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


만약, 하루 중 다른 사람과 5-10초간 포옹하는 것만으로도 우리의 하루를 훨씬 더 나은 하루로 바꿀 수 있다면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

 


여러 의학 관련 논문 자료에 의하면 스킨십이 우리의 정신건강에 얼마나 중요하고 긍정적인 역할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한다. 미국의 한 의학 자료에 의하면 포옹은 기분을 좋게 해주는 옥시토신과 도파민 호르몬을 생성한다. 이 호르몬은 우리의 심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혈압을 낮춰주고, 면역력을 키워주며,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낮춰주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스킨십과 포옹은 편안한 기분을 들게 해줌으로써 우울과 불안한 감정들을 낮춰주며 피곤함 또한 가시게 해준다 (Cleveland Clinic, 2023). 


더 나아가, 포옹과 스킨십의 효과는 우리의 어릴 적 부모님과의 관계에서부터 알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엄마와 아이의 관계를 보았을 때, 신체접촉과 스킨십은 아이에게 긍정적인 발달 효과와 정서적 안정감을 준다. 특히, 신생아들은 엄마의 품속에서 신뢰감과 안전함을 느끼고 긴장을 늦추며 수면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Kumar & Uttekar). 스킨십이 아이의 성장과 정서적 안정감에 중요한 관계를 맺는다는 것을 증명한 실험 중 해리 할로우(Harry Harlow)라는 심리학자의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는 어린 원숭이들과 두 가지의 대리모 모형을 가지고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많은 어린 원숭이들이 철근과 나무 모형으로 이루어진 대리모 모형보다는 부드러운 옷감과 고무로 이루어진 모형을 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새롭거나 무서운 상황을 만들어내었을 때, 부드러운 모형과 함께 있을 때는 우리 안을 탐색하는 것과 같은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반면 철근으로 이루어진 모형과 같이 있을 때는 극한의 공포를 느끼는 모습을 보이며 두려움에 엄지손가락을 빠는 것과 같은 행동을 보였다.




그렇다면, 과학적, 이론적 이유를 떠나 왜 다른 사람으로부터 사랑받는 느낌을 받는 것이 중요할까? 이는, 최근 팬데믹 동안 거리두기 유지로 인해 사람들 간의 접촉과 스킨십이 제한 및 금지되었을 때, 개인과 사회에 미쳤던 부정적 영향들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한 논문에 의하면 코로나로 인해 신체접촉과 스킨십이 제한되었을 때 개인이 느끼는 심각한 외로움은 확연한 우울과 불안의 증가로 나타났다 한다. Touch Starvation, 또는 제한된 신체접촉으로 인해 느끼는 정신적 불안, 스트레스, 그리고 다른 부정적 심리적 문제들은 신체접촉을 위한 갈망으로 나타난다. 여러 자료에 의하면 충분하지 못한 스킨십은 심리적인 문제들뿐만 아니라 심장마비, 혈압 상승, 긴장감, 수면 불면증과 같은 신체적인 문제들로 이어지기도 한다 (Pierce, 2020; 전종보, 2021). 


하지만, 문화적으로나 개인의 차이로 인해서 포옹이나 스킨십을 즐기지 않는 사람들도 분명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친구던 가족 사이던 스킨십은 상대방과 충분한 소통을 통해 그리고 그들의 러브 랭귀지(Love Language) 또는 애정 표현 방식이 무엇인지 물어보고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러브랭귀지란, 다섯 가지로 알려진 개인의 표현 방식을 일컬으며 칭찬과 긍정적인 말해주기(Words of Affirmation), 좋은 시간 보내기(Quality Time), 선물 주고받기(Receiving Gifts), 상대방이 도움이 필요할 때 시간 내주기(Acts of Service), 스킨십(Physical Touch)이 있다. 물론, 누구나 이 다섯 가지 러브 랭귀지 다 중요하게 생각하겠지만 넘겨짚어 함부로 포옹이나 스킨십을 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할 것이다. 


일주일에 몇번씩 가족에게, 친구에게, 사랑하는 사람에게 우리에게 맞는 러브랭귀지를 사용해 보는 것이 어떠한가? 꼭 살결이 맞닿는 포옹이나 스킨십이 아니더라도 좋은 글귀, 칭찬, 용기의 말, 또는 같이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시간을 보내거나 선물 주고받기 등등과 같이 우리의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러한 애정 표현을 통해 분명 상대방뿐만 아니라 가끔 지친 우리의 마음 또한 힐링할 수 있을 거라 믿는다. 



참고문헌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2018). Harlow’s Classic Studies Revealed the Importance of Maternal Contact.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https://www.psychologicalscience.org/publications/observer/obsonline/harlows-classic-studies-revealed-the-importance-of-maternal-contact.html 

Daily Health Stories. (2023). Benefits of Hugging for Mental Health. Cleveland Clinic. https://newsroom.clevelandclinic.org/2023/01/18/benefits-of-hugging-for-mental-health/ 

Kumar, K. & Uttekar, P.S. (연도미상). How Do Hugs Make You Feel? MedicineNet. https://www.medicinenet.com/how_do_hugs_make_you_feel/article.htm 

Pierce, S. (2020). Touch starvation is a consequence of COVID-19’s physical distancing. TMC News. https://www.tmc.edu/news/2020/05/touch-starvation/ 

전종보. (2021). 코로나로 줄어든 ‘스킨십’… 위태로운 정신건강. 헬스조선.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9/16/2021091601730.html






기사 다시보기 

스포츠 심리학: 몸과 마음으로 뛰는 경기

산후우울증: 엄마이기 이전 여성으로서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과 우울증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238
  • 기사등록 2024-03-25 08:30:3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