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정
[The Psychology Times=김민정 ]
2021년, 김태현은 온라인 게임으로 알게 된 25세 여성에게 끊임없이 교제를 요구하며 스토킹했다. 하지만 피해자가 자신을 만나주지 않자 피해자와 여동생, 어머니를 살해하였다. 범행 이틀 뒤에 세 모녀는 현장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고, 같은 날 김태현은 자해한 상태 그대로 현장에서 검거되었다.
김태현은 카메라 앞에서 “일단 죄송하다”고 말하였는데,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 교수는 “김태현이 카메라 앞에서 ‘일단 죄송하다’고 한 것은 ‘죄송합니다’가 아닌 ‘일단’에 진심이 내포되어 있다”라고 평가하였다. 동시에 사실 그는 조금도 죄송하지 않고 알고 보면 자신이 피해자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과연 그는 무슨 이유로 스토킹을 한 것이고, 스토킹하는 심리는 무엇일까.
스토킹이란?
스토킹은 상대방의 원치 않는 행동으로 인해 개인이 안전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게 되는 반복적인 행동으로, 타인에게 괴롭힘 내지 공포를 느끼게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스토킹은 낯선 사람에 의해 발생하기도, 친밀한 관계에서 일어나기도 쉬운 문제 행동이라고 한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이버 스토킹’이라는 용어가 생길 만큼 스토킹의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사이버 스토킹은 SNS 채팅을 이용하여, 상대방이 거절 의사를 밝혔음에도 좋아요 표시를 남발하거나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보내는 행위 등을 말한다. 사이버 스토킹 외에 가장 흔한 스토킹 방법으로는 전화와 협박 편지, 주거 감시하기, 피해자 따라가기 등이 있다.
스토킹 범죄는 사랑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인가?
스토킹 범죄는 대부분 피해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지 않지만 깊고 돈독한 사이라고 믿는 ‘망상’에서 비롯된다. 그러한 망상은 ‘상대가 나를 사랑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일면식이 전혀 없는 연예인과 지신이 사랑하는 사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스토킹 범죄의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다.
평소 알고 지내던 사이에서 일어나는 스토킹 범죄는 스토커의 지배 복종 욕구가 기반이 된다. 가해자가 상대방에게 자신이 원하는 행동을 요구하고, 그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때 범죄가 시작된다.
스토킹하는 사람들은 어떤 심리일까?
스토커는 상대방이 자신의 대상이 될 만한지 아닌지를 짧지 않은 시간을 가지고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거치며 치밀하게 판단한 후에 확신을 가지고 접근한다. 초기에는 자신의 의도대로 행동하는 상대방을 선호하고, 어떠한 행동을 요구하여도 거부당하지 않고 독점할 수 있다는 심리에서 상대방을 몰아세운다. 그렇기에 정신이상으로 인한 우발적 범죄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스토커들은 망상, 비조직화된 사고와 각종 환상 등의 정신의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특성 중 하나가 가부장적 사고인데, 스토커는 가해자의 요구대로 상대방에게 지시하고 통제하고자 한다. 그리고 상대방의 번호를 알아낸다면 지속적으로 연락을 보내도 된다고 생각하기에 범죄 행위의 제재가 없다면 가해자는 피해자가 자신의 요구를 받아줄 때까지 일상에 간섭하고 공격행위를 하는 것이다.
정신의학적 특성 중 하나는 자기애성 인격장애적 특성이다. 스토커는 자신 스스로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고 자신의 능력에 빠져 살아가기에 상대방에게 거절당하면 과격하게 공격하는 심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심리를 가진 스토커가 사귀던 상대방으로부터 거절당한 경우에 자존심에 큰 상처를 받아 상대방에게 지속적으로 간섭하고 괴롭게 만든다.
다른 특성으로는 반사회성 인격장애적 특성이다. 이 유형의 스토커는 범죄의 전과경력이 있으며, 무직이거나 조직폭력배가 많다고 한다. 대부분의 스토커와는 다르게 연애망상을 갖는 경우가 많지 않고, 상대방의 감정에 무관심하며 자신의 욕망이나 감정을 상대방에게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스토킹 피해자는?
스토킹 피해 경험은 ‘심리적 테러리즘’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적지 않은 피해자들은 사회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고, 정서적 고통, 불안 장애 등 일종의 PTSD 증상을 경험하였다. 이들은 반복적인 스토킹에 대응할 수 없기에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을 느꼈을 뿐만 아니라, 극단적인 경우에는 심각하게 자살을 고려했거나 자살 시도를 하게 된다.
따라서 가해자에 대한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 범행 초기, 가해자에게 확실하고 엄격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우선이다. 그러나 이런 행동을 했음에도 스토킹 범죄는 발생하기에 피해자를 보호해줄 수 있는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아리옹거. 스토킹 범죄의 심리적인 원인.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2
이수정. (2022). 가스라이팅 및 스토킹의 심리적 기재에 관한 비교. 한국경찰연구, 21(2), 211-236.
이창한(Lee, Chang Han). "스토커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5권, 1호, 2009, 93-119. .
기사 다시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apple137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