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최주희]



‘전염’이라는 단어를 보면 가장 먼저 어떤 생각이 나는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질병’이 가장 먼저 떠오를 것이다. 하지만 전염은 질병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에도 영향을 끼친다. 

 

감정 전염(emotional contagion)이란 타인의 희로애락에 공감하고 생각, 감정, 행동이 전염되면서 타인이 우리 삶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말한다. 축구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도 2002년 월드컵을 함께 응원하고 즐거워했던 것,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겪으며 너나 할 것 없이 애도의 마음과 슬픔에 휩싸였던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여자 배구 선수의 학교 폭력 사건에 이어 유명 연예인들의 학교 폭력 논란이 붉어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아동학대로 인한 살인, 경비원에 대한 갑질과 폭행, N번방 사건, 묻지마 폭행 등 약자를 향한 폭행 사건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이슈화 되고 있다.

 

사진출처 : pixabay

 

이러한 폭행 사건들이 이슈화되면서 시민들은 함께 분노했고 동시에 피해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학교 폭력에 대한 인식 개선, 선수 생활 중지, ‘정인이법’, ‘아동학대살인죄’ 신설, N번방 방지법 등의 법적 처벌 강화처럼 개개인의 다양한 감정의 전염이 사회 전염을 끌어내는 촉매제가 되어 사회 변화를 일으킨 것이다.

 

긍정적 감정보다 부정적 감정이 더 강하고 빠르게 전염이 된다. 섭식장애 전염, 연쇄 자살과 같은 부정적 사회 전염이 그 예시이다. 하지만 이러한 감정들을 공동체가 어떻게 이끌어 가느냐에 따라 사회를 긍정적으로도, 부정적으로도 변화시킬 수 있다. 우리는 다양한 감정에 동화되고 감염되는 사회를 살아가면서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긍정적 사회 전염을 끌어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준만. (2016). 왜 `역동성`과 `불안정`은 한국 사회의 숙명인가? : 감정 전염 외. 인물과사상, (218), 40-71.

-[오현주 앵커가 고른 한마디] “폭력사회, 야만 시대”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2/20/2021022090065.html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55
  • 기사등록 2021-03-11 13:16:5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