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조수빈B ]



pexels


‘회상치료’에 대하여 들어본 적이 있는가회상치료는 1960년대 초반미국의 정신과 의사 로버트 버틀러(Robert Butler)가 개발한 비약물적 심리치료 기법으로치매 환자에게 의미 있는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고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는 활동을 통해 자존감 향상독자성의 발견을 돕는다.



치매, 무슨 질환일까?


서울아산병원 질환 백과에 따르면치매는 후천적으로 기억언어판단력 등 여러 영역의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임상 증후군이다치매의 유형으로는 원인 미상의 신경퇴행성 질환인 노인성 치매 (알츠하이머병), 뇌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혈관성 치매가 대표적이다.



회상치료, 어떻게 이루어질까?


보통 회상치료에서는 어린 시절의 추억가족 구성원에 대한 기억인상 깊은 장소친밀한 사람들 등을 회상의 주제로 삼는다특히 어린 시절의 추억은 회상치료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기억력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어린 시절의 추억은 잘 보존되는 경향이 있고일반적으로 어린 시절의 추억은 행복한 내용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의 물건이나 사진 앨범 등을 보조 도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이러한 회상물을 사용하면 비교적 쉽게 회상을 시작할 수 있다이외에도 추억의 영화 감상하기어린 시절 즐겨 했던 게임 하기가족 요리하기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여 회상치료를 진행하기도 한다또한 단순히 행복한 기억을 회상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자신의 추억, 경험을 함께 나눔으로써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도모한다.



회상치료는 치매 환자에게 어떤 효과가 있을까?


회상치료는 뇌의 활동이 원활하지 않고기억력 장애를 가지고 있는 치매 환자에게 과거의 사건을 회상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정체감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고뇌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한다

게다가 회상치료는 노인 우울증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박사 Karen Harrison Dening의 ‘Meaningful activities for a person with dementia’ 기사에서 언급한 한 연구에 따르면회상치료는 과거의 긍정적이고 보람 있는 측면에 초점을 둠으로써 더 긍정적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우울감을 가지고 있는 노인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박선혜 기자의 ‘치매 치료에 드라마가?…여의도성모병원방송 아카이브 회상요법 도입’ 기사에서 언급한여의도성모병원 뇌 건강 센터와 MBC 사내벤처 딩딩대학의 ‘방송 아카이브 회상요법’ 시범 조사에 따르면과거 드라마를 활용하여 진행한 회상치료의 결과는 매우 긍정적이었다환자와 보호자의 반응을 산출하는 심층 인터뷰에서 ‘지루하지 않음’, ‘환자의 기분이 좋아짐’의 지표가 3.92점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인지 항목 검사에서는 79%의 높은 정답률이 도출된 것이다. 


이처럼 회상치료는 자신이 경험했던 즐겁고 유쾌한 기억을 떠올리고다른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활동을 통하여 치매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활력감을 향상시키고뇌를 활성화시키며부정적인 정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외에도 회상치료는 심리치료사와 환자 사이의 라포르 형성 증대삶의 질 향상스트레스 감소 등 치매 환자에게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억의 힘


일상생활을 하다가 우연히 추억의 물건을 발견하면나도 모르게 과거로 시간여행을 떠나곤 한다어떤 순간의 기억이 불러일으키는 그때의 감정이나 분위기는 그 당시의 내 모습을 상기시킨다그리고 많은 세월을 거쳐온 지금의 내 모습을 곱씹어보게 만들기도 한다또한 때때로 해결하기 어려워 골머리 앓던 문제의 답을 과거에서 찾기도 하고상처받은 쓰라린 마음을 과거의 추억으로 치유하기도 한다이러한 측면에서 추억의 힘은 대단하다

추억을 이용한 회상치료는 내면의 무언가를 억지로 이끌어내지 않아도회상물 같은 요소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환자들의 추억을 상기시키고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많은 사람이 회상치료를 통해 좋았던 기억을 떠올리면서좋은 추억 속에 나 자신이 존재했음을 인식하고그 당시에 자신이 느꼈던 긍정적인 감정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그리고 앞으로 쌓아갈 좋은 추억을 기대하며설레는 매일을 맞이할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 기억을 부탁해. (2022.9.19.). 신경행동증상의 비약물적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영상].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pOJTE8WJteE

2) 김영란. (2014). 회상치료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RISS

3) 박선혜. (2023.11.27.). 치매 치료에 드라마가?…여의도성모병원, 방송 아카이브 회상요법 도입. MEDICAL Observer.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8189

4) 조재민. (2018.2.9.). 옛 기억 되살리는 회상요법 비약물적 치료법으로 ‘주목’. 디멘시아뉴스.

https://www.dementi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5

5) 치매(Dementia). (n.d.).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5

6) Dening, K.H. (2021.2.1.). Meaningful activities for a person with dementia. DementiaUK.

https://www.dementiauk.org/news/meaningful-activities-for-a-person-with-dementia/#Reminiscence

7) Field, B. (2023.11.29.). What Is Reminiscence Therapy?. verywellmind.

https://www.verywellmind.com/how-reminiscence-therapy-works-5214451

8) Samuels, C. (2024.1.3.). What Is Reminiscence Therapy for Dementia?. aPlaceforMom.

https://www.aplaceformom.com/caregiver-resources/articles/reminiscence-therapy

9) Pixabay. (2016.1.14.). [사진]. Pexels. https://www.pexels.com/ko-kr/photo/34761/






기사 다시보기 

자도 자도 졸린 당신, 수면장애 의심해 볼 것!

사계절의 시작을 알리는 불청객

슬픔을 나누면 배가 될까? 반이 될까?

Dance with me!

사회의 무법자, 반사회성 인격장애

소문은 왜 와전될까?

약물 중독, 범죄일까? 질병일까?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672
  • 기사등록 2024-05-29 09:16:3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