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채진우 ]

 


디지털 미디어의 긍정적 측면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어줬다. 디지털 미디어는 우리의 일상에 놀라운 변화를 가져오며, 이러한 혁신은 우리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는 특히 지리적인 제약을 극복하고 다양한 사람들과의 소통을 촉진함으로써 새로운 관점과 아이디어를 접할 수 있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작용한다. 사용자들은 글로벌한 커뮤니티에 참여하고 자신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상호적인 학습과 문화 교류의 기회를 확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전통적인 학습 방식에 비해 훨씬 더 편리하며 유연한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학생들은 언제 어디서나 학습 자료에 접근할 수 있으며, 다양한 강의 및 자료를 통해 지식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은 현대의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 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학습자들이 최신 기술과 트렌드에 대해 더 빠르게 파악하고 적응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은 사회적 상호작용 방식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통한 소통은 개인 간뿐만 아니라 기업과 고객, 정부와 시민 등의 다양한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정보의 공유와 의사 소통을 촉진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의 새로운 모습을 형성하고 있다. (Chin-Wen, 2023).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은 이전보다 훨씬 더 개인화되고 타겟팅돼 있다. 기업은 소비자의 관심사와 선호도를 파악하여 직접적이고 개인화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브랜드 충성도를 증진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소비자들이 더 많은 선택권을 갖게 하고,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다. (Werner, 2024). 

 

뿐만 아니라, 정부와 시민 간의 관계도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변화하고 있다. 정부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정책 발표, 공공 서비스 제공, 시민들의 의견 수렴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시민들이 보다 쉽게 정부와 소통하고, 정책 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뿐만 아니라, 정부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증진시키는 데에도 기여하고 있다. (Yun-Peng et al., 2023).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 보면, 디지털 미디어가 사회적 상호작용 방식에 어떤 식으로든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어떻게 사회적 구조와 상호작용을 형성하고 재구성하는지를 더 깊이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긍정적인 측면들을 고려할 때, 디지털 미디어는 우리의 일상에서 더 나은 교육과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세계와 더 넓은 교류를 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에 노출되고, 개인적이고 진취적인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들은 디지털 미디어의 지속적인 발전과 적절한 활용을 통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의 중요성은 점점 더 부각되고 있는데, 특히 이는 다양한 지역의 학생들에게 공평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개발도상국이나 지역사회에서 디지털 교육 기회가 어떻게 확대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교육의 미래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측면을 탐구할 수 있다. 먼저, 디지털 교육이 어떻게 지리적, 경제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있는 학생들에게 교육 기회를 확장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이는 특히 학교나 교육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 디지털 기술을 통해 학습 자원과 교육 콘텐츠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하다.


또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에게 어떻게 디지털 교육이 혜택을 제공하는지를 연구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문화적인 다양성을 존중하고 고려하는 교육 콘텐츠와 자원을 개발하여,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배경과 경험을 인정받고 성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디지털 기술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육 격차를 줄이고, 다양한 학생들에게 공평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데 어떤 전략과 정책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디지털 교육이 지역 사회의 교육 시스템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발전시키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출발점이다.



디지털 미디어의 부정적 측면


그러나, 동시에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그로 인한 장시간 이용은 새로운 건강 문제들을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지털 화면 중독과 우울증 간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상 속에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디지털 화면들은 우리의 생활을 지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디지털 기기들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은 심리적인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화면 중독은 사람들의 정서적 안녕함과 연결된 우울증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장시간의 디지털 미디어 소비는 수면 부족과 스트레스 증가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우울증의 증상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디지털 화면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서적인 문제들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Louise et al., 2023).


일상에서 디지털 화면에 노출되는 시간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사람들은 디지털 기기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지고 있다. 소셜 미디어의 보급과 온라인 업무 활동의 증가로 많은 사람들이 장시간 화면을 바라보게 되고 있다. 이로 인해 뇌의 활동 패턴이 변하고 수면 부족, 스트레스, 감정 조절의 어려움 등이 유발될 수 있다.


