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진우
[한국심리학신문=채진우 ]
틸로마니아 (Trichotillomania)는 신체의 털을 뽑아내는 강박적인 행동으로 특징지어지는 신경학적 장애이다. 이 질환은 주로 손가락을 사용하여 머리카락이나 다른 부위의 털을 뽑아내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행동은 스트레스나 불안, 긴장을 완화하거나 자기 자신을 집중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틸로마니아의 원인은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질환의 정확한 원인은 여전히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양한 연구들은 틸로마니아가 유전적, 심리적, 그리고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유전적 요인은 틸로마니아 발병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특히 가족 구성원 중에서 틸로마니아를 앓고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 개인이 틸로마니아를 발병할 위험이 높아진다. 이는 유전적 요인이 틸로마니아의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단순히 유전적인 요인만으로는 이 질환을 설명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Hinh, 2009).
스트레스 역시 틸로마니아 발병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이다. 과도한 스트레스는 틸로마니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일상적인 스트레스나 정서적인 어려움이 틸로마니아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특히, 학업, 직장, 혹은 가정에서의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이 틸로마니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Daniel et al., 2022).
불안과 우울증은 또 다른 틸로마니아 발병의 위험 요인으로 여겨진다. 불안장애나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틸로마니아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러한 정신 건강 문제는 틸로마니아의 발병과 진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불안과 우울증은 틸로마니아를 앓는 사람들에게 더 큰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Daniel et al., 2022).
증상과 영향
틸로마니아는 종종 심리적인 고통을 유발하며, 신체의 외모에 대한 심리적인 불만이나 자존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털을 뽑아내는 행동으로 인해 피부 손상, 염증, 감염 등의 신체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Daniel et al., 2022).
틸로마니아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질병이다. 이는 사회적인 이해와 인식 부족으로 환자가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하거나 오해를 받을 수 있는 심각한 문제이다. 따라서 틸로마니아에 대한 교육과 인식 제고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환자와 그들을 둘러싼 사람들이 함께 이 질병을 이해하고 치료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틸로마니아는 어린이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발병할 수 있으며, 증상의 심각성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진단과 치료는 환자의 개별적인 상황과 필요에 맞게 맞춰져야 한다. 종종 틸로마니아는 다른 정신 건강 문제와 함께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도 고려돼야 한다.
틸로마니아는 전문가의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인지행동 치료, 의약품 치료, 그리고 심리적 지원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존재하며, 환자의 상태와 개인적인 요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종 치료 과정에서의 긴 호전 기간을 견뎌야 할 수도 있다. 지속적인 치료와 지원이 중요하며, 가족이나 친구들이 환자를 지지하고 이해하는 것이 효과적인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지원 그룹이나 온라인 자원을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Martin et al., 2012).
틸로마니아는 종합적인 치료 계획이 필요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이 요구될 수 있다. 정신 건강 전문가, 심리학자, 및 정신과 의사 등의 팀이 환자를 치료하는데 필요하다. 틸로마니아 치료는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개별적인 증상과 필요에 맞추어 진행된다. 이러한 치료 방법들은 약물 치료, 인지 행동 치료, 그룹 치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약물 치료는 틸로마니아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주로 사용되는 약물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와 같은 항우울제가 포함된다. SSRIs는 뇌 내에 세로토닌 수치를 증가시켜 틸로마니아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Faruk & Süleyman, 2018). 또한, 불안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항불안제가 처방될 수 있다. N-아세틸 시스테인(NAC)이 틸로마니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과 보고도 있다. (Debra & Shari, 2022).
인지 행동 치료는 틸로마니아 환자가 털을 뽑는 행위를 인식하고 이를 통제하는데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이다. 이는 환자가 털을 뽑는 행위를 유발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돕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자기 관찰, 습관 반전 훈련, 인지 재구성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그룹 치료는 틸로마니아 환자들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지를 제공받는 치료 방법이다. 이는 외로움을 느끼지 않도록 도와주고, 자신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그룹 치료는 환자들이 서로에게 격려와 지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치료를 받는 곳은 정신 건강 전문가, 피부과 전문의, 또는 기타 관련 의료 전문가를 통해 가능하다. 틸로마니아는 만성 질환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며, 환자의 개별적인 상황과 필요에 맞게 치료 방법이 조정돼야 한다. (Martin et al., 2012).
참고문헌
Daniel, F. M., Caren, d. S. L., Bianca, M. P., and Antonella, T., (2022). Trichotillomania: What Do We Know So Far?. [PMC]. Retrieved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787581/
Debra, K. L., and Shari, R. L., (2022). The Potential of N-Acetylcysteine for Treatment of Trichotillomania, Excoriation Disorder, Onychophagia, and Onychotillomania: An Updated Literature Review. [PMC]. Retrieved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180086/
Faruk, K., and Süleyman, K., (2018). Trichotillomania treated with n-acetylcysteine. Retrieved from: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24750573.2018.1472907
Hinh, L., (2009).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human diseases with telomere dysfunction. [PMC]. Retrieved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719702/
Martin, E. F., Kathryn, Z., and Kristin, L. B., (2012). Trichotillomania and its treatment: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PMC]. Retrieved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190970/
기사 다시보기
디지털 미디어: 현대의 발전과 함께 놓칠 수 없는 긍정과 부정의 측면
식물의 감각 세계: 식물심리학의 발견과 함께하는 식물의 인간과의 상호작용
인간 행동의 유전적 요소와 환경 요소: 상호작용과 영향
카페인 중독으로 인한 정신적 이상, 우리 삶에 미치는 어두운 그림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appinessxingfu@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