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



첫 등교, 첫눈, 첫사랑 등 모두에게 ‘처음’의 기억은 특별하다. 하지만 이 모든 순간들이 머릿속에 잊혀지기 쉽다. 어린 시절, 이런 마법 같은 순간들이 계속 희미해지는 이유가 무엇일까? 



유아 기억 상실증이란? 


우린 대부분 세 살부터 네 살까지의 기억이 희미하거나 없다. 사실, 일곱 살 이전의 삶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향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현상을 ‘유아 기억 상실증'이라 하는데, 성인이 2-4세 이전의 ‘일화 기억' (특정 사건이나 경험에 대한 기억)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Anderson).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 연구원들은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바꾸는 뇌 부위인 ‘해마'와 기억 형성과 회복에 관여되는 다른 뇌 구조의 발달과 관련이 있다고 믿고 있다. 쉽게 말하자면, 해마의 생물학적 성숙이 본격적으로 4세 이후에 발달되기 때문에 그 이전의 기억들은 잘 저장되거나 회상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Mind Journal). 



유아 기억 상실증의 생물학적 요인 


토론토 대학의 신경과학자에 따르면, 유아 동물의 신경 발생을 억제하면 정상적인 발달에 비해 기억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Josselyn). 유아의 뇌에서 새로운 신경 세포 생성은 초기 기억의 통합과 저장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 기억 상실증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요인이 바로 높은 신경세포 생성 비율이라 꼽히기도 한다. 



잊히지 않는 기억들 


그렇다고 해서 모든 기억이 잊히지 않는다. 장기 기억들은 이러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그중 ‘절차 기억'과 ‘지각 기억'은 잊히지 않는다. 절차기억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으로 자전거를 타는 방법처럼 한번 익히면 평생 기억이다, 지각 기억은 반면 우리의 과거 경험과 지식의 토대로 해석하는 과정으로, 초등학교 첫 입학의 첫 날인 교실 분위기이나 친구들, 선생님 모습이 생생하게 기억나는 것도 ‘장기’ 기억에 포함된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우리는 어린 시절의 소중한 순간들을 잊지 않기 위해 사진으로 간직 해보는 것은 어떨까?



기억 연구의 미래


기억 연구에는 많은 미개척 분야가 남아 있다. 뇌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기억의 생성, 유지 및 파괴에 대해 조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억을 강화하거나 복원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나중에 어린 시절의 기억 상실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특정기억의 강화: 치매조사의 발전


치매와 같은 기억력 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들을 위한 연구는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전략에 대한 중요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뇌 자극과 유전자 치료와 같은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최근의 연구는 특정한 유전자를 작동시킴으로써 기억력의 생성을 장려하는 방법이 모색 되었다. 연구자들은 실험 쥐들의 기억력을 성공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CREB로 알려진 단백질 증가 유전자 치료를 사용했고, 신생아 기억 상실을 극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한다.



PTSD 치료: 기억력 회복의 적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를 가진 사람들의 기억 회복의 흥미로운 예는 연구에서 나왔다. 2016년, 프로프라놀롤이라고 알려진 약이 외상 후 기억의 생생함을 줄임으로써 PTSD를 앓고 있는 사람들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기억이 재생되는 동안 신경 가소성을 줄임으로써 기억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발견은 유아의 기억 상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특히 특정한 불쾌한 기억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도 하다.




Works Cited

이, 용범. “어린 시절의 기억을 떠올리지 못하는 이유 (이용범).”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 21 October 2021, https://platonacademy.org/29/?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nBhZ2UiO2k6Mzt9&bmode=view&idx=8648716&t=board&category=a667o860b7. Accessed 6 May 2024.

Anderson, Alyssa. “What Is Infantile Amnesia?” WebMD, 28 April 2022, https://www.webmd.com/children/what-is-infantile-amnesia. Accessed 6 May 2024.

Josselyn, Sheena A. “Infantile amnesia: A neurogenic hypothesis.” learnmem.cshlp.org, 6 January 2023, https://learnmem.cshlp.org/content/19/9/423.full.html. Accessed 6 May 2024.

McNamara, Alexander, and Matt Hambly. “Did you know? Fewer than 100 people have a photographic memory.” New Scientist, 25 May 2021, https://www.newscientist.com/article/2272135-did-you-know-fewer-than-100-people-have-a-photographic-memory/. Accessed 6 May 2024.

Mind Journal. “아주 어린 시절이 기억나는 이유.” 내 삶의 심리학 mind, 2 November 2019, http://www.min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605. Accessed 6 May 2024.

VA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Wikipedia, https://ctv.veeva.com/study/ptsd-symptom-reduction-by-propranolol-given-after-trauma-memory-activation. 






기사 다시보기  

믿음은 과연 자발적일까?

디지털 표현형: 정신건강관리의 패러다임 변화

타로 카드 수수께끼

심리학으로 바라보는 인간 행동과 발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557
  • 기사등록 2024-06-10 16:18:2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