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연
[한국심리학신문=박지연 ]
당신은 현재 삼성 노트북을 사용 중이다. 그리고 얼마전 갤럭시S24울트라를 구매했다.
처음에는 너무 만족스러웠지만 어느 순간부터 갤럭시탭에 관심이 가기 시작했다.
그렇게 탭도 구매하고 보니 자꾸만 ( )한 생각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떠올랐다.
당신이 위 이야기의 주인공이라면 태블릿 구매 후 어떤 생각을 했을까?
‘버즈(buds)도 사고 싶다.’, ‘워치(watch)도 살까?’ 등등 같은 브랜드의 또 다른 제품들을 하나 둘씩 구매하고 싶어지는 마음이 문득문득 떠오르지 않았을까 조심스럽게 추측해본다.
삼성 갤럭시 북2 프로와 연결되는 갤럭시 생태계. 삼성전자 제공
디드로 효과란?
기사 초반부에 제시한 이야기처럼 하나의 물건을 구입한 후 그 물건과 어울리는 다른 제품들을 구매하는 현상을 ‘디드로 효과(Diderot effect)’ 혹은 ‘디드로 통일성(Diderot conformity)’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바지를 구매하고 보니 바지와 함께 코디하고 싶은 신발이 사고 싶어지는 경우, 태블릿을 사고 태블릿 케이스가 가지고 싶어지는 것 등등 일상 속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
디드로 효과의 첫 등장은 18세기 프랑스 계몽주의 철학자 드니 디드로의 에세이 (나의 오래된 가운을
버림으로 인한 후회)에서이다. 디드로는 한 친구로부터 붉은 색 고급 가운을 선물 받았다. 이후 자기 집의 낡은 가구들이 고급스러운 가운과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해 낡은 책상을 새것으로 바꿨다. 그런데 책상을 바꾸고 나니 이번에는 벽에 걸린 그림이 조화롭지 못하다는 생각이 들어 그림도 바꿨다. 그렇게 하나씩 하나씩 무언가를 자꾸 바꾸어 가던 그는 모든 가구는 물론이고 인테리어까지 바꾸게 되자 자신이 ‘빨간 가운의 노예’가 되었다며 우울해했다.
디드로의 일화에 관심을 가진 미국의 사회학자 그랜트 맥크래켄(Grant McCracken)은 하나의 물건을 갖게 되면 그것에 어울리는 다른 물건을 계속 구매하게 되는 현상을 ‘디드로 효과’라고 명명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디드로 효과 속 심리
가운 하나로 인해 인테리어까지 바꾼 디드로의 사례에서처럼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다. 디드로 효과를 명명한 그랜트 맥크래켄은 물건 간의 상호연결성 또는 통일성을 위해 소비하는 경향에 주목했다. 즉, 소비자가 원하고 추구하는 상품을 구입하고 나면 자신의 이미지나 자아를 그 상품에 맞추기 위해 관련되어 보이는 상품과 서비스를 계속 소비한다는 것이다.
이때 눈여겨 봐야 할 중요한 포인트가 하나 있다. 바로 디드로 효과를 발생시키는 상호연결성이나 통일감이 기능이나 품목의 측면이 아니라는 것이다. 소비자는 문화적, 정서적 측면에서의 동질성 혹은 통일성을 추구한다. 특히 시각적으로 관찰이 가능한 즉. 디자인과 같은 가시적인 측면들이 상품 구매 선택의 잣대가 되고는 한다.
대표적인 예시로 애플(apple)사의 사과 모양 로고가 있다.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펜슬 등 제품 디자인과 모델명, 로고에 통일감을 주어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한다. 즉, 디자인이 주는 통일감과 이를 타인에게 과시하고 싶은 욕구가 만나면 충동구매로 이어지는 것이다.
마케팅과 디드로 효과 그리고 디드로 효과 방지법
디드로 효과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크로스 브랜딩(cross branding)이 있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자사의 명품 가방을 구매도록 유인 -> 자사의 명품 가방과 관련 있는 자사의 또 다른 제품을 사도록 유인 -> 명품 가방 가진 고객은 같은 브랜드의 지갑 등을 또 구매해야겠다는 욕구 가짐 -> 고객은 해당 브랜드 제품을 지속적으로 구매
이외에도 패밀리 룩, 커플 룩 같은 토탈 패션(total fashion)이나 아트 콜라보레이션(art collaboration) 등은 제품의 이미지와 심미적 조화를 추구하는 소비자의 심리를 자극한다.
이렇게 디드로 효과로 인해 충동구매를 한 많은 사람들이 가운 하나 때문에 온 집안을 바꾼 디드로처럼 ‘내가 이걸 왜 샀지?’라며 후회를 한다. 어쩌면 자연스러운 인간의 욕구일지 몰라도 필요하지 않은 물건까지 필요 이상으로 구매하는 것은 옳지 않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신중한 판단이 가장 중요하다. “우와! 사야지!”라는 마음이 들 때 차분하게 고민해보자. ‘정말 나에게 필요한 것인가?’, ‘내가 감당 가능한 지출인가?’
기억하자!
‘순간의 짧은 만족 뒤에 남는 것은 눈덩이처럼 불어난 카드 고지서와 뼈저린 후회 뿐이라는 것을…’
참고문헌
김경자. (2018년1월10일). ‘[김경자 교수의 探스러운 소비] 욕심 부추기는 ‘디드로 효과’의 늪’. 더스쿠프. - 더스쿠프 (thescoop.co.kr).
김성원. (2012년8월9일). ‘“’디드로효과’,혹시 나도?”…소비자라면 한번쯤 끌리는 그것’. 유통경제. "'디드로효과', 혹시 나도?"…소비자라면 한번쯤 끌리는 그것 - 글로벌이코노믹 (g-enews.com).
노재웅. (2022년2월26일). ‘’보안-연결 끝판왕’ 삼성 갤럭시 북2 프로 공개…4월 출시’. 이데일리. ‘보안·연결 끝판왕’ 삼성 갤럭시 북2 프로 공개…4월 출시 (naver.com).
전기연. (2019년1월25일). ‘[디지털 신조어] ‘배보다 배꼽이 더 큰’ 디드로 효과’. 아주경제, [디지털 신조어] '배보다 배꼽이 더 큰' 디드로효과 | 아주경제 (ajunews.com).
기사 다시보기
First in, Last out 생명을 구하는 소방관의 마음은 누가 구하나
내가 잘하면 내 덕, 남이 잘하면? ... 내로남불 심리 - 기본적 귀인 오류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bonobono7022@naver.com