치료하는 방법이 있다. 여성들이 임신 후 겪는 육체적 그리고 정신적 어려움이 현재 우리나라의 낮은 출산율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냐고 생각도 하게 되었다. 실제로, 최근 2023년 12월에 저출산을 극복시키기 위해 산전, 산후우울증을 겪는 부부와 가족을 위해 정부, 지자체의 지원을 확대하는 국회 법안이 통과되며 산후우울증이 얼마나 심각하고 중요한지 보여주었다 (최민식, 2023). 때문에, 심리학자들과 상담사들은 산후우울증이 정확히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상담을 통해 산후울증을 치료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산후우울증은 우울증의 종류 중 하나로 대체로 출산 후 6개월 이내에 발생하는 우울증을 일컫는다 (신은진).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낮은 결혼생활 만족도가 특히 산후우울증에 걸릴 확률을 높이며 다른 이유로 보육과 주거 어려움이 또 다른 이유로 뽑혔다 (김현아). 통계에 의하면, 5년 사이 산후우울증을 겪고 있는 산모들은 5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이 중 10대가 가장 많이 경험했다고 한다 (이강민). 특히, 청소년 임신의 경우, 준비되지 않은 임신을 했을 때 오늘 스트레스, 가족관계의 어려움과 같은 이유로 산후우울증에 더 취약해질 수도 있다. 이외에도, 충분한 임신 준비를 마치고 출산하는 임산부에게도 여성으로서 느끼는 정체성 혼란, 신생아를 돌봐주며 느끼는 육체적 피로 등으로 산후우울증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워킹맘의 경우, 임신한 후 육아와 집안일, 그리고 직장을 병행하며 엄청난 육체적 그리고 심리적 피로를 느낀다.


“... 임신·출산을 하면 약 1년간 몸과 마음이 엄청난 변화를 겪는다. 게다가 출산을 하면 임신 기간 중 멈춰 있던, 생리 주기에 따른 호르몬 변화가 한 번에 몰려온다. 열 달 분량의 호르몬 변화가 한꺼번에 발생하는 거다. …

이 상태에서 출산을 앞두고 생긴 불안감, 아이가 건강하게 태어나 자랄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 출산 후 몸의 변화와 통증, 육아를 잘해야 한다는 강박 등이 더해지니 산후우울증이 생긴다.”

- 김민경 교수, 신은진 기자


산후 우울증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첫 번째로는, 산후 우울감, 또는 베이비 블루(Baby Blue)가 있는데, 이는 출산 후 급격한 여성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출산 후 5일과 2주 사이 나타나는 여러 신체적 그리고 정신적 변화의 증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기분 조절, 과도하거나 부족한 식욕과 수면, 불안과 우울, 그리고 집중력 감소와 같이 나타난다. 두 번째로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산후우울증이 있는데, 산후우울증은 조금 더 길고 극심하게 나타나며, 산후 우울감의 증상에 더해 출산 후 아이와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느낀다거나, 자신이 쓸모없다고 느끼거나, 자신과 아이를 해치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것과 같이 나타난다. 세 번째로 흔치는 않지만 출산 후 일주일 이내에 나타날 수 있는 분만후정신병이 있다. 산모들은 출산 후 혼란스러움, 아이에 대한 강박, 환각과 환청, 피해망상적인 생각, 그리고 자신과 아이를 해치려는 시도들과 같이 보일 수 있다. 분만후정신병은 산모의 생명에 위험이 되는 생각과 행동들로 나타나며 최대한 빠른 검사와 조치가 필요하다 (이종혁, 2024; Mayo Clinic).


치료되지 않은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 산모에게 여러 정신건강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아이와 가족에게도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민태원). 더 나아가, 산후 우울증의 증상들은 초반에 알아차리기 어려우며, 특히 산후 우울감이라고 가볍게 여겨 더 심각해질 경우, 산모들의 극단 선택 위험을 높일 수도 있다.



산후 우울증 이외에도, 임신 이전에 여성과 부부가 겪는 어려움 또한 있는데, 특히 난임 상담과 치료를 받는 여성에게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다. 오늘날, 특히 늦춰진 결혼과 임신으로 인해 아이를 가지는 데 어려움을 겪는 여성이 많은데, 난임 치료가 계속될 경우, 많은 여성은 좌절감, 죄책감, 그리고 우울증과 같은 여러 복잡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이민우). 따라서, 위의 비슷한 증상을 겪고 있는 임신 대비 여성들과 출산 후 산후 우울증이 의심되는 산모들은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산후 우울증을 치료하는 상담사들은 출산 후 변화를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어떻게 이러한 변화들이 산모들의 육체적 그리고 정신적 변화를 일으켰는지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상담사들은 산모들의 배우자와 가족 심리상담을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심각하면 약물치료 또한 내담자들에게 설명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현아. (2024). "출산 여성 6명 중 1명 산후우울증...보육·주거 불안" YTN. https://www.ytn.co.kr/_ln/0103_202401281036537200 

이강민. (2023). 산모는 주는데 산후우울증은 늘었다…5년 새 50% ↑ 국민일보.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646968?sid=102 

이영준. (2024). 저출산 쇼크… 0.7명마저 무너졌다. 서울신문.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433720?sid=101 

이민우. 난임상담 대기만 '53일'…산후우울증도 '급증' 뉴스토마토.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05739&inflow=N 

이종혁. (2024). (AI) 출산 후 우울감과 산후우울증, 어떻게 다를까? 생활경제전문뉴스. https://www.m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994 

신은진. (2023). "산후우울증, 갱년기까지도 갈 수도… 엄마도 '100일 기념' 마음 점검 필요" 헬스조선.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0/13/2023101302217.html 

민태원. (2024). [And 건강] 숨어있는 산후 우울증 환자… 5년간 10대 93% 급증. 국민일보.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08844877&code=14130000&cp=nv 

최민식. (2023). 산전·산후우울증 국가지원법, 국회 통과…"저출산 극복 앞장설 것" 티비 조선. https://n.news.naver.com/article/448/0000439488?sid=100 

Mayo Clinic. (연도미상). Postpartum depression. Mayo Clinic.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postpartum-depression/symptoms-causes/syc-20376617 






기사 다시보기 

스포츠 심리학: 몸과 마음으로 뛰는 경기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218
  • 기사등록 2024-03-18 00:25:1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