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유민
[한국심리학신문=한유민 ]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목표 달성과 자기 개발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이러한 목표 달성 과정에서 ‘공개 선언 효과’는 흥미로운 심리적 메커니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공개 선언 효과’란, 개인이 자신의 목표를 다른 사람에게 공개함으로써 그 목표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고, 실제로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본 기사에서는 ‘공개 선언 효과’의 개념과 함께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고, 이 현상의 실제사례와 공개 선언이 목표 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효과를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공개 선언 효과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공개 선언 효과’는 떠벌림 효과(Profess Effect) 라고도 하며, 개인이 자신의 결심을 주변에 밝힘으로써, 자신의 명성과 이미지를 유지하려는 압력을 느끼게 되고, 실행력이 높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때 작용하는 ‘사회적 책임감’과 ‘일관성의 원칙’은 ‘공개 선언 효과’의 주요한 원인이며, 이는 다른 사람들의 기대와 자신의 이미지를 유지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에서 비롯됩니다.
위와 같은 원인은 심리학에서 오랫동안 연구된 주제 중 하나입니다. '공개 선언 효과'의 기본 가정은 ‘인간이 사회적 동물’ 이라는 점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며, 그들의 시선과 기대를 의식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인식과 평가를 중요하게 여기며, 이는 개인의 행동과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공개 선언 효과의 실제 사례
다이어트 클럽이나 피트니스 챌린지는 '공개 선언 효과'를 활용한 대표적인 예입니다. 'MyFitnessPal'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체중 감량 목표를 공유하고, 그 과정을 친구들과 공개적으로 공유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목표 달성률이 높았습니다. 참가자들은 자신의 건강 식단, 운동량 등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상호 지지와 격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종종 SNS에서 보이는 ‘바디프로필’을 찍고자 하는 인플루언서들도, 자신의 목표를 많은 팔로워들에게 공유하며 달성 의지를 높이고자 하는데, 이 역시 ‘공개 선언 효과’의 일종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금연을 결심한 사람들이 'QuitNow!'와 같은 금연 도전 캠페인에서 자신의 결심을 공유하는 경우, '공개 선언 효과'는 금연 성공 확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었습니다. 흡연자들은 자신의 금연 디데이를 온라인 상에서 공개하고, 성공 시에는 성공 경험까지 공유함으로써, 더 많은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그 과정에서의 지지와 격려가 목표 달성에 큰 도움이 되곤 하였습니다.
대학 입학, 자격증 취득, 승진 등의 목표를 가진 사람들이 그 목표를 공개적으로 선언하면, 이는 그들의 학업이나 경력 목표 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자신의 학습 목표를 SNS의 공부 계정이나 유튜브에 브이로그 형태로 공개하고, 학습 과정과 성과를 정기적으로 공유함으로써 목표 달성에 성공하곤 합니다.
공개 선언의 효과는 정치적 공약의 이행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정치인들이 다수의 국민들에게 자신의 약속을 실천할 의지를 공개적으로 보여주고, 유권자들로부터 득표수를 얻는 데에 기여하는 신뢰 효과이기도 합니다.
공개 선언 효과의 부정적 측면
이처럼 '공개 선언 효과'는 개인의 목표 달성을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개 선언 효과가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목표 달성에 실패했을 때의 심리적 압박감과 스트레스, 공개적인 실패에 대한 두려움 등 부정적인 측면도 분명 존재합니다. 따라서 목표를 설정할 때는 현실적인 가능성과 자신의 한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공개 선언의 방식이나 범위를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은 때로는 어렵고 도전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개 선언 효과'의 적절한 사용을 통해, 작심삼일에서 벗어나 여러분이 계획한 목표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입니다. 정말 이루고자 하는 것이 있다면, 다가오지 않은 미래에 실패를 부끄러워하기보다는 '떠벌림'으로써 두려움의 벽을 없애보길 바랍니다.
홍광아. (2019). 온라인 모임으로 극복하는 작심삼일. 월간 샘터, 90-91.
김태형, 천승환, 김수, 김주리, & 이지원. (2018). 행동경제학적 접근방법을 통한 친환경행동 활성화 잠재성 검토: 행동경제학, 인구사회학, 환경심리학 변수의 비교: 행동경제학, 인구사회학, 환경심리학 변수의 비교. 환경정책, 26(2), 71-98.
김남호, & 정경미. (2017). 이익충돌 상황에서 공개가 사익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발 공개와 강제 공개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1(1), 23-39.
이민규. (2011). 실행이 답이다 (구글 전용). 더난출판.
기사 다시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an653846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