우울증은 화면 중독과의 연관성에서 주목받고 있는 심리적 문제 중 하나이다. 화면 중독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과 현실 세계와의 소통 부족은 우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화면 속 가짜의 완벽한 이미지에 노출되면 현실과의 불일치로 인해 자아 존중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는 우울증의 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 (Olivia et al., 2021).


화면 중독은 새로운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등장과 함께 더욱 빈번해지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가 출현함에 따라 사용자들이 일상에서 디지털 화면에 노출되는 시간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매일 길게 화면을 바라보며 소셜 미디어에서의 상호작용, 온라인 게임, 동영상 시청 등 다양한 디지털 활동에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이와 같은 행동 패턴은 현실 세계와의 소통 부족을 초래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상에서의 가상 세계에서 일어나는 대화와 상호작용은 현실 세계의 사회적 관계와는 다르게 이뤄지기 때문에 실제 대면 소통의 경험이 부족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현실 세계에서의 사회적 고립을 느낄 수 있고, 이는 우울증의 발생과 진행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소셜 미디어에서의 상호작용은 자아에 비현실적인 기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사람들의 완벽해 보이는 삶과 성공적인 이미지에 노출되면 자아 존중감이 감소하고, 이는 우울증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현실과의 불일치된 기대와 완벽주의적인 표현은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Emily & Richard, 2021).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디지털 미디어 사용에 대한 건강한 균형을 찾는 데는 종합적이고 광범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상에서의 스크린 타임을 관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활동에도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여 현실 세계에서의 사회적 관계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미디어 사용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크린 타임을 관리하는 습관을 키워야 한다. 사용자들은 일상에서 디지털 미디어에 소비하는 시간을 자주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제한하며 규칙적인 휴식을 취함으로써 미디어에 지나치게 몰두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오프라인 활동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여 현실 세계에서의 사회적 관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람들은 친구들과 가족과의 실제 대면 소통을 즐기고, 체육활동이나 예술적인 활동과 같은 다양한 오프라인 활동을 통해 디지털 세계 이외의 경험을 쌓을 수 있다. 이는 정서적 안정감과 행복감을 증진시키며, 디지털 미디어 사용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셜 미디어 사용에 관한 교육과 개인의 디지털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교육기관, 기업, 정부는 사용자들에게 디지털 미디어를 적절하게 활용하고 건강한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교육 및 교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개인의 디지털 건강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홍보함으로써 개인들이 미디어 사용에 더욱 부주의하지 않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Chin-Wen, Chang., (2023). The Impact of Digital Disruption: Influences of Digital Media and Social Networks on Forming Digital Natives’ Attitude. [Sage Journals]. Retrieved from: 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21582440231191741

Emily, B. O., and Richard, G. H., (2021). Social media use,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A systematic review. [ScienceDirect]. Retrieved from: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45195882100018X

Louise, A. S. B., Lisbeth, L., Martin, M. A., Poul J. J., Anna P. F., and Susan, A., (2023). Digital media use and sleep in late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A systematic review. [ScienceDirect]. Retrieved from: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087079222001551

Olivia, R., João, F. M., and Peter, T., (2021).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eterminants of Depression: A Review of Recent Literature. Retrieved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699555/

Werner, G., (2024). 20 Step Social Media Marketing Strategy for Businesses in 2024. [InfluencerMarketingHub]. Retrieved from: https://influencermarketinghub.com/social-media-marketing-strategy/

Yun-Peng, Y., Yogesh, K. D., Garry, W. H. T., Tat-Huei, C., Keng-Boon, O., Eugene, C. X. A., and Wendy, C., (2023). Government Digital Transformation: Understanding the Role of Government Social Media. [ScienceDirect]. Retrieved from: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740624X22001113






기사 다시보기 

사회적인 압박 속에서의 정신 건강 강화 전략

펫로스 증후군을 위한 정서적 대비책과 치유의 길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225
  • 기사등록 2024-04-02 16:46:1